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완산희현당사적비, 전북도 유형문화재 지정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조선시대 호남지역 인재 양성의 요람이었던 희현당의 건립 과정과 목적 등이 기록된 완산희현당사적비가 전북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로 지정된다.
20일 전주시에 따르면 전북도는 최근 전주신흥학교 교정에 위치한 전주 완산희현당사적비를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로 지정한다고 고시했다.
대신 그 터인 전주신흥학교 교정에 2개(사적비와 중수사적비)의 비석으로 구성된 전주 완산희현당사적비만 남아있다.
완산희현당사적비에는 전라감사 김시걸·이주진의 업적도 기록돼 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전주=뉴스1) 임충식 기자 = 조선시대 호남지역 인재 양성의 요람이었던 희현당의 건립 과정과 목적 등이 기록된 완산희현당사적비가 전북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로 지정된다.
20일 전주시에 따르면 전북도는 최근 전주신흥학교 교정에 위치한 전주 완산희현당사적비를 도지정문화재(유형문화재)로 지정한다고 고시했다.
희현당은 1700년 전라감사 김시걸이 직접 세운 교육기관으로, 한강 이남에서 가장 먼저 건립된 영학(감영에서 운영하는 교육기관)이다. 이곳에서는 54개 고을 수령으로부터 추천받은 우수한 유생 중 최종 30명을 선발해 교육했다.
희현당에서는 교육교재를 만들기 위해 자체적으로 철활자를 제작해 여러 책을 편찬하기도 했으며, 철활자로 가장 먼저 편찬된 ‘정묘거의록’은 올해 초 전라북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받기도 했다.
현재 희현당은 사라졌다. 대신 그 터인 전주신흥학교 교정에 2개(사적비와 중수사적비)의 비석으로 구성된 전주 완산희현당사적비만 남아있다.
완산희현당사적비에는 전라감사 김시걸·이주진의 업적도 기록돼 있다. 특히 희현당의 건립 과정과 목적, 운영 방법 등이 기록돼 있어 조선후기 교육사적·역사적·학술적 가치를 인정받았다.
서배원 전주시 문화체육관광국장은 “희현당은 전라도 인재양성의 요람으로 지금은 비만 남아 그 터를 지키고 있다”면서 “향후 희현당과 관련한 조사를 통해서 희현당이 중요한 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그 중요성을 밝혀 나가겠다”고 말했다.
94chung@news1.kr
Copyright ⓒ 뉴스1코리아 www.news1.kr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 35년 '거인병' 투병, 비운의 농구스타 김영희 별세…빈소마저 초라
- "자산 25억, 결혼 성사땐 1억 수고비" 45세男 화끈한 중매 전단
- 남보라 "남동생 경계성 발달장애…최근에야 장애 등급 받아"
- 김인식 "추신수 나이가 몇 살인데 아직 선수생활 하냐" 일침
- 간장통·물컵 핥고 스시 침 바르고…회전초밥 체인 영상 충격
- 채정안 "내 나이엔 스킨십 잘하는 사람 좋아"
- 한고은 "남편 첫만남 다음날 내가 먼저 키스"
- 핑크색 비둘기?…뉴욕서 발견된 희귀종 정체
- '정경심 안대 비하' 유튜버 벌금 200만원 확정
- 맥심모델 김나정 "발바닥 보여달란 DM 받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