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동자산 9억弗에 빚 500억弗…파산한 FTX의 민낯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실한 재무구조가 드러나며 유동성 위기에 빠졌던 글로벌 암호화폐거래소 FTX가 끝내 파산을 신청했다.
총부채만 많게는 500억달러(약 66조원)에 이르는 업계 사상 최대 규모의 파산이다.
하지만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파산 신청 직전 FTX의 유동자산은 9억달러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FTX는 파산 신청 직후 6억6200만달러 규모 자산이 "비정상적으로 유출됐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재무구조 부실 의혹 열흘도 안돼
올들어 미국서 가장 큰 규모 파산
암호화폐 시총, 5일간 192조 증발
다른 거래소도 '준비금 조작' 의혹
'코인계 워런 버핏' 뱅크먼프리드
고객 예치금 유용·부당거래 의혹
파산 후 6.6억弗 코인 도난 신고도
부실한 재무구조가 드러나며 유동성 위기에 빠졌던 글로벌 암호화폐거래소 FTX가 끝내 파산을 신청했다. 총부채만 많게는 500억달러(약 66조원)에 이르는 업계 사상 최대 규모의 파산이다. 금융권 안팎에선 FTX 붕괴를 2001년 희대의 회계 부정으로 파산한 미국 에너지 기업 엔론 사태에 빗대며 후폭풍을 우려하고 있다. 후오비 크립토닷컴 게이트아이오 등 일부 거래소는 서로 부족 자금을 빌려주며 ‘돌려막기’를 하고 있다는 의혹도 나왔다.
부채 500억달러, 자산은 9억달러
FTX는 지난 11일 “미국 델라웨어주 법원에 파산법 11조(챕터11)에 따른 파산보호를 신청했다”고 발표했다. 미국 파산법 11조는 파산법원의 감독하에 구조조정 절차를 진행하는 제도다. 한국의 법정관리와 비슷하다. FTX는 2일 재무구조 부실 의혹이 처음 불거진 이후 사업 매각, 추가 자금 조달 등을 시도했지만 모두 실패하고 열흘도 안 돼 결국 파산 절차에 들어갔다.
파산보호를 신청한 것은 FTX 그룹 소속 기업 134곳이다. 본사 격인 FTX와 미국 법인인 FTX US는 물론 FTX 재무 부실의 핵심에 있는 헤지펀드 알라메다리서치가 모두 포함됐다.
FTX는 총부채가 최소 100억달러에서 최대 500억달러에 이르며 채권자는 10만 명이 넘는다고 신고했다. 보유 자산은 부채와 같은 규모라고 했다. 하지만 파이낸셜타임스에 따르면 파산 신청 직전 FTX의 유동자산은 9억달러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투자자 거액 손실 가능성
세계 FTX 이용자는 120만 명(작년 기준)에 이른다. FTX의 출금 중단 이후 묶인 이용자 예치 자산도 6억9543만달러(10일 기준)에 달했다. 가격이 급락하기 이전의 가치를 따지면 실제 규모는 훨씬 클 것으로 추정된다. 암호화폐는 제도적 보호장치가 없기 때문에 FTX가 파산하면 투자자는 이 돈을 돌려받을 가능성이 매우 낮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FTX는 파산 신청 직후 6억6200만달러 규모 자산이 “비정상적으로 유출됐다”고 밝혔다. 업계 안팎에선 “해킹을 가장해 FTX가 자금을 빼돌린 것 아니냐”는 의혹이 번지고 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FTX의 샘 뱅크먼프리드 창업자와 경영진은 이미 100억달러 상당의 이용자 자금을 빼돌려 알라메다에 지원한 전적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FTX 파산은 전체 금융시장에도 파장을 미칠 전망이다. 블랙록 소프트뱅크 등 FTX에 총 14억달러가량 투자한 기관들도 대부분 손실을 볼 것으로 예상된다. 뱅크먼프리드가 지분을 보유한 로빈후드와 비트코인 투자 비중이 높은 마이크로스트래티지, 코인 투자사 갤럭시디지털 등 상장사들은 1주일 새 주가가 급락하며 시총이 50억달러 가까이 증발했다.
다른 거래소는 믿을 수 있나
대형 거래소들은 “우린 안전하다”며 준비금 증명에 나섰지만 불신은 커졌다. 한때 중국 최대 거래소였던 후오비와 게이트아이오, 크립토닷컴 등은 서로 부족 자금을 빌려주며 ‘돌려막기’를 하고 있다는 의혹이 나왔다. 세계 최대 거래소 바이낸스의 자오창펑 최고경영자(CEO)는 “명확한 문제의 징후”라며 “멀리 하라”고 경고했다.
국내 원화 거래소들은 분기 또는 반기마다 회계법인을 통해 외부 감사를 받고 그 내용을 웹사이트에 공개하고 있다. 양대 거래소인 업비트는 투자자 예치금 대비 보유 자산의 현금 가치 비율이 102%(10월 기준), 빗썸은 119%(6월 기준)라고 밝혔다. 지급 불능 위험은 없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해외 거래소들과 달리 거래소의 지갑 주소를 공개하지 않고, 공시 내용도 세부 내역이 공개되지 않아 이용자의 불안을 덜기엔 역부족이란 지적도 나온다.
빈난새 기자 binthere@hankyung.com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콧대 높은 아이폰 '10년 고집' 꺾이나…관심 쏟아지는 이유 [배성수의 다다IT선]
- 월드컵 16강 오르자 '반전'…지켜보던 '그들'이 움직였다 [신현보의 딥데이터]
- "포르쉐야 좀 비켜줄래?"…스포츠카보다 빠른 짐승 트럭 [백수전의 '테슬람이 간다']
- "한국인들 1~2살씩 어려진다"…외신도 덩달아 '떠들썩'
- [위클리 건강] "겨울철, 차 마시는 습관이 면역력 높인다"
- [종합] 박탐희 "헐벗고 나와 민망…갱년기 오면 열 많아 항상 더워" 해명('편스토랑')
- 미녀 기상 캐스터, 황희찬과 팔짱 꽉 끼고…"인성마저 갓벽"
- '오늘 결혼' 티아라 지연♥황재균, 웨딩 화보 공개…그림 같은 힙한 매력
- 대상은 신동엽? 김종민?…'2022 KBS 연예대상', 받을 사람이 없다 [TEN스타필드]
- 이상순, 제주 카페 논란에 "이효리와 무관…온전히 제 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