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n사설] 제2 중동 붐 기대 부풀리는 사우디 특수

2022. 11. 17. 18:19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수교 60주년을 맞은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 간 투자 확대와 경제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사우디는 한국의 제1 원유도입국이자 중동 제1위 교역국이다.

특히 석유 수출 중심의 경제구조를 탈피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우디 비전 2030의 실현과 사업비 5000억달러(약 670조원)를 들여 추진 중인 초대형 신도시 네옴시티 사업에 한국 기업의 진출이 활발하게 이뤄질 전망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양국 전략 동반자 관계로 격상
사우디 26건 40조 투자 계약
윤석열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구 한남동 대통령 관저에서 열린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아라비아 왕세자 겸 총리와의 오찬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다. 뉴스1
수교 60주년을 맞은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 간 투자 확대와 경제협력이 강화되고 있다. 사우디는 한국의 제1 원유도입국이자 중동 제1위 교역국이다. 특히 석유 수출 중심의 경제구조를 탈피하기 위해 추진하는 사우디 비전 2030의 실현과 사업비 5000억달러(약 670조원)를 들여 추진 중인 초대형 신도시 네옴시티 사업에 한국 기업의 진출이 활발하게 이뤄질 전망이다.

무함마드 빈 살만 사우디 왕세자 겸 총리가 17일 방한, 윤석열 대통령과 회담을 갖고 오찬을 함께했다. 양국은 '미래지향적 전략동반자관계'로 발전시켜나가는 한편 '전략 파트너십 위원회'를 신설하기로 합의했다. 빈 살만 왕세자는 "사우디 '비전 2030'의 실현을 위해 한국과 협력을 강화해 나가길 희망한다"면서 특히 "에너지, 방위산업, 인프라·건설 등 3개 분야에서 한국과 협력을 획기적으로 강화하고 싶다"고 강조했다.

이날 오후에는 이재용 삼성, 최태원 SK, 정의선 현대차 등 기업 총수를 만났다. 네옴시티 지하터널 공사를 수주한 삼성은 인공지능(AI), 5G 무선통신, 사물인터넷(IoT) 관련 사업 진출을 모색하고 있다. 현대차는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생태계 구축을 포함한 스마트시티 모빌리티 사업, SK는 친환경에너지, 한화는 태양광과 도심항공모빌리티(UAM) 등의 분야에서 협력 가능성을 타진 중이다. 4개 그룹 이외에도 이재현 CJ, 박정원 두산, 이해욱 DL, 정기선 HD현대 사장도 참석했다.

한국과 사우디 양국은 이날 하루 동안 40조원대의 각종 초대형 프로젝트 협력에 동시다발적으로 시동을 걸었다. 양국 정부는 모두 26건의 계약·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사우디 국영기업 아람코가 대주주인 에쓰오일이 9조2580억원을 투자하는 울산 2단계 석유화학사업(샤힌 프로젝트)은 단일사업으로는 역대 최대 규모의 외국인 투자 프로젝트로 꼽힌다. 한국전력 등은 사우디 국부펀드와 8조5000억원짜리 그린수소·암모니아 공장 건설 추진 프로젝트 MOU를 맺었다. 현대로템은 사우디 철도청에서 추진하는 2조5000억원 규모의 네옴 고속철 철도 협력을 위해 손을 맞잡았다. 사우디 원전개발 및 조선·플랜트 관련 사업 등 다양한 협력 방안도 논의될 예정이다.

1970년대 중동 붐이 또 한번 일 것이라는 기대감이 높다. 최대 100조원대 사업 수주가 기대된다. 네옴시티는 서울의 44배 면적에 스마트도시를 짓는 초대형 프로젝트이기 때문이다. 한국이 강점을 가진 도시 인프라와 정보기술(IT), 원전 건설 등의 분야에서 광범위한 사업기회가 펼쳐진다.

그러나 빈 살만 왕세자의 다음 행선지는 일본이다. 치열한 글로벌 수주전에 대비해야 한다. 2030년 세계엑스포 개최를 놓고 사우디 수도 리야드와 부산이 경쟁 중인 점도 변수이다. 제2 중동 붐이라는 기회가 기대를 넘어 성과로 이어지려면 기업과 정부의 보다 다각적이고 전략적인 접근이 요구된다. 정부의 외교력 발휘는 기본 중의 기본이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