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주의 풍경화일까… 상상으로 펼친 붓질 강렬함이 샘솟다

김예진 2022. 11. 10. 19:3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독창적 작품 세계’ 안두진 작가 개인전
흰 캔버스에 작업하지 않고
형광 물감으로 바탕 칠한 후
작은 붓으로 획 긋고 또 긋고…
노동집약적인 과정으로 완성
한 번만 봐도 잊히지 않는
작가 특유의 스타일 ‘눈길’
스스로 그러하다. ‘자연(自然)’의 뜻풀이다. 나무도 돌도 풀잎도 어떤 목적이나 누구의 지휘도 없이, 스스로 지구 생태계 시스템 안에서 생기고 커지고 소멸하는 존재들이다. ‘그림이 자연이 될 수는 없을까’ 고민했던 화가는 자연물의 가장 작은 단위가 세포분열하듯 가장 작은 붓, 세필로 조그만 획을 긋고, 그 옆에 닮은 획을 한 번 더 긋고 또 그어나갔다. 화가가 예상하지 않은 도상, 계획하지 않은 형태를 세필 붓이 스스로 만들어가도록 했다. 안두진(47) 작가만의 매우 독특한 화풍이 만들어진 과정이다.
전시 전경. 이화익갤러리 제공
안 작가의 개인전 ‘리듬 속에 그 춤을’이 서울 종로구 율곡로에 위치한 이화익갤러리에서 열리고 있다. 신작 약 20점을 선보인다.

그의 작품들은 한번 보면 작가 특유의 스타일이 잊히지 않는다. 그만큼 독창적이다. 산과 바다, 하늘이 보이는데 한국 작가가 그린 풍경화가 맞나 싶을 만큼 우리 강산의 서정적이고 아름다운 풍경과 거리가 멀다. 뜨거운 적도 주변 어느 사막에서 영감받은 상상의 풍경화일까 싶기도 하고, 어느 작품은 이곳이 지구이긴 할까 싶은 생각이 든다. 차라리 우주의 풍경화같다. 다가올 우주 시대를 상상하는 예술가의 미래 풍경. 아니, 지면 위로 솟아오르는 분홍 형광 기둥들은 마치 태초에 대륙을 만든 마그마의 폭발처럼 느껴져, 과거 원시의 그림일지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 무엇이 정답이건 관람객은 낯선 풍경화 속에서 강력한 에너지가 꿈틀거리고 있다고 느낀다.

기자와 만난 안 작가는 “어떤 대상을 그렸다거나 어떤 내용을 전달하려는 그림이 아니다. 그림이 어떻게 자연이 될 수 있을지 고민하고 있었다. 구성 요소들이 자기들끼리 스스로 그림이 되는 과정을 고민해서 그림들이 태어나게 한 것”이라고 말했다. 작가는 ‘이미지(image)’와 복합소립자를 뜻하는 ‘쿼크(Quark)’를 합쳐 ‘이마쿼크’란 단어를 만들어내 자신의 작품을 설명한다. “‘이마쿼크’는 이미지의 최소단위를 설명하기 위해 만든 단어로, 자연의 미시세계의 추상적 개념을 미술적으로 전환하기 위해 만든 개념”이란 설명이다. ‘10억원’이라는 가벼운 말보다 10원짜리 1억개가 쌓인 모습을 상상할 때 느껴지는 압도감처럼, 이미지의 최소단위를 쌓고 쌓아서 숭고미를 만들어보고 싶다는 설명도 덧붙였다.

당연히도 그의 작업은 집요하고 노동집약적이다. 그런데 작가의 의도와 노력, 목적의식이 끌고가는 노동이 아니라는 점에서 또 한 번 작가만의 특색이 보인다. 그의 붓질을 반복하게 하는 동력은 형광면이다. 그는 흰 캔버스 위에서 붓질을 시작하지 않고, 형광색 물감을 발라 형광면의 캔버스부터 만든다. 그 후 캔버스와 마주한 작가는 형광면이 주는 자극과 충격, 눈부심의 고통을 서둘러 덮으려고 붓질을 재촉한다.
Gabriel (no.1) 검은 원과 검은 사각형
형광을 칠하는 또 다른 이유, 형광을 칠한 뒤 벌어지는 일, 형광이 내는 효과는 여러 가지로 흥미롭다.

작가는 흰 화면 위에서는 떠오르는 생각이나 과거의 정보, 인식, 의식의 흐름이 이어지기 때문에, 형광면을 칠해 역사로부터 단절하고 진정한 그림의 시작점을 만든다고 한다.

얼핏 지구의 자연에 없는 색, 지독히도 인공적이고 인위적 산물이란 이미지를 가진 형광색을 바르는 행위는 작가만의 새로운 세계를 창조하는 밑바탕의 은유로 다가온다. 형광색 자체가 가진 강한 에너지는 그 위에 수십번 더해진 붓질에도 불구하고 사라지지 않고 그림 속에 깊이 깔려 관람객에게 전달된다. 강렬하게 인공적인, 철저하게 비자연적인 색면 위에서 빚어지는 작가의 행위는 목적의식적인 행위가 아닌 ‘스스로 그러한’ 움직임이어서 ‘자연’의 은유로 다가오는 것도 역설적이다.

그렇게 작가가 창조한 세계 속에서 그려진 파란 바다와 물결을 두고 작가는 “주름 덩어리”라고 하고, 녹색의 삼각산 형태를 두고는 그저 “뾰족뾰족한 애들”이라고 가리킨다. 완성된 화면을 두고는 “형광은 캔버스의 역사를 지우고, 형광면 위에서 모든 것들이 춤추듯 움직이고, 그런 것들이 모여 하나의 자연물로 되어가고 있다”고 표현한다.

11월22일까지.

김예진 기자 yejin@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