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잡러' 늘리는 플랫폼 경제... "사회보험, 소득 기반으로"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배달이나 퀵서비스, 대리운전 등 플랫폼 기반 경제가 본업이 있는 노동자에게 추가 일자리를 제공하며 이른바 'N잡러'를 늘리고 있다.
별도 임금 노동 종사자 비중은 △배달업(71%)이 가장 높았고, △퀵서비스(67%) △대리운전(62%) △바이럴 마케팅(61%) 순이었다.
퀵서비스와 재능 자문(이상 1만4,000원)이 가장 많았고, 배달과 대리운전(이상 1만2,000원), 택시(1만1,000원)가 뒤를 이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시간당 퀵 1만4000원, 바이럴 8000원
배달이나 퀵서비스, 대리운전 등 플랫폼 기반 경제가 본업이 있는 노동자에게 추가 일자리를 제공하며 이른바 ‘N잡러’를 늘리고 있다. 이런 추세가 사회보험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한국조세재정연구원은 11일 펴낸 ‘조세재정브리프’에서 지난해 1,847명 대상 설문을 통해 파악한 플랫폼 종사자의 근로 여건을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플랫폼 종사자 과반수가 별도의 임금 일자리를 보유한 상태였다. 별도 임금 노동 종사자 비중은 △배달업(71%)이 가장 높았고, △퀵서비스(67%) △대리운전(62%) △바이럴 마케팅(61%) 순이었다.
플랫폼 종사자의 업종별 시간당 임금은 8,000~1만4,000원이었다. 퀵서비스와 재능 자문(이상 1만4,000원)이 가장 많았고, 배달과 대리운전(이상 1만2,000원), 택시(1만1,000원)가 뒤를 이었다. 시간당 임금이 가장 적은 업종은 바이럴 마케팅(8,000원)이었다.
종사자 특성을 보면 배달(35.62세)과 퀵서비스(37.22세) 종사자의 평균 연령이 상대적으로 적었다. 배달ㆍ퀵서비스의 경우 대학 이상 고등교육기관 진학자 비중이 31~48%로 낮은 편이었다. 반면 바이럴 마케팅과 재능 자문 종사자는 고등교육 진학자 비중이 70%를 웃돌았다. 이들의 주당 근로시간은 평균 10.7~32.3시간으로, 월 평균 소득은 38만9,000~152만6,000원으로 집계됐다.
플랫폼 경제가 2개 이상의 직업을 가진 ‘N잡러’의 비중을 높일 수 있다는 게 연구원의 분석이다. 연구원은 “직장 가입자와 지역 가입자로 분류하는 기존 자격 기반 사회보험제도로는 이런 취업 형태를 탄력적이고 유연하게 반영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라며 “궁극적으로 소득 기반 사회보험을 앞으로 나아갈 방향으로 추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세종= 권경성 기자 ficciones@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단독] "정치라는 꿈" "정치 애송이"...수십조 원 적자 낸 한전 사외이사의 자기소개서
- '보고서 삭제' 연루 의혹 용산서 전 정보계장 숨진 채 발견
- 정주리 "혼전임신으로 결혼... 남편 빚 6천만 원 있었다"
- 사우디 왕세자, 서울에서 택한 '하루 2200만원' 호텔은?
- 특수본 "'각시탈' 남성들 혐의 없다"... SNS 루머 종결
- 이서진 "자산 600억? 집안 몰락해 아무것도 없다"
- 사막 위 산 뚫은 터널... '불가능을 현실로' 네옴, 한국이 첫걸음
- [단독] 檢, 김용·정진상·유동규 '측근 그룹' 명시… 이재명 공소장 방불
- 순방 이틀 앞두고 MBC 전용기 탑승 불허한 대통령실...취재 제한 논란 확산
- 고조되는 '핵전쟁' 우려...러시아, 핵추진 어뢰 '포세이돈' 시험 준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