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년째 이어온 나눔…어느 공무원의 아름다운 이중생활

백운 기자 2022. 11. 18. 21: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배움의 아쉬움이 남는 사람들이 밤에 모여서 공부하는 야학이 지금도 곳곳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백운 기자가 낮과 밤이 다른 경기 의정부의 야학 선생님을 만나봤습니다.

[김유식/경기도 도로안전과 주무관 : 중등 과정부터 저희 야학에서 수업을 받으시고 고등 과정 가셔서 또 고등 과정 학력을 검정고시를 패스한 다음에 대학교까지 진학하셨어요. 이제는 야학 선생님으로 나눔에 동참하는 선생님이 계십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배움의 아쉬움이 남는 사람들이 밤에 모여서 공부하는 야학이 지금도 곳곳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그럼 이들을 가르치는 선생님에겐 어떤 사연이 있을까요?

백운 기자가 낮과 밤이 다른 경기 의정부의 야학 선생님을 만나봤습니다.

<기자>

머리가 희끗한 학생들이 공부를 하고 있는 경기도 의정부 노성야간학교입니다.

20대부터 70대까지, 200여 명의 학생이 있습니다.

[네모라는 걸 쓰는 것보다 중학교 와서는 이걸 뭐로 써요? 이런 알파벳.]

이곳에서 중등 수학을 가르치는 이 남자, 본업은 경기도청 시설직 공무원입니다.

그가 일주일에 한두 번 저녁 7시부터 밤 10시까지, 돈 한 푼 받지 않는 교육 봉사를 이어온 게 올해로 13년쨉니다.

[이양숙/노성야학 학생 : 저도 직장을 다니면서 오거든요. 진짜 힘든 일이라는 거 알아요. 제가 수학을 잘 모르는데 선생님 말씀하시는 거 쏙쏙 잘 들어와요.]

경기도 수원에서 근무했던 5년 동안에도 퇴근 뒤 2시간 거리를 이동해 봉사를 이어왔습니다.

그가 이렇게까지 열심인 건, 학생들 얼굴에서 어머니를 봤기 때문입니다.

[김유식/경기도 도로안전과 주무관 : (어머니가) 유년 시절에 생계를 책임지다 보니까 힘든 과정 속에 학업을 포기를 하셨습니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저희 어머니도 야간학교를 다니셨더라고요.]

의정부시 평생학습원 지하 공간을 개조해 사용하기 전까진 인근 학교 책걸상을 가져와 노후 건물에서 교육을 이어왔고, 지금도 정부 및 지자체 지원금만으론 운영이 빠듯해 후원단체를 찾아다녀야 합니다.

그럼에도 야학이 계속 운영되는 건 김 씨 같은 자원봉사자들 덕분입니다.

[김유식/경기도 도로안전과 주무관 : 중등 과정부터 저희 야학에서 수업을 받으시고 고등 과정 가셔서 또 고등 과정 학력을 검정고시를 패스한 다음에 대학교까지 진학하셨어요. 이제는 야학 선생님으로 나눔에 동참하는 선생님이 계십니다.]

야학이 줄어들고 있는 시대에 김 씨가 바라는 건 어머니처럼 배움의 아쉬움이 남은 사람들이 조금이라도 혜택을 받는 겁니다.

[김유식/경기도 도로안전과 주무관 : 오셔서 주무셔도 되고 깨다가 또 재밌으면 들으셔도 되고 제일 중요한 거는 참여를 해 주세요. 포기하지 마시고.]

(영상취재 : 양현철, 영상편집 : 홍경실)

백운 기자cloud@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