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는 불평등과 직결”

강한들 기자 2022. 11. 14. 21:01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녹색전환연구소 김혜미 실장
김혜미 녹색전환연구소 운영실장이 14일 서울 종로구 사무실에서 경향신문과 인터뷰를 하고 있다. 성동훈 기자
취약계층 곁 사회복지사들
반지하 주민 침수 피해 보며
기후는 사회복지 영역 체감

10년차 사회복지사 A씨는 지난여름 폭우를 겪은 뒤 ‘불평등이 재난’이라는 말을 체감했다. 폭우 피해를 입은 지역에서 일하는 A씨는 14일 기자와 통화하면서 “서비스 이용자로 만나고 있는 분 중 열에 일곱은 반지하에 살아서 대부분 침수 피해를 겪었다”며 “경제적인 것도 불평등한데 이제 기후위기의 영향마저 불평등해야 하나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사회복지사는 기후위기 ‘최전선’에 놓인 사람들을 직접 만난다. 지난 9월 기후정의행진에 참여한 시민단체 ‘세상을 바꾸는 사회복지사(세밧사)’ 회원들은 “불평등과 빈곤에 처한 취약계층을 만나는 사회복지사가 기후정의를 앞장서 외쳐야 한다”고 말한다.

이날 서울 종로구 녹색전환연구소에서 김혜미 운영실장을 만나 사회복지사들이 생각하는 기후위기에 관해 물었다. 김 실장은 2017년부터 5년간 ‘세밧사’에서 간사로 일한 경험이 있다. 김 실장은 “상위 1%가 절반 이상의 탄소 배출을 하는 상황에서 피해는 그와 정반대에 있는 사람들에게 집중되고 있다”며 “기후위기는 불평등의 문제”라고 말했다.

기후위기가 만든 폭염은 ‘취약계층’에게 더 가혹하다. 행정안전부가 발간하는 ‘2020 재해연보’를 보면 2018년부터 2020년까지 폭염으로 목숨을 잃은 사람은 107명으로 한 해 평균 35명이 넘었다. A씨는 “만나고 있는 서비스 이용자 150명 중 에어컨이 있는 분은 두세 명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며 “그분들조차 에어컨을 편히 켤 엄두는 못 낸다”고 말했다.

2018년 9월에는 폭염이 재난안전법상 ‘자연재난’으로 관리되기 시작했다. 사회복지사들도 이 폭염을 계기로 기후 문제를 사회복지 영역에서 다뤄야 할 문제 중 하나로 생각하고 대응 방안을 고민하기 시작했다. 지난 8월 폭우 이후 기후위기를 ‘내 문제’로 받아들이는 사회복지사는 더 늘었다.

김 실장은 기후위기가 ‘불평등’과 직결돼 있다고 봤다. 질병관리청의 ‘2021 폭염으로 인한 온열질환 신고현황 연보’를 보면 2018년 폭염의 영향으로 세상을 떠난 48명 중 15명은 집에서 죽었다. 주거지로 분류되지 않지만 실제로 주거지로 기능하고 있었던 여관방 등 ‘기타’ 분류에도 3명이 있었다. 김 실장은 이에 대해 “거주 공간에서조차 기후위기와 재난에 대응할 수 없는 모습이 숫자로도 증명되고 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 실장은 ‘기후위기 시대’에 사회복지사가 ‘옹호자’로서의 책임이 있다고 지적했다. 교과서에서 말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 중에는 “이용자가 서비스를 받을 권리를 유지하도록 돕거나 부정적 효과를 주는 프로그램과 정책을 변화시키는 운동을 적극적으로 지지”하는 ‘옹호자’가 포함된다. 김 실장은 “기후위기에 대응할 때 기업이 어떻게 ‘녹색성장’할 것인가보다, ‘가장 피해를 많이 받는 사람들의 삶’을 챙기는 게 최우선이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실장이 세밧사 간사로 일하는 동안 세밧사는 기후위기비상행동의 연대체가 되기도 했다.

김 실장은 ‘기후정의’의 핵심이 불평등을 줄여나가는 데 있다고 했다. 그는 “기후위기를 심화시키는 원인은 대기업, 석탄화력발전 중심 산업, 부유한 사람들”이라며 “국내뿐 아니라 국제적으로도 ‘손실과 피해’를 만드는 원인을 해결하고 극복하는 방식으로 돈을 어디에 어떻게 쓸 건지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한들 기자 handle@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