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소멸 추세, 비수도권 군 지역서 광역시로 급확산"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비수도권 군 지역에 주로 한정된 '지방소멸' 추세가 부산 울산 등 광역시로 확산 중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K-지방소멸지수'를 토대로 지방소멸 위험도를 조사한 결과 전국 228개 시·군·구 가운데 59곳이 '소멸위기지역'으로 분석됐다고 13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산 서구·영도구, 울산 동구 등 포함
영도구, 59곳 중 인구증가율 가장 낮아
비수도권 군 지역에 주로 한정된 ‘지방소멸’ 추세가 부산 울산 등 광역시로 확산 중이라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산업연구원은 ‘K-지방소멸지수’를 토대로 지방소멸 위험도를 조사한 결과 전국 228개 시·군·구 가운데 59곳이 ‘소멸위기지역’으로 분석됐다고 13일 밝혔다. K-지방소멸지수는 ▷인구 증감률 ▷지역내총생산(GRDP) ▷지식산업 비율 ▷연구·개발(R&D) 비용 등을 근거로 산업연구원이 이번에 새로 개발한 지표다. 산업연구원은 59곳 중 소멸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역 9곳을 ‘소멸위험지역’으로, 나머지 50곳은 ‘소멸우려지역’으로 분류했다.
59곳을 지역별로 보면 전남이 13곳으로 가장 많았고 강원(10곳)과 경남·경북(각각 9곳)이 뒤를 이었다. 이어 ▷전북(6곳) ▷충북(3곳) ▷충남(2곳) ▷부산(영도구·서구 2곳) ▷인천(옹진군·강화군 2곳) ▷경기(가평군·연천군 2곳) ▷울산(동구 1곳) 순이었다. 부산 영도구·서구와 울산 동구는 소멸우려지역으로 분류됐다.
산업연구원은 “소멸위험지역(9곳)의 경우 인천 옹진군을 제외하면 모두 비수도권 군 단위 지역이었지만, 소멸우려지역(50곳)에는 부산 영도구·서구와 울산 동구, 수도권인 경기 가평군·연천군, 인천 강화군이 포함됐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이는 인구 감소 추세가 비수도권 군 단위 지역뿐 아니라 광역시와 수도권 일부 지역으로 확산하면서 ‘지방소멸’에서 ‘지역소멸’로 변화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라고 분석했다.
특히 소멸우려지역에 속한 부산 영도구는 2018년부터 2020년까지의 인구 증가율이 -2.79%로 소멸위기지역 59곳 가운데 가장 낮았다. 같은 기간 인구 증가율이 두 번째로 낮은 곳은 울산 동구(-2.60%)였다.
산업연구원은 지방소멸 대응 방안으로 ▷일자리 창출을 위한 기업입지 인센티브 차등화 ▷특화(주력) 전후방 산업 중심의 고부가가치 산업 육성 ▷지방대학 활성화 등을 제안했다.
보고서를 작성한 허문구 산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노무현 정부 이후 지역균형발전 정책이 본격 추진됐지만 수도권 집중 현상은 더욱 심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국토 전체의 11.8%에 불과한 수도권으로 90%에 가까운 소득·일자리·인구가 몰리는 것”이라며 “소멸 위기에 놓인 지역 대부분은 1차 산업의 중심 산업 구조가 고착화된 만큼 전통산업 기반의 산업 다양성을 창출해 고부가가치화를 노려야 한다”고 조언했다.
Copyright © 국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