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합스부르크, 매혹의 걸작들] 먹잇감을 놓지 않는 표범, 뺏으려는 대머리독수리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갓 잡은 흰 닭을 지키려 몸을 잔뜩 웅크린 표범.
그 옆에 발톱을 드러내며 닭을 낚아채려는 독수리.
벨기에 브뤼셀 출신인 화가 필리프 페르디난트 데 해밀턴은 아버지와 동생들 모두 정물화를 그린 '정물화 집안'에서 태어났다.
표범이나 대머리독수리와 같은 이국적 동물을 묘사하는 건 그에게도 큰 도전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해밀턴의 주특기 돋보여
갓 잡은 흰 닭을 지키려 몸을 잔뜩 웅크린 표범. 그 옆에 발톱을 드러내며 닭을 낚아채려는 독수리. 이들의 몸짓과 눈빛을 강렬하게 만든 건 이들 뒤로 펼쳐진 평화롭고 목가적인 풍경이다. 배경과 주제를 강렬하게 대비하자 그림은 한층 더 드라마틱해진다.
벨기에 브뤼셀 출신인 화가 필리프 페르디난트 데 해밀턴은 아버지와 동생들 모두 정물화를 그린 ‘정물화 집안’에서 태어났다. 사냥감과 가금류, 사냥 장면을 묘사한 작품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합스부르크 왕가의 황제인 요제프 1세와 카를 6세, 마리아 테레지아를 위해 일했던 신성로마제국의 대표 궁정 화가였다.
사냥할 때의 긴박한 장면을 그리는 건 해밀턴의 주특기였다. 표범이나 대머리독수리와 같은 이국적 동물을 묘사하는 건 그에게도 큰 도전이었다. 다른 사냥 정물화와 달리 최고의 긴장감 넘치는 순간을 머릿속으로 상상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림을 감상하는 사람들에게도 ‘그다음에 어떤 일이 벌어졌을까’를 그려보게 한다. 사냥이 귀족들의 부유한 취미로 자리 잡으며 17~18세기 바로크 시대에 이 같은 회화적 기교는 매우 높게 평가받았다.
김보라 기자 destinybr@hankyung.com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아내 덕에 제2 전성기"…한국 5위 부자의 5조 이혼소송
- "공시가 11억 아파트, 9억에 팔렸는데…" 집주인들 뿔났다
- '인생샷 성지' 입소문 나더니…"살고 싶다" 작은 마을의 기적
- 오픈런까지 벌어졌는데…'연 10%대' 고금리 적금 실상은
- "원더풀"…G80 전기차 탄 VIP들 감탄 쏟아냈다
- [전문] '돌싱글즈3' 이소라 "이혼 사유 불륜 아닙니다"
- 정은표, 온 가족 일어나자마자 독서? 서울대생 탄생시킨 모닝 루틴 (‘호적메이트’)
- 개그우먼 홍현희, 출산 뒤 -8kg 다이어트 성공 비결 '허리업' 주목
- 화사, '딱 붙는' 니트 원피스로 드러낸 고혹·섹시美
- 이상순, 제주 카페 논란에 "이효리와 무관…온전히 제 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