대통령실 "김여사 프놈펜 심장병 아동 방문 때 조명? 사실무근"(종합)

정수연 2022. 11. 20. 17:15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통령실은 20일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최근 캄보디아 프놈펜 현지 심장병 아동을 방문하면서 사진 촬영을 위해 조명을 사용했다는 야당 인사의 주장을 반박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장경태 최고위원은 지난 18일 당 최고위에서 "외신과 사진 전문가들은 김 여사 사진이 자연스러운 봉사 과정에서 찍힌 사진이 아니라 최소 2∼3개 조명까지 설치해 사실상 현장 스튜디오를 차려놓고 찍은 '콘셉트' 사진으로 분석한다"며 외교결례이자 국격실추라고 주장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책임 묻지 않을 수 없어" 비판…與 "민주당, 또 허위사실 유포" 맞손
野 장경태 "외신과 사진 전문가들의 분석…인용한 것도 문제인가"

(서울=연합뉴스) 한지훈 정수연 기자 = 대통령실은 20일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최근 캄보디아 프놈펜 현지 심장병 아동을 방문하면서 사진 촬영을 위해 조명을 사용했다는 야당 인사의 주장을 반박했다.

앞서 더불어민주당 장경태 최고위원은 지난 18일 당 최고위에서 "외신과 사진 전문가들은 김 여사 사진이 자연스러운 봉사 과정에서 찍힌 사진이 아니라 최소 2∼3개 조명까지 설치해 사실상 현장 스튜디오를 차려놓고 찍은 '콘셉트' 사진으로 분석한다"며 외교결례이자 국격실추라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은 이날 언론 공지를 통해 "장 최고위원의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김 여사 방문 당시 조명을 사용한 사실 자체가 없다"고 밝혔다.

대통령실은 "공당인 민주당의 최고위원이 사실관계를 확인조차 하지 않고 허위사실을 유포한 것에 대해 강력한 유감을 표명한다"고 말했다.

이어 "어떻게든 김 여사 행보를 폄하하기 위해 없는 사실을 지어내고 국제적 금기사항이라는 황당한 표현까지 덧붙인 것이야말로 국격과 국익을 훼손하는 행위"라고 지적했다.

대통령실은 "거짓 주장을 반복하며 국격과 국익을 훼손한 데 대해 장 최고위원에게 책임을 묻지 않을 수 없음을 분명하게 밝혀드린다"고 덧붙였다.

국민의힘도 "민주당이 또다시 허위사실을 유포하고 나섰다"고 비판했다.

양금희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윤석열 정부의 외교성과 김건희 여사의 행보를 깎아내리는 것에 급급해 도 넘은 헐뜯기와 없는 사실마저 지어내는 것은 결국 우리의 국격과 국익을 훼손할 뿐"이라고 밝혔다.

이어 "빈곤한 것은 민주당의 상식이요, 윤리이며, 국익에 대한 진심"이라며 "장 최고위원과 민주당에 묻는다. 오드리 헵번, 앤젤리나 졸리, 다이애나 왕세자빈 등 이분들의 행보는 무엇인지, 이분들도 빈곤 포르노 촬영인지 분명히 답하라"고 요구했다.

민주당 장경태 최고위원은 이러한 지적에 대해 페이스북을 통해 "외신과 사진 전문가들은 김 여사 사진이 자연스러운 봉사 과정에서 찍힌 게 아니라 최소 2∼3개 조명을 설치해 찍은 것으로 분석한다. 이를 인용했을 뿐"이라고 반발했다.

장 최고위원은 "이제는 인용도 문제인가"며 "언론과 야당에 재갈을 물리고 걸핏하면 압수수색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참 잔인한 정권"이라고 덧붙였다.

선천성 심장질환 환아 찾은 김건희 여사 (프놈펜=연합뉴스) 서명곤 기자 =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가 12일(현지시간) 캄보디아 프놈펜의 한 선천성 심장질환을 앓고 있는 환아의 집을 찾아 건강 상태를 살피고 있다. 김 여사는 지난 11일 헤브론 의료원을 방문했을 때 심장병 수술을 받은 아동들을 만나는 자리에 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 참석하지 못했던 이 환아의 집을 이날 방문했다. 2022.11.12 [대통령실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seephoto@yna.co.kr

hanjh@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