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반직과 특고 함께 쓰는 사업장, 산재보험료율 분리한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같은 사업장에 일반직 근로자와 특수고용직 종사자(특고)가 함께 종사하는 경우, 산재보험료율을 분리 적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이에 따라 특고 종사자가 있는 사업장의 경우 산재보험료 부과를 위한 보험료율을 매길 때 일반 근로자와 특고 종사자를 분리하게 된다.
이에 고용부는 일반 근로자와 특고 종사자를 나눠 보험료율을 각각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같은 사업장에 일반직 근로자와 특수고용직 종사자(특고)가 함께 종사하는 경우, 산재보험료율을 분리 적용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고용노동부는 11일 '규제혁신 특별반' 회의를 열고 산재보험료율 적용 기준 합리화 등 불합리한 규제를 개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특고 종사자가 있는 사업장의 경우 산재보험료 부과를 위한 보험료율을 매길 때 일반 근로자와 특고 종사자를 분리하게 된다.
현행 규정에 따르면 같은 장소에서 여러 사업을 하는 경우 산재보험료율은 28개의 사업 종류 중 '주된 사업'에 해당하는 하나의 요율을 적용하고 있다. 주된 사업은 근로자 수→보수총액→매출액순으로 결정된다.
문제는 최근 특고의 산재보험 가입이 확대되면서 일부 사업장에서 일반 근로자보다 특고가 많아져 사업장의 산재보험료 부담이 증가하는 사례가 발견되고 있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사무직 근로자 위주로 운수 관련 '서비스업'을 영위하는 업체는 산재보험료율이 0.8%다. 그런데 운송 분야에서 특고 종사자인 화물차주들이 대거 산재보험에 가입하면 '주된 사업'이 육상운수업으로 변경되면서 1.8%의 보험료율을 적용받게 돼 산재 보험료 부담도 많이 늘어나게 된다는 것이다.
이에 고용부는 일반 근로자와 특고 종사자를 나눠 보험료율을 각각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앞서 사례의 경우 기존 일반 근로자에 대해 기존대로 0.8%만 부담하고, 화물차주에 대해서만 1.8%의 보험료율이 책정된다.
적용 기준 변경은 2023년 6월 산재보험료율 고시에 반영될 계획이다.
곽용희 기자 kyh@hankyung.com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라면 380원에 득템" 입소문에 불티…불황에 대박 터진 곳 [박종관의 유통관통]
- "결혼하고 싶은데 못해요"…日 남성 4명 중 1명은 평생 독신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
- 카타르 월드컵 "이건 안 돼" 3가지…'원나잇'하면 7년형까지
- "이태원 참사 은마서 또 터진다"…도 넘은 현수막, 결국
- 경찰, 박민영 소속사 후크엔터테인먼트 이례적 압수수색
- 홍진경, “나 주식으로 돈 많이 잃었어” 금수저 재력 뽐내다 이내 주식 고백 (‘홍김동전’)
- 손연재, 결혼 후 더해진 '세련·성숙美'…러블리 매력 한 스푼
- 기안84, 런던서 난데없이 "두 유 노우 송민호" 외친 사연은? ('나혼산')
- '이경규 딸' 이예림, 결혼 후 '리즈 미모' 갱신…'동안美'의 유부녀
- 이상순, 제주 카페 논란에 "이효리와 무관…온전히 제 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