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연말 재테크 대세는 이것...내게 맞는 배당주ETF 고르기 [신화머니]

신화 기자(legend@mk.co.kr) 2022. 11. 20. 07:12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 기사는 언론사에 의해 수정되어 본문과 댓글 내용이 다를 수 있습니다.

국내 주식투자 배당주ETF 19종목
ARIRANG 고배당주 분배율 5%
KODEX 배당가치는 장기 수익률 강점
TIGER MKF 배당귀족 ETF
10년 연속 배당금 늘린 30종목 편입

지난 편에서 배당주 얘기를 했었는데요, 오늘은 상장지수펀드(ETF)를 통해 배당주에 투자하는 방법을 설명해보려고 합니다. 종류별로 대표 상품은 무엇인지, 어떤 특징이 있는지, 투자 시 주의할 점은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ETF는 여러 주식을 조금씩 담고 있는 ‘주식 바구니’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배당주 ETF는 여러 배당주에 나눠서 투자하는 상품이겠죠. 제가 지난 영상에서 배당주는 흐름이 비교적 안정적인 특징이 있다고 말씀드렸는데, 이런 배당주 여러 종목에 분산 투자하는 배당주 ETF는 개별 종목보다도 더 안정적인 흐름을 보입니다. 설사 어느 한 종목이 크게 떨어지는 상황이 와도 다른 종목들이 덜 떨어졌다면 그만큼 수익률이 방어되기 때문입니다.

ETF에서 배당주에 투자해 배당금을 받으면 그게 현금자산으로 쌓이는데, ETF 운용사에서 그걸 모아서 투자자들에게 다시 나눠줍니다. 이걸 ‘분배금’이라고 부릅니다. 주식의 배당금이랑 이름이 다르죠? 참고로 ETF 분배금에는 배당금뿐만 아니라 현금 운용수익이나 채권 이자 등의 수익이 모두 포함됩니다. 주식에서 배당률이라고 했던 개념도 ETF에선 분배율로 부릅니다.

현재 국내 상장된 배당주 ETF를 전부 모아보니 총 26종입니다. 이 중에서 미국이나 유럽 등 해외주식에 투자하는 상품이 7종이고,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상품이 19종입니다. 저는 이 중에서도 오늘 국내 주식에 투자하는 상품에 집중해보려고 하는데요, 혹시 미국 배당주 ETF 투자법도 궁금하시다면 다음 편에서 다뤄보겠습니다.

일단 배당주 ETF에 어떤 종류가 있는지 살펴볼게요. 가장 먼저 기본적인 고배당 ETF가 있습니다. 고배당주 ETF는 정말 배당수익률이 높은 종목들에 투자한다는 게 특징입니다. 그렇다 보니 아무래도 금융업 비중이 높을 수밖에 없겠죠. ETF 분배율로만 따지자면 고배당 ETF가 가장 유리하기 때문에 “나는 배당수익이 가장 중요하다” 하시는 분들에게 좋은 상품이라고 하겠습니다.

그 다음으로 ‘배당 성장 ETF’도 많이 보입니다. 배당 성장은 말 그대로 배당이 꾸준히 성장해온 기업에 투자한다는 콘셉트인데요. 원래 미국에서 시작했고 최소 10년에서 길게 25년까지 연속해서 배당이 성장한 기업들 위주로 구성돼 있습니다.

각 종류마다 제 생각에 괜찮은 상품들을 두 개씩 꼽아보겠습니다. 상품을 선정하는 기준은 순자산 규모입니다. 규모가 어느 정도 돼야만 운용이 안정적이기 때문입니다.

제가 선정한 상품 비교의 첫 번째 기준은 ETF의 시가 대비 분배율입니다. 배당금 받고 싶어서 여기 투자하는 거니까 실제로 배당을 잘 주고 있는지 확인해야겠죠. 2번은 구간별 수익률을 살펴보려고 하는데요, 배당주에 투자할 때 주가 하락으로 인한 손실이 있을 수 있으니 꼭 수익률까지 따지라고 지난 시간에 말씀드린 바 있습니다.

우선 고배당 ETF부터 살펴보겠습니다. 국내 고배당 ETF 중 가장 설정액 규모가 큰 상품은 한화자산운용의 ARIRANG 고배당주입니다. 2012년에 상장해서 역사가 꽤 긴 상품인데요, 코스피200지수를 구성하는 종목 중 예상 배당수익률이 높은 상위 30종목에 투자합니다. 역시 금융업 비중이 높습니다.

출처: ARIRANG 고배당주 ETF 10월 월간운용보고서
이 상품 다음으로 규모가 큰 상품은 삼성자산운용의 KODEX 배당가치입니다. 이 ETF는 배당률을 기준으로 종목을 편입하기보다 배당 성향이 있는데 어느정도 밸류에이션(기업가치)이나 수익성 지표도 받쳐준다 싶은 종목들에 투자합니다. 그래서 가치주의 특성을 보이면서 배당까지 챙길 수 있다는 개념인데요.

이 상품 특징은 삼성전자 비중이 거의 15%로 굉장히 높다는 겁니다. 코스피 대장주 삼성전자에 따로 투자하지 않는 분들은 이 상품에 투자해 삼성전자와 고배당 종목에 동시에 투자할 수 있기 때문에 괜찮은 선택지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럼 두 ETF가 지난 3년간 분배금을 실제로 얼마나 지급했는지를 보겠습니다.

