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진 대응도 결국 정보력… 신속 정확한 예측에 ICT 활용" [제5회 재난안전 지진포럼]
해저에 150개 센서 설치해 관측
복합재난 증가로 사전대비 중요
재난관리 협업행정 필요성 커져
지진·쓰나미 경보시스템을 50년 동안 구축해 운영하던 일본이 2011년 동일본대지진 후 쓰나미 실시간 탐지시스템을 강화해 운영하고 있다. 더 이상 지진에서 안전하지 않고, 삼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어 쓰나미에 대한 우려도 있는 우리나라가 지진 및 쓰나미를 실시간으로 탐지해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적극 모색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日, 촘촘하고 광범위한 관측시스템"
일본 도호쿠대학교 이마무라 후미히코 교수는 10일 대구시 동구 메리어트호텔에서 파이낸셜뉴스 주최로 열린 제5회 재난안전 지진포럼에서 '동일본지진 이후의 지진해일 재해 저감 기술'을 주제로 기조강연을 하며 "일본은 예측치를 벗어났던 동일본대지진 당시 쓰나미 경보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해 지진·쓰나미 실시간 탐지시스템을 새롭게 구축해 운영 중"이라고 밝혔다.
그는 "150개의 센서를 해저에 설치했으며, 광회선으로 연결한 탐지기지소도 설치했는데 이는 세계에서 가장 촘촘하고 광범위한 관측시스템 중 하나"라고 덧붙였다.
이마무라 교수에 따르면 기존 지진·쓰나미 경보시스템은 일본 기상청이 50년 동안 구축해 운영했다. 지진이 발생하면 경보시스템이 진도와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쓰나미의 크기와 도착시간을 분석해 경보에 활용한 것이다. 지진 발생 후 쓰나미 정보 파악까지 총 3분이 걸리는 시스템이었다.
이에 따라 실제 2011년 동일본대지진 당시 3분 만에 진도 7.9로 추정됐으며, 쓰나미 크기는 지역에 따라 3~6m로 계산됐다. 그러나 실제 동일본대지진은 진도 9에 가까웠으며, 쓰나미 크기는 최대 10배 이상 컸던 것으로 관측됐다.
이마무라 교수는 "진도가 7.9로 과소 측정됐기 때문에 쓰나미 크기도 실제보다 10분의 1 정도로 작게 예측됐다"며 "보통 쓰나미는 연안에서 크기가 커지고 덮치기 직전에 가장 크기 때문에 해안가에서는 20m 크기의 쓰나미를 겪었다"고 말했다.
이마무라 교수에 따르면 지진 및 쓰나미에 대한 정확한 경보를 하기 위해선 더 많은 정보를 확보해야 하고, 이는 결국 대피시간이 감소하는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해야 한다. 결국 당연한 말이지만 빠른 시간 내 정확한 예측을 하고, 그에 따른 경보를 하는 시스템을 갖춰야 한다. 최근엔 이를 위해 정보통신기술(ICT)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부처·지자체 협업행정 필요성 증가"
대규모 재난 상황을 대비해 관계부처 및 지방자치단체들의 유기적 협업 필요성이 증대한 가운데 부처 간, 지자체 간 긴밀한 사전 협업체제를 구축해야 할 필요성도 제기됐다.
민금영 연세대 연구교수는 '지진 대응능력 강화를 위한 지자체의 역할'이란 주제의 강연을 통해 "재난 상황에서 인간이 실시간으로 대응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전에 대비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대규모 복합재난이 증가하면서 재난관리를 위한 협업행정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고 말했다.
민 교수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기관 간 재난 협업체계를 강화하고 있다. 협업체제는 사전에 완벽하게 구축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렇지 않을 경우 실제 재난상황이 발생했을 때 기관 간 혼선, 책임회피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민 교수는 "사회재난은 특성상 유관기관의 협업행정 기반이 필요하지만 상호협력체계가 미비하고 장비나 자재 등 재난관리자원을 개별관리해 원활한 수습활동이 곤란한 상황 등에 대비해 재난관리 협업행정이 요구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순환보직, 재난경험 부족에 따라 업무연속성 및 노하우가 떨어지는 상황에서도 재난관리 협업행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에 우리나라는 재난대응과 관련한 13개 기능으로 나눠 기능별로 협업체계를 갖추도록 하고 있다. 재난 발생 시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13개의 기능은 △기능총괄 및 상황관리 △긴급 생활안정 지원 △긴급 통신지원 △시설피해 응급복구 △에너지 공급기능 복구 △재난관리자원 지원 △교통대책 △의료 및 방역서비스 지원 △재난현장 환경정비 △행정지원 및 자원봉사관리 △사회질서 및 대외협력 △수색, 구조·구급 지원 △재난 수습 홍보 등이다.
민 교수는 "모든 재난에 13개의 기능이 모두 필요한 것은 아니며, 재난의 양상·규모에 따라 필요한 기능들이 있다"고 전했다.
Copyright ©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최현욱, 장난감 자랑하다 전라노출…사진 빛삭
- 남편상 사강, 4년만 안방 복귀…고현정 동생
- "눈 떴는데 침대에 피가 흥건"..토니안, 정신과 증상 8가지 나타났다 고백 [헬스톡]
- "두개골 녹아" '4160볼트 감전'…두 번 사망 후 살아난 男
- '8번 이혼' 유퉁 "13세 딸 살해·성폭행 협박에 혀 굳어"
- "치마 야하다고"…엄지인, 얼마나 짧기에 MC 짤렸나
- 영주서 50대 경찰관 야산서 숨진채 발견…경찰 수사 착수
- "조카 소설, 타락의 극치" 한강의 목사 삼촌, 공개 편지
- "엄마하고 삼촌이랑 같이 침대에서 잤어" 위장이혼 요구한 아내, 알고보니...
- "딸이 너무 예뻐서 의심"…아내 불륜 확신한 남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