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세 인간] ⑮ 어떤 집에서 살까…세상과 접속하는 '공동체'(끝)
이웃과 연대해 사회안전망 갖춘 '시민의 집' 꿈꾼다
[※ 편집자 주 =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3년생)가 노인층의 핵으로 진입하면서 노인 인구가 급증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65세 이상의 노인 비율이 2018년 14.4%로 '고령 사회'에 들어선 데 이어 2025년 20.6%로 '초고령 사회'에 들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100세 이상 역시 1990년 459명에서 2020년 5천581명으로 10배 이상 증가했다. 수명이 점점 길어져 '고령 국가' 탄생을 예고하고 있다. 고령화 시대를 사는 노인에게 돈과 건강만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젊은 층과 세대 갈등, 외로움과 고독, 가족·사회와 분리되는 소외 등을 들여다보아야 할 시점이다. 연합뉴스는 노인이 존엄성을 지키며 행복한 삶을 위해 개인과 사회, 국가가 무엇을,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 15편에 걸쳐 인문학적 관점에서 살펴보자고 한다. ①∼④편은 한국 노인의 실상과 실태를, ⑤∼⑩편은 공동체에 이바지한 노인들을, ⑪∼⑮편은 선배시민 운동과 과제 등을 싣는다.]
(전주=연합뉴스) 홍인철 기자 = 아역배우 출신으로 57년째 무대에 서는 송승환(65)씨.
그는 배우로서는 물론이거니와 한국형 뮤지컬 퍼포먼스를 대표하는 공연 '난타'를 제작하고, 세계에 감동을 준 '2018 평창동계올림픽 개ㆍ폐회식' 총감독을 맡는 등 문화기획자로서도 탁월한 능력을 보여줬다.
그런 그가 4년 전 시력이 급속히 나빠져 30㎝ 앞만 볼 수 있고, 그것을 넘어서면 안개가 가득 낀 것처럼 보인다고 한다.
다행히 병의 진행은 멈췄고, 다시 연극 무대에도 서고 있다.
최근 한 TV 프로그램에 나온 그는 말미에 "잘 늙어가도록 하겠다"며 밝게 웃었다.
그가 짧게 말한 '웰 에이징(well-aging)'은 아마 몸과 마음 모두 건강하게 노년에도 행복하게 일하고 싶다는 바람의 함축적 표현이었을 것이다.
이처럼 인간은 누구나 '잘 살다 잘 죽기'를 갈망한다.
동물은 삶을 회고하거나 가치를 평가하지 않고 순리대로 살다 죽지만, 인간은 의식주가 해결되더라도 삶이 더 의미 있고 가치 있기를 바란다.
그런데도 정작 노년을 어떻게 가치있게 살 것인가에 대한 개인적 성찰이나 사회적 논의는 수면 아래에 머물러 있다.
특히 관심과 격려를 받고 정서적으로 편안하게 지내야 할 한국의 노인 대부분은 누구랑 어떻게 재밌게 살 것인지에 대한 준비가 거의 안 돼 있다.
설사 돈과 건강이 허락되더라도 친구와 이웃이 없으면 외로움으로 고독사하는 등 불행의 문턱을 밟기 마련이다.
노인에게 가장 견디기 힘든 것이 '빈곤'이 아니라 '외로움'이라는 많은 설문조사 결과가 이를 잘 말해준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어떻게 나이 들 것인가에 대해 준비하고 설계하는 것이 행복한 노년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조언한다.
실제 자식을 위해 평생 헌신한 한국 노인 세대는 그 자체로 박수받아 마땅하지만, 주변을 보지 않고 가족만 챙기고 살다 보니 고독해지고, 고립됐으며 친구도 별로 없다.
박수진 전주안골노인복지관장은 "누구에게나 삶의 주인공은 자신인 만큼 노인들은 중심을 확고히 세우면서도 젊은 세대를 포함한 타인에 대한 감수성을 키워야 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노인들이 이제 가족에 대한 책임에서 벗어나 공동체 전체의 비전과 자기 존재를 찾는 여정에 기꺼이 발을 디뎌야 한다"며 삶에 대한 관점의 전환을 강조한다.
이어 "나이 들고 오래 사는 '100세 시대'에는 양적으로 늘어난 시간이 중요한 게 아니라 그 시간을 어떻게 통과하느냐가 핵심"이라고 부연한다.
자신의 진정한 행복을 추구하는 것과 좋은 사회를 만드는 것이 수렴되는 지점에 삶의 지향을 맞출 때 노인은 진정한 어른으로서 행복한 노년을 향유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어떻게 살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준비는 노인이 '멸시의 대상'에서 '존경의 대상'으로, 장수가 '위험과 부담'에서 '가치와 존엄'으로 건널 수 있도록 하는 필수조건이기도 하다.
남은 생을 어떻게 살고, 어떤 죽음을 맞을 것인지 등에 대해 오롯이 자기 삶을 성찰한 뒤 타인과 연대해 공동체를 리모델링하는 것은 삶의 가치를 높이는 한 방법이다.
