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기업의 바이오 파운드리 퀀텀점프 성과

2022. 11. 11. 06:00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CDMO(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 위탁개발생산) 뉴스가 쏟아지고 있다.

또 차바이오텍, 메디포스트, HK이노엔 같은 중견기업들이 CDMO 시장에 필사적으로 발을 들여놓는 장면이다.

최근 CDMO를 중심으로 바이오 파운드리에 대한 자본시장의 기대가 부쩍 달아오르고 있다.

실제로 CDMO 사업에서 바이오 파운드리에 먼저 진출한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그 성과가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허두영의 테크비즈리뷰] 바이오 파운드리 시장이 열린다 ⑤

최근 CDMO(Contract Development and Manufacturing Organization. 위탁개발생산) 뉴스가 쏟아지고 있다. 검색해 보면, 대기업이 몇 조 단위로 대규모 투자를 선언했다거나, 선진국의 CDMO 기업을 인수하거나 지분 참여했다는 내용이다. 또 차바이오텍, 메디포스트, HK이노엔 같은 중견기업들이 CDMO 시장에 필사적으로 발을 들여놓는 장면이다.

바이오의약 산업에 대한 국내 자본시장의 신뢰는 비교적 낮은 편이었다. 바이오에 대한 섣부른 기대로 어설픈 실패가 많이 쌓인 경험 때문이다. 최근 CDMO를 중심으로 바이오 파운드리에 대한 자본시장의 기대가 부쩍 달아오르고 있다.

실제로 CDMO 사업에서 바이오 파운드리에 먼저 진출한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에서 그 성과가 확인되고 있기 때문이다. CDMO 시장에 먼저 진출한 스위스의 론자(Lonza)와 미국의 캐털런트(Catalent)를 셀트리온과 삼성이 따라잡았다는 것이다.

㈜정식품 중앙연구소 정해리 박사팀은 최근 논문 ‘바이오제약 산업에서의 퀀텀점프: 한국의 유럽과 미국 캐치업 사례’(Quantum jump in biopharmaceutical industry: a case of Korea’s catching up with Europe and US)를 '유럽기획연구'(European Planning Studies) 저널에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영업이익(EBITDA) 기준으로 볼 때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가 2017년부터 론자와 캐털런트를 추월하기 시작했다는 것이다. 지난해 기준으로 볼 때 매출에서 셀트리온과 삼성은 론자나 캐털런트 1/4~1/2 수준인데, EBITA 기준으로는 거의 비슷하거나 추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론자, 캐털런트,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매출 비교(2011~2021) [출처= 정해리,"Quantum jump in biopharmaceutical industry: acase of Korea’s catching up with Europe and US", European Planning Studies(2022), p9]
론자, 캐털런트,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영업이익 비교(2011~2021) [출처= 정해리,"Quantum jump in biopharmaceutical industry: acase of Korea’s catching up with Europe and US", European Planning Studies(2022), p10]

기업가치로 보면 2016년부터 역전이 시작됐다. 셀트리온과 삼성이 론자나 캐털런트와 맞먹거나 추월하기 시작한 것이다. 특히 삼성은 일찌감치 캐털런트를 추월한데 이어 론자를 맹추격하는 중이다.

론자, 캐털런트, 셀트리온, 삼성바이오로직스 기업가치 비교(2011~2021) [출처= 정해리,"Quantum jump in biopharmaceutical industry: acase of Korea’s catching up with Europe and US", European Planning Studies(2022), p10]

정박사팀은 셀트리온과 삼성의 도약 원인을 ▲세계적인 바이오의약 산업의 구조와 변화를 잘 이해하고 활용했으며 ▲기업의 경쟁력보다 혁신시스템 역량을 극대화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으로 분석했다.

CDMO 사업에서 어느 정도 궤도에 오른 뒤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로직스의 전략이 다르다는 점도 흥미거리다. 정박사팀은 CDMO 사업성과를 기반으로 셀트리온은 본디 목표로 잡은 바이오시밀러 사업에 점점 집중하는 반면, 삼성은 CDMO 사업 자체를 훨씬 더 크게 확장하는 전략을 보인다는 것이다.

성과가 투자에 비례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최근 한국에서 CDMO에 대한 투자가 엄청 크게 늘어나는 만큼, 성공사례가 계속 쏟아질 것으로 보인다. 기업의 이런 혁신을 국가차원에서 어떻게 촉진하고 다져갈 수 있을까?

허두영 ㈜메드업 대표 huhh20@naver.com

▶네이버 채널에서 '아이뉴스24'를 구독해주세요.

▶재밌는 아이뉴스TV 영상보기▶아이뉴스24 바로가기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Copyright © 아이뉴스24.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