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P27·FAO, 기후변화 취약국 농업·식품 부문 지원 계획 ‘FAST’ 실시

박효재 기자 2022. 11. 13. 17:1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27) 의장인 사메 슈크리 이집트 외교장관이 지난 6일(현지시간) 샤름엘셰이크 회의장에서 연설하고 있다. AP연합뉴스

제27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27) 회원국 정상들과 유엔식량농업기구(FAO)는 12일(현지시간) 기후변화 취약국 지원을 위한 ‘지속가능한 전환을 위한 식량·농업’(FAST) 계획을 실행에 옮긴다고 밝혔다. 식량·농업 부문 종사자들이 기후변화 관련 금융과 투자를 파악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각국 정부 역량을 높이는 것이 골자다. 그동안 식량·농업 부문을 자원 순환형으로 바꾸기 위한 자금이 충분하지 못해 기후변화 피해가 커졌다는 문제의식에 따른 것이다.

COP27 의장국인 이집트의 사메 슈크리 외교장관은 이날 샤름엘셰이크 기자회견장에서 FAST에 대해 “이를 통해 세계가 힘을 합쳐 농식품 시스템을 개선하고, 기후변화 취약국들의 자금난 해소에 앞장 서도록 한다는 취지”라고 설명했다. 그는 기후변화의 충격과 피해가 저개발국에 집중되어 있다면서 “이런 불공평에 대처하기 위해 우리는 지속 가능한 농사와 식품 시스템을 개발하고 식량수입에 의존하는 저개발 국가들에 대해 농식품 시스템의 개선을 통해 도움을 줘야 한다”고 말했다. FAST 집행부는 기후변화 취약국들에 대한 자금 지원은 물론 국가들 사이에 기후변화 정보 공유, 정책 개발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FAO는 지난 10년간 전반적으로 기후재정이 증가하고 있지만, 농업에 할당된 몫은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면서 FAST를 통해 이 비중을 늘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농업 및 토지 이용 부문은 2000~2018년 사이 1220억달러를 지원받았는데 이는 전체 기후금융의 26%를 차지한다. FAO에 따르면 이 비중은 2000년대 초반 45%였다가 2013년 24%까지 떨어졌다. 이후 좀처럼 30% 수준을 회복하지 못했다.

식량 생산 공헌도와 지원 사이 불균형 해소도 과제로 꼽혔다. 개발도상국의 소규모 농민들은 세계 식량의 3분의 1을 생산하고 있지만, 전체 기후금융의 1.7%만 받는 것으로 추산된다. 사비리바 도레 엘바 유엔농업개발기구 친선대사는 “농촌 인구가 극단적인 기상현상에 대해 회복력을 갖출 수 있도록 돕지 않는다면 현재 위기는 다음 위기로 옮겨갈 뿐”이라며 각국 지원을 호소했다.

FAST는 지속가능한 농산물 생산 시스템으로의 전환이 기후위기 대응과 식량안보에 대한 해결책이 될 수 있다는 인식에서 시작됐다. 식량·농업 부문은 기후변화의 영향을 많이 받으면서 동시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 분야다. 생산에서 소비에 이르기까지 전체 온실가스의 약 3분의 1이 식량·농업 부문에서 배출된다. FAO의 지투니 울드다다 기후·환경부 부국장은 “식량을 생산하면서 토양을 악화시키고, 생물다양성을 줄이며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는 현재의 모델을 지속할 수는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전체 온실가스 배출량의 8%를 차지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해결하는 것이 우선”이라면서 식량을 낭비하지 않는 방식으로 사고방식과 생산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덧붙였다.

자원순환형 생산·소비가 이뤄질 수 있도록 혁신적인 농법을 도입하는 것은 장기 과제로 제시됐다. FAO는 식량 다양성을 촉진하고 가치 사슬 전반에 걸쳐 농업 관행을 개선해야만 코로나19 대유행, 우크라이나 전쟁 등 다양한 변수에도 회복력을 유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박효재 기자 mann616@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