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책硏 KDI마저 … 내년 경제성장률 1%대로 낮췄다

홍혜진, 이희조 2022. 11. 10. 17:27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반년만에 전망치 0.5%P 하향
한경연 등 1%대 예상 줄이어
수출·내수전망 나란히 암울
취업증가는 올 10분의1 토막

국책연구기관인 한국개발연구원(KDI)이 내년 한국의 성장률이 1%대에 그칠 것으로 전망했다. 고물가와 고금리로 수출과 내수가 모두 부진에 빠지면서 경기 둔화가 본격화할 것이란 전망이다.

KDI는 내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1.8%로 하향 조정했다고 10일 밝혔다. 지난 5월 제시했던 2.3%에서 한꺼번에 0.5%포인트 낮췄다.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는 2.8%에서 2.7%로 소폭 낮췄다.

정규철 KDI 경제전망실장은 "1.8%는 한국의 잠재성장률인 2%를 하회하는 것"이라며 "내년에는 경기 둔화 국면에 접어드는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만약 KDI 전망대로 내년 성장률이 1%대에 그친다면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5.1%),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09년(0.8%),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0.9%) 이후 가장 낮은 성장률을 기록하는 것이다.

한국 경제를 지탱해온 수출이 흔들리는 점이 가장 큰 위험 요소로 지목됐다. KDI는 내년 수출 증가율을 1.6%로 내다봤다. 올해 수출 증가율인 4.3%에서 절반 이상 낮아지는 셈이다. KDI는 "글로벌 경기 둔화로 수출 금액이 반도체를 중심으로 감소한 상황"이라며 "수출 부진으로 인해 한국 경제 성장세가 약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내수 전망도 어둡기는 마찬가지다. 올해 비교적 양호했던 민간소비와 투자 등 내수가 내년에는 빠른 속도로 위축될 것으로 KDI는 전망했다. 이는 내년에도 고물가와 고금리 상황이 이어질 것이란 관측에서 비롯된다. KDI는 내년 물가 상승률을 3.2%로 전망했다. 이는 올해의 5.1%보다는 낮은 수준이지만 여전히 물가 안정 목표 2%보다는 높다. 또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금리 인상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봤다.

고물가와 고금리가 이어지면 소비와 투자가 늘기 어렵다. 고물가 상황에서 상품과 서비스 가격이 올라가고, 고금리로 이자 부담이 가중되면 구매 여력이 감소하면서 내수가 쪼그라든다.

물가에 큰 영향을 미치는 유가는 올해에 비해 하락할 것으로 봤다. KDI는 두바이유 기준 유가가 올해 전망치 배럴당 98달러에서 내년엔 85달러로 15%가량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정규철 실장은 "국제 유가를 하향 조정했는데 소비자물가상승률은 상향 조정해 어긋나는 것 같지만, 에너지 가격이나 곡물 가격이 생각했던 것보다 경제에 많이 파급되는 것으로 보이는 점을 반영했다"며 "(공급 측 충격이) 장기화하면서 근원물가에도 많이 파급되는 모습"이라고 진단했다.

고용도 문제다. 취업자 증가폭은 인구구조 변화와 기저효과에 따라 올해(79만1000명)의 10분의 1 수준인 8만4000명 증가에 그칠 것으로 내다봤다.

경상수지 흑자폭은 올해 230억달러에서 약 30% 줄어든 160억달러를 전망했다. 해외 여행 본격화 등으로 내년 서비스·본원·이전소득수지는 11억달러 적자를 보일 것으로 봤다. 상품수지 흑자액은 국제 유가 안정 영향으로 올해보다 상승한 170억달러를 예상했다.

KDI는 이 같은 예상치를 내놓으면서 "정부가 거시정책을 긴축적으로 꾸려 나가면서도 긴축 속도와 강도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날 한덕수 국무총리도 출입기자단과 가진 백브리핑에서 "올해 한국 경제가 2.6~2.7% 성장하고 경상수지는 약 260억달러 흑자를 낼 것으로 본다"고 했다.

KDI가 전망한 1.8%는 주요 기관의 내년 한국 경제 성장률 전망 가운데서도 낮은 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2.2%, 국제통화기금(IMF)은 2.0%, 아시아개발은행(ADB)은 2.3%를 예상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1.9%,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1.8%, 한국금융연구원은 1.7%를 제시했다.

정부와 한은은 각각 2.5%, 2.1%로 전망했는데 이는 지난 6월과 8월에 내놓은 수치로 현재 상황과 시차가 있다.

이달 금통위와 내달 정부가 발표하는 내년도 ‘경제정책 방향’에서 성장률 전망치를 하향 조정할 가능성이 점쳐진다.

한편 이날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은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 전망치를 기존 3.6%에서 2.4%로 하향 조정했다. KIEP는 미국 0.6%, 유럽연합(EU) 0%, 영국 -0.2%, 러시아 -2.5%, 중국 4.8% 등으로 내년 각국 성장률을 예상했다. 김흥종 대외경제정책연구원장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가 벌어진 후 글로벌 경제는 살얼음판을 지나고 있다”며 “자원 무기화가 인플레이션을 자극하면서 경제 전반의 가격 인상이 확산하는 모습”이라고 했다.

[홍혜진 기자 / 이희조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