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금융위기 악몽이…전문가 53.9% "내후년에야 경제 회복"

이강준 기자 2022. 11. 13. 12: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경제전문가 절반 이상이 현 경제 상황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비슷하거나 더 어렵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8일까지 경제전문가(경제·경영학과 교수 204명)를 대상으로 진행한 '최근 경제 상황과 주요 현안'에 따르면 응답자의 52.7%가 현 상황을 이같이 진단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뉴스1) 장수영 기자 =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명동점 딜링룸 전광판에 코스피 지수와 원달러 환율 등이 표시되고 있다. 이날 코스피는 전일대비 0.88포인트(0.04%) 상승한 2237.04포인트로 시작해 장 초반 약보합세를 보이고 있다. 원· 달러 환율은 4.3원 오른 1444.0원으로 시작했다. 2022.10.25/뉴스1 Copyright (C)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국내 경제전문가 절반 이상이 현 경제 상황이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와 비슷하거나 더 어렵다고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가 지난달 26일부터 이달 8일까지 경제전문가(경제·경영학과 교수 204명)를 대상으로 진행한 '최근 경제 상황과 주요 현안'에 따르면 응답자의 52.7%가 현 상황을 이같이 진단했다.

/사진제공=경총

또한 내년 우리 경제성장률이 2% 이하일 것이라는 응답이 79.4%에 달했으며, 전문가 대다수(77.9%)가 우리 경제가 정상궤도로 회복되는 시점은 2024년 이후로 예상했다.

1997년 IMF 외환위기 및 2008년 금융위기 때와 비교한 설문에서, 응답자의 52.7%는 지금 우리 경제가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때와 유사하거나 더 어려운 상황"이라고 답했다. 지금이 IMF 외환위기나 글로벌 금융위기 때 정도로 어려운 상황은 아니라는 응답은 47.3%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57.4%는 최근 우리 경제가 어려운 주된 원인을 '러-우 전쟁, 미-중 패권 다툼, 에너지 가격 같은 전 세계적인 경제·정치 리스크'라고 지적했다. 그다음으로 '대외 의존적인 우리 경제?산업 구조'라는 응답은 24%였고, '정책당국의 신속한 위기 대응 미흡'이라는 응답은 11.3%로 나타났다.

응답자들의 79.4%는 내년 우리 경제성장률을 2% 이하로 전망했다. '2.0% 초과 ~ 2.5% 이하' 응답은 20.6%에 그쳤다. 내년 성장률이 2.5%를 넘어설 것이라는 응답은 나오지 않았다. 한국은행·OECD(경제협력개발기구) 등 국내외 기관의 우리 경제성장률 전망치의 평균은 1.87%다.

/사진제공=경총

우리 경제가 정상궤도로 회복되는 시점에 대해 '2024년'이라는 응답이 53.9%, '2025년 이후'라는 응답도 24%에 달해 응답자의 77.9%가 회복 시점을 2024년 이후로 전망했다. '내년(2023년)에 회복될 것'이란 응답은 22.1%에 불과했다. 응답자들의 47.1%는 최근의 높은 물가 상승세가 당분간 이어지면서 내년 1분기에 정점에 이를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인상과 관련, 응답자의 44.1%는 현재 3% 수준보다 기준금리를 더 올릴 필요는 있지만, 시장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번 금리상승기 중 최고치는 한은 전망치인 3.5% 수준이 적절하다고 답했다. 그러나 기준 금리를 지금 수준에서 유지하거나 인하해야 한다는 응답도 32.9%로 나타나,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경기 둔화나 가계?기업부담을 우려하는 의견도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그다음으로정 운영기조를 묻는 설문에 대해, 응답자의 65.8%는 '최근 기업 자금경색, 위기 대응 측면에서는 단기적으로 확대할 수 있지만 평상시에는 균형재정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그다음으로는 '긴축재정을 통해 재정건전성을 더 높여야 한다'는 응답이 20.8%로 나타났고, '정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어 재정지출을 더 확대해야 한다'는 응답은 13.4%에 그쳤다.

[관련기사]☞ 김희철, '결별' 모모 언급에 당황…"너 때문에 트와이스 못 나와"우기 "이미주, 왜 인사 안오냐며 꼰대질" 폭로…유재석 반응은?"아예 연락 안 해요?" 이상민, 재혼한 전처 이혜영 언급에 그만…"이영지, 예능·경연대회뿐 앨범 한 장 없어" 정면비판에 '시끌'박슬기, 女배우 인성 폭로 "인터뷰 중 화내 당황…지금도 잘나가"
이강준 기자 Gjlee1013@mt.co.kr

<저작권자 ⓒ '돈이 보이는 리얼타임 뉴스' 머니투데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머니투데이 &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