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태원 참사` 명단 공개…2030과 4050의 생각은 달랐다[NBS]

박기주 2022. 11. 17. 11:3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 공개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4일부터 16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11월 셋째 주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 공개 주장에 대한 질문에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11월 셋째 주 전국지표조사(NBS)
명단공개 찬성 45%, 반대 49%
2030세대, 60% 이상이 `반대`, 4050 `찬성` 과반

[이데일리 박기주 기자]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 공개에 대해 부정적인 여론이 다소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정치 성향과 세대에 따라 찬반이 극명하게 나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료= NBS)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14일부터 16일까지 만 18세 이상 남녀 100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11월 셋째 주 전국지표조사(NBS)에서 ‘이태원 참사’ 희생자 명단 공개 주장에 대한 질문에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 중 49%는 ‘희생자와 유가족의 슬픔을 정치적으로 이용하려는 주장에 불과하다’고 반대 의견을 밝혔고, ‘유족들이 반대하지 않는 한 이름과 영정을 공개하는 것이 당연하다’는 찬성 의견이 45%였다.

국민의힘 지지층에선 반대가 74%로 압도적이었고, 더불어민주당 지지층에선 69%가 반대하며 여론이 엇갈리는 모양새다. 무당층에선 반대 의견이 50%로 높았다. 아울러 세대별로도 차이가 컸다. 20대와 30대는 반대 의견이 각각 63%, 62%로 명단 공개에 과반이 부정적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40대와 50대는 찬성 의견이 각각 57%, 59%로 높았다. 60대에선 찬반이 같았고 70대 이상에선 반대가 50%로 높았다.

또한 ‘이태원 참사’ 진상 규명을 위한 국정조사의 필요성에 대한 조사에선 필요하다는 의견이 더 많았다. ‘철저한 진상조사와 책임 소재 규명을 위해 국정조사가 필요하다고 본다’는 의견이 55%, ‘경찰이 수사 중인 사안을 동시에 국정조사 하는 것은 불필요하다고 본다’는 의견이 41%로 나타났다.

이 항목 역시 민주당 지지층에선 85%가 국정조사가 필요하다고 했고, 국민의힘 지지층에서는 77%가 필요하지 않다고 했다. 무당층에선 53%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한편 국민의힘의 정당 지지율은 30%로 직전 조사 대비 3%포인트 하락했고, 민주당은 2%포인트 오른 33%를 기록했다. 이 조사에서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범위 내에서 앞선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활용한 전화 면접조사 방식으로 실시됐으며 응답률은 13.2%, 표본오차는 95% 신뢰 수준에서 ±3.1%포인트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박기주 (kjpark85@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