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의 詩 읽기] 내가 바깥이어야 당신이

2022. 11. 18. 05:1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장소의 의미는 생각보다 넓다.

강변역에 걸려 있는 '밤눈'은 김광규의 시인데 추운 밤 두 연인이 간절히 원하던 집이 '서로의 바깥'으로 전환된다.

'바깥'이라는 키워드가 눈에 밟히지 않았다면 '강변역'이란 좋은 시는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내가 바깥에 있다면 왜 그런지, 도대체 안과 밖을 구분하는 장벽은 누가 세웠는지 궁구해볼 일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01010101801.20221118.900061455.05.jpg

장소의 의미는 생각보다 넓다. 집이나 산책로만 장소인 것은 아니다. 누군가에게는 냉면 한그릇이 두고 온 고향일 수 있고, 노래 한곡으로 가고 싶은 곳을 대신하는 경우도 있을 것이다.

시 ‘강변역’에는 장소가 여럿이다. 실제 강변역, ‘밤눈’의 배경인 ‘추운 노천역’, 시의 화자가 살고 있을 그 어떤 곳, 그리고 ‘그 시의 바깥’.

강변역에 걸려 있는 ‘밤눈’은 김광규의 시인데 추운 밤 두 연인이 간절히 원하던 집이 ‘서로의 바깥’으로 전환된다. 내가 외부가 돼야 당신이 ‘따스한 방’ 안에 있을 수 있다는 메시지다.

나는 시를 쓰게 하는 시가 좋은 시라고 자주 강조해왔거니와 ‘강변역’을 쓰게 한 ‘밤눈’은 좋은 시다. 하지만 좋은 시를 읽었다고 해서 바로 시가 태어나지는 않는다. ‘바깥’이라는 키워드가 눈에 밟히지 않았다면 ‘강변역’이란 좋은 시는 생겨나지 않았을 것이다.

바깥이란 무엇인가. 벽이 있어야 문을 낼 수 있듯이 안이 있어야 밖이 있을 수 있다. 안 또한 마찬가지. 외부가 없으면 내부도 없다. 내가 어디에 있는지 모르는 ‘강변역’의 화자가 직면한 상황은 안과 밖의 경계가 어딘지 모르는 곤혹스러운 상황이다.

우선은 지금 내가 어디에 있는지, 왜 이런 곳에서 먹고사는지 깊이 살펴볼 일이다. 내가 바깥에 있다면 왜 그런지, 도대체 안과 밖을 구분하는 장벽은 누가 세웠는지 궁구해볼 일이다. 그러고 나야 벽에다 문을 내는 방도를 찾을 수 있다.

시는 바깥이다. 바깥의 사유다. 밖으로 나가야 안이 보이기 때문이다. 당신 밖으로, 나의 바깥으로 나가보자. 서로 바깥이 돼보자. 그래야 우리는 진정 좋은 장소, 좋은 ‘안’을 꿈꿀 수 있다.


이문재 (시인)

Copyright © 농민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