출처= 한국예탁결제원
출처= 한국예탁결제원
아리랑 ETF의 경우 3년 평균 5%가 넘는 분배율을 보였습니다. 한편 코덱스 상품의 경우 분배율이 한 3% 정도로 수렴하는 걸 알 수 있습니다. 아리랑 고배당 상품보다는 좀 낮죠? 애초에 배당률만 보고 종목에 투자하지 않기 때문에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고배당 종목보다 삼성전자 비중도 높고요.
출처=에프앤가이드, 단위=%
다만 두 상품 수익률을 비교해 보니 확실히 코덱스 상품이 올라갈 때 더 급격한 상승세를 보이는 걸 알 수 있습니다. 하락 국면에서는 조금 더 빠졌고요. 3년 장기 수익률을 보면 코덱스가 두 배 가까이 높은 모습입니다.

다음으로 배당성장 ETF에서 대표적인 상품들도 비교해 보겠습니다. 가장 최근에 상장한 상품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MKF 배당귀족입니다. 이 상품은 10년 연속 배당금을 늘리거나 유지해온 기업 30곳에 투자합니다. 이렇게 연속해서 배당금을 늘려왔다는 것 자체가 기업 재무구조가 건전하고 주주 친화적인 정책을 취하고 있다는 뜻인데요. 실제로 이 상품 편입 종목 30곳 중14곳이 올해 영업이익이 10% 이상 증가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합니다.

이 상품의 또 다른 특징이 업종별로 골고루 분산 투자가 돼 있다는 겁니다. 기존 고배당 ETF의 경우 금융업 비중이 높거나 삼성전자 비중이 높거나 하는 식이었는데, 이 상품은 금융업 비중은 10%가 되지 않습니다. 종목별 비중도 시가총액 가중방식이 아니라 동일가중 방식으로 구성돼서 분산투자 효과가 더 뚜렷하다고 할 수 있겠죠. 그래서 이 상품은 혹시 코스피200 이런 대표지수형 ETF에 투자하지 않으시는 분들이 있다면 그 대체품으로 고려해볼만 합니다.

다음으로 소개할 상품은 KODEX 배당성장입니다. 이 상품은 앞으로 배당규모가 성장할 것으로 예상되는 종목 50개로 이뤄져 있는데, 종목은 시총규모, 배당실적, 배당성장여부, 배당성향, 당기순이익 등을 고려해서 선정합니다. 지금 업종별 비중을 보면 금융업이 40%가 넘어 상당히 높은 모습입니다.

두 상품 분배율하고 수익률 비교를 해보겠습니다. 일단 TIGER 상품은 상장을 한 달 전에 했기 때문에 아직 제대로 된 분배율 파악이 안 되는 상황인데요, 나머지 상품들만 가지고 비교하겠습니다.

출처=한국예탁결제원
KODEX 상품은 이 정도인데요, 의미 있는 부분은 올해 분배율이 지난 2년 대비 올랐다는 겁니다.

수익률의 경우에도 최근 1주일 정도의 비교만 가능해서 큰 의미는 없는데요, 우선 두 상품 모두 코스피지수 대비 상승폭은 낮은 모습입니다. Kodex 상품의 경우 3년 장기수익률은 당연히 코스피를 웃돌아 안정적이라고 하겠습니다.

출처=에프앤가이드, 단위=%
그럼 ETF 분배금은 언제 받을 수 있을까요? 국내 배당 ETF들은 보통 연배당, 분기배당, 월배당으로 나뉘는데요. 원래는 연배당과 분기배당이 대부분이었는데 최근 들어 월배당 상품들이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분기배당 상품의 경우 보통 2월, 5월, 8월, 11월에 분배금을 주는데 8, 2, 11월엔 1, 2, 3분기 배당금을 주고 5월에 기말배당금을 지급합니다. 그래서 5월 분배금이 가장 많습니다.

사실 분배금을 언제 받는지 별로 중요하지 않다고 여기실 수도 있지만, 이것도 상품을 선택할 때 무시해선 안 되는 요소입니다. 1년에 한번 받는지 매월 받는지에 따라 장단점이 뚜렷하기 때문인데요.

우선 1년에 한번 상품을 받으면 좋은 점이 복리효과입니다. 아까 ETF에서 배당금을 받으면 그걸 현금자산으로 쌓아뒀다가 지급한다고 했는데, 이걸 만약에 지급하지 않고 계속 굴리면 어떻게 될까요? 규모가 더 크니까 그만큼 상승 폭도 커질 겁니다. 이걸 복리효과라고 합니다.

그럼 최근 들어 월배당 상품이 늘어나는 이유는 뭘까요? 월배당은 말 그대로 분배금을 매월 지급하는 상품이라 매월 안정적으로 현금 흐름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래서 목적이 자산을 축적하는 게 아니라 자산을 슬기롭게 찾는 데 있는 분들에게 적합하다고 할 수도 있는데요. 자산을 적당히 굴리면서 매월 현금을 받아보고 싶은 은퇴 생활자에게 추천하겠습니다.

오늘은 배당주 ETF 투자 시 주의할 점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 알려드린 방법대로 배당주 ETF 투자 시 나에게 맞는 상품인지를 꼼꼼히 따져 보시길 바랄게요. 감사합니다.

신화!머니?는 복잡하고 어려운 금융지식을 알기 쉽게 설명해드리는 코너입니다. 매일경제신문의 주식 유튜브 채널 <자이앤트TV>에 매주 유익한 영상이 올라갑니다. 기자페이지를 ‘구독’ 하시면 더 빠르게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