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속으로]한달새 은행예금만 60조원+... 자금시장 정체 원인

이용안 기자 2022. 11. 18. 16:0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금융당국이 최근 자금시장 경색 사태의 주범 중 하나로 은행을 지목했다. 두 달 만에 80조원이 넘는 유동성을 빨아들인 탓이다. '레고랜드 사태' 이후 당국이 긴급하게 유동성 지원방안을 내놨지만, 효과가 크지 않은 이유라는 지적이다. 금융당국이 은행에 급격한 예금금리 인상을 자제하고 은행채 발행도 최소화하라는 주문을 하기에 이르렀다.

18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올 10월말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잔액은 931조6000억원으로 전월보다 56조2000억원 늘었다. 이 같은 증가 폭은 2002년 1월 관련 통계 작성 이후 역대 최대다. 전월에도 정기 예금 잔액이 32조5000억원 늘었다. 당시도 역대 최대치였다. 최대치 경신 한 달 만에 이를 다시 뛰어 넘었다.

한국은행의 급격한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유동성커버리지(LCR)비율을 맞추기 위해 은행들이 예금금리를 공격적으로 올린 영향이다. 최근 KB국민·우리·NH농협은행에서는 연 5% 금리가 넘는 정기예금 상품까지 등장했다. LCR비율은 고 유동성자산을 1개월 순현금유출로 나눈 비율이다. 현금화하기 쉬운 자산의 최소 의무비율이다.

LCR 규제를 맞추기 위해 자금이 필요해진 은행들은 은행채 발행에도 열을 올렸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에 따르면 지난 9월에만 25조8800억원의 은행채가 발행됐다. 역시 월 기준 역대 최대다. 올 초만 해도 은행들의 은행채 발행 규모는 월 10조원 수준이었다.

금융권에서는 레고랜드 사태 이후 채권시장이 얼어붙은 배경에 이 같은 은행의 자금조달 노력이 한몫했다고 분석한다. 한국전력 회사채(한전채)와 더불어 채권시장의 자금을 은행들이 빨아들이자 다른 회사들의 채권이 소화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다는 것. 기업들이 아무리 높은 금리를 제시해도 신용도가 높은 국고채, 은행채만 원활한 발행히 이뤄졌다.

영향은 즉각 2금융권이 받았다. 은행으로의 예금이탈이 가속화됐다. 이 같은 이탈을 막기 위해 일부 신협에서는 연 10% 금리를 주는 적금 특판 상품까지 내놨다. 저축은행도 이에 질세라 금리 6%가 훌쩍 넘는 예금 상품을 선보였다.

자금시장을 진정시키기 위해 정부는 지난달 23일 '50조원+α' 규모의 유동성 지원 대책을 내놨다. 채권시장안정펀드(채안펀드) 등을 통해 회사채와 단기어음(CP) 등을 매입하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이에 더해 지난 11일에는 단기자금시장의 약한 고리인 프로젝트파이낸싱(PF)-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 매입에 2조8000억원을 지원하기로 했다.

증권사의 순자본비율(NCR)에 포함되는 ABCP의 위험비율도 조정하기로 했다. 그간 증권사가 차환 실패로 ABCP를 떠안게 되면 NCR 위험값을 100%로 잡았는데, ABCP가 많아질수록 증권사 NCR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었다. 이에 금융당국은 ABCP의 신용등급과 유통 가능성을 고려해 위험값을 차등 적용하기로 했다.

그럼에도 상황이 나아지지 않았다. 결국 금융당국은 결국 은행에 예금금리 인상자제와 은행채 발행 최소화를 주문을 하기에 이르렀다. 나아가 은행에 자금중개 역할까지 당부하는 등 적극적인 개입에 나섰다. 금융권은 당국의 이같은 조치가 우리 경제의 '돈맥경화'현상을 누그러트릴 수 있을지 주목한다.

이효섭 자본시장연구원 금융산업실장은 "은행으로 자금이 쏠리는 상황에서 금융당국의 조치는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며 "실제로 당국이 은행에 예금금리 인상과 은행채 발행 자제를 요구한 후 시장이 안정되고 우량채권이 발행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연말까지 자금시장의 안정세가 이어질 수는 있지만 미국의 소비자물가지수(CPI)가 다시 뛸 수도 있고, 유럽발 리스크가 닥칠 수도 있다"며 "내년 초 크레딧물에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에 대한 선제적인 대응 방안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스캔들 후폭풍? 박민영 소속사, 압수수색이어 윤여정·이승기 이탈설한혜연, 2년만에 입연 뒷광고 '속사정'…오은영 "치명타 입었다"박지성 250억 빌딩 vs 손흥민 150억 연봉…최고 부자는?"계란 썩은 냄새 나" 인천에 무슨 일이…서울까지 악취 퍼져19세 등급 '오은영' 상담내용 선넘었다? 방심위 심의받은 이유
이용안 기자 king@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