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기세척기·에어프라이어… 소비자는 전기 소비량 ‘깜깜이’

최은경 기자 2022. 11. 12. 03:13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값싼 에너지 시대는 끝났다] [5] 집에서 줄줄 새는 전력
에너지 등급 기준에 포함 안돼
가전 용량 커지고 신제품 봇물
국민은 효율 모른채 상품 구입
에너지효율 1등급 가전 쓰면,
5등급보다 에너지 30~40% 절약

신(新)가전이 끊임없이 나오고, 가전이 대형화하면서 가정의 전력 사용이 매년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에너지 절약형 가전을 쉽게 알아보고 살 수 있도록 도입된 ‘에너지 소비 효율 등급 표시’ 제도는 가전 사용 트렌드를 따라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2년 처음 도입된 효율 등급 표시제는 에너지를 많이 소비하고 보급률이 높은 제품을 대상으로 1~5등급으로 라벨을 부착하도록 한다. 효율이 좋은 1등급 제품은 5등급 제품보다 에너지를 30~40% 절약할 수 있다.

11일 국회 송갑석 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가정의 전력 사용 상위 20개 가전 중에서 7개(식기세척기·에어프라이어·스타일러·전기오븐·드라이어·전기장판·전기온돌침대) 품목은 효율 등급 표시는 물론 최저소비효율기준(MEPS) 대상이 아닌 것으로 나타났다. 최저소비효율기준은 정부가 제시하는 최소한의 에너지 효율 기준인데 대상 품목이 이를 만족하지 못하면 생산·판매가 금지된다. 또 가정에서 전력 사용이 가장 많은 인덕션(전기레인지)과 전기히터·난로 등은 효율 등급 표시 대상이 아니고, 최저소비효율기준만 충족하도록 했다. 결국 소비자들이 식기세척기 등 해당 제품의 에너지 효율이 얼마나 좋은지 나쁜지를 모르고 깜깜이 상태에서 구입해야 하는 것이다.

현재 가정에서 많이 사용하는 20개 가전 중에도 효율 관련 기준이 전혀 없는 게 많다. 청소기의 경우 유선 스틱 청소기만 효율 등급 표시 대상일 뿐, 무선청소기·로봇청소기·물걸레청소기는 포함되지 않는다. 믹서기·커피머신·드라이기 등 친숙한 가전도 마찬가지다.

효율 등급 제도를 주관하는 에너지공단은 “기술적 한계로 제품 간 에너지 효율 수준 차이가 크지 않거나, 보급률은 높아도 연간 전력 사용량이 크지 않은 소형 가전의 경우 비용 등 현실적인 측면을 고려해 등급제 관리 대상에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고 했다. 현재 관리 대상은 총 33개가 전부다.

201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아파트에 사는 가정은 평균 19.3대 가전제품을 사용하고 있다. 가정에서 사용하는 가전 종류는 많아지고, 용량은 대형화 추세다. TV의 경우 40인치 이상 점유율이 2009년 19.3%였는데 10년 사이 73.4%로 높아졌다. 냉장고도 700L 이상이 같은 기간 11.6%에서 57%로, 12kg 이상 세탁기는 5.8%에서 68.7%로 크게 증가했다. 2000년 가구마다 0.29대꼴이던 에어컨은 2019년 1가구 1대꼴이 됐다. 하지만 가전 기기 효율 등급별 판매 점유율을 보면 1등급의 경우 2015년 29%에서 2019년 29.5%로 제자리였다. 2등급은 36.9%에서 23.9%로 크게 줄고, 3등급(12.9%→28.2%)은 2배 이상 늘었다. 한국소비자원에 따르면 냉장고·워시타워·에어컨 등 일반 가전 11개 제품을 2등급 대신 1등급으로 쓰면 가정 에너지 사용량의 21%를 절감할 수 있다.

우리나라 가정의 에너지 소비는 매년 증가 추세다. 특히 1인당 가정의 에너지 소비는 지난 15년 사이 미국·영국·독일·프랑스·일본 등은 1~3%가량 감소했지만, 우리나라는 0.5% 늘며 증가세를 유지하고 있다. 에너지공단 측은 “각 가전 기기의 에너지 사용량과 가정 보급률을 모니터링해 효율 관리 대상을 확대하고 있다”며 “전력 사용이 많은 인덕션은 이르면 내년 중 등급 표시제로 전환하고, 스타일러·식기세척기·이동형 에어컨·에어프라이어 등 빠르게 보급되는 가전은 대상 지정을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라고 했다. 이성인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가전 수요가 늘어나는 건 불가피한 만큼 에너지 효율이 높은 제품 구매를 유도하기 위해 소비자에게 정보 제공이 확대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조선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