사회안전망이 허술한 만큼 가치를 찾으려는 어른들의 역할도 그만큼 남아있는 셈이다.
80년이 지난 '베버리지 보고서'가 우려한 빈곤과 질병 등 5대 결핍에서 아직 벗어나지 못한 우리의 삶은 여전히 힘겹다.
사회·경제적 경쟁에서 탈락한 노인은 가족이 책임지는 '가족의 집'에, 가족마저 없으면 최소한의 복지를 시혜적으로 받는 '동정의 집'에 사는게 현실이다.
1차 세계대전 직후 '유럽의 시궁창'으로 불렸으나 세계 최고의 복지국가로 재탄생한 스웨덴의 사례는 여러 가지를 시사한다.
스웨덴이 시민의 존엄성을 구현하는 장치로서 사회안전망을 구축한 것은 벌써 100년 전 '국가가 국민을 어떻게 보호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과 실천에서 싹텄다.
이 나라의 선진 복지를 일군 한손(A.Hansson) 전 총리는 1928년 국회 연설에서 "국가는 국민의 집이어야 하고, 국가가 국민 모두를 어느 한 사람의 낙오자도 없이 가족처럼 돌봐야 한다"는 철학을 선언했다.
그러면서 "훌륭한 가족은 그 어떤 구성원도 특별대우하거나 천대하지 않는다"며 가족의 범위를 국민으로 넓히며 주거와 의료, 고용 같은 사회안전망을 확충했다.
책 '선배시민'의 저자인 유범상 한국방송통신대 교수도 "사회안전망을 갖추는 것은 국가의 의무이자 책임"이라며 "국가가 그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경우 우리는 시민으로서 권리를 요구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사회안전망을 갖춘 국가는 노령, 실업, 장애 등의 사회적 위험에 대해 공적인 책임을 지고 각종 문제의 원인은 개인이 아니라, 이런 개인을 만든 사회라는 인식이 저변에 깔려있다.
보통 사람, 그냥 사람으로 살아도 되는 권리가 시민권인 만큼 시민은 어떤 상황에서도 배고프지 않고 아파도 다 잃지 않는 '안전한 사회를 요구할 권리'가 있다는 설명이다.
베버리지가 지적한 결핍을 보충하고, 스웨덴 한손 전 총리가 강조한 사회안전망이 갖춰진 공동체로서의 '시민의 집'에 살기 위해서는 이런저런 이유로 체념한 노인들의 생각이 변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자아를 계발하고 자기가 속한 공동체와 새롭게 접속하는 것이 그 변화의 첫걸음이 될 수 있다.
이미 더 나은 공동체를 위해 학교 밖 청소년들을 보듬고 기후변화와 난민 문제에 적극적이며 미래를 걱정하는 청년들과 소통하는 노인들이 곳곳에서 하나둘씩 팔을 걷어붙이기 시작한 것은 고무적이다.
이들은 돌봄과 불통의 대상에서 빠져나와 돌봄의 주체와 소통의 아이콘으로써 새로운 노인상인 '선배시민' 이미지를 제시하고 있다.
또 마을 공동체 기반의 '시민의 집'을 짓도록 각급 학교와 노인복지관 등에서 시행되는 시민 교육이 시나브로 확산하는 것도 사회안전망을 촘촘하게 짜는데 든든한 지원군이 되고 있다.
이렇게 만들어지는 '시민의 집'은 불평등하지 않고 배고프지 않으며 인간다운 최소한의 삶이 지속 가능해 나와 가족, 이웃들이 모진 비바람에도 세대와 세대를 이어가며 안락하게 살 수 있는 집이 될 것이다.
이 튼튼한 집을 건축하기 위해 묵묵히 땀 흘리는 선배시민들을 추앙하며, 15편의 연재를 마친다.
ichong@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경찰, '팬 폭행 방관 논란' 가수 제시 무혐의 처분 | 연합뉴스
- '우크라 파병 북한군 음란물 탐닉'설 제기…美당국 "확인 불가" | 연합뉴스
- 여고생들 발만 노려…20대 강제추행범 징역 1년 6개월 | 연합뉴스
- '훼손 시신' 유기사건 신상공개 결정…군 장교 "즉시 공개 거부" | 연합뉴스
- "노래 좀 그만" 라이브카페서 다른 손님 술병으로 내리쳐 | 연합뉴스
- '엄마찬스'로 치전원 합격한 대학원생…2심도 "입학 취소 정당" | 연합뉴스
- 672억원…트럼프 승리 예측해 잭팟 터뜨린 익명의 도박사 | 연합뉴스
- '[국제발신] 해외승인 499,500원'…전 국민에 50번씩 문자폭탄 | 연합뉴스
- "살려달라"며 울던 딸, 딥페이크 영상이었다…납치사기 악용 | 연합뉴스
- 무시했다는 이유로 모텔서 흉기로 연인 살해한 50대 구속 |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