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지·자금·교육 지원 … 농업 미래 이끌 청년農 3만명 키운다
국내 농업 분야 고령화가 지속되고 후계 인력 규모도 감소 추세에 있어 장기적으로 농업 인력구조 불균형이 더욱 심화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40세 미만 경영주 규모는 1만2400가구로 전체 1.2%에 불과하고 규모 또한 지속 감소 중인 반면 65세 이상 고령농 비중은 1990년 18% 수준에서 2020년에는 56%까지 증가했다. 이에 현 유입 추세가 지속되는 경우 2040년 농업 분야 고령화율(65세 이상)은 76.1%까지 상승하고 40세 미만 농가는 1.2% 수준에서 정체될 전망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이 같은 위기상황 속에서 업계 의견 수렴을 통한 체계적인 대응 계획 수립을 위해 후계농 실태조사, 연구용역, 현장·전문가 의견수렴을 순차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동안 3차례 장관 현장 간담회를 개최했고, 권역별 청년농 간담회도 4회 실시하는 등 영농 활동 과정에서의 분야별 애로사항도 조사해왔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현장에서는 초기 생활비 부담 완화, 농지·자금 등 투자 여건 개선, 현장 중심의 맞춤형 교육 제공, 적정 수준의 주거·보육 서비스 제공 등 요구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농식품부는 '농업 미래를 이끌어나갈 청년농 3만명 육성'이라는 목표 아래 △더 많은 후계·청년농 지원 △보다 쉬운 농지·자금 확보 지원 △전문농업인으로의 성장 뒷받침 △쾌적하고 매력적인 농촌으로의 변화 등 4가지 전략 과제를 추진한다.
먼저 영농정착지원 선정 규모를 대폭 확대하고, 지급단가 인상과 지원 요건·의무사항 완화 등 진입 유인을 마련한다. 초기 생활 안정을 위해 지원금 지급단가를 올해 최대 100만원에서 내년 110만원으로 단계적으로 인상하고, 영농정착지원사업 대상자에게는 농지·자금·교육 등을 집중 지원할 방침이다.
또 소득기준 등 진입 요건을 완화하고, 농외근로 허용 범위를 확대해 농외소득 확대 기회 여건을 조성한다. 현행 진입 요건은 '본인 및 직계존속 세대의 건강보험 산정액(중위소득 120%) 미만'이 기준이지만, 향후 '본인 세대의 건강보험 산정액(중위소득 120%) 미만'으로 완화한다. 이 밖에 후계농 및 우수후계농 선정 규모도 단계적으로 확대하고, 승계농의 영농상속 공제 시 공제가액을 기존 20억원에서 2030년 23억원으로 상향한다.
농식품부는 또 투자 여력이 부족한 청년농의 농지·자금 확보 어려움을 해결해 창업 기반을 다지겠다는 계획이다. 청년농 수요에 맞는 농지 공급체계를 구축하고, 자본이 부족한 청년농의 생애 첫 농지 취득을 적극 지원하기로 했다.
청년농에게 공급 가능한 농지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농지은행 비축농지 매입 범위를 확대하고, 매입 단가도 올해 헥타르(㏊)당 3억8800만원에서 내년에는 4억800만원으로 인상한다.
청년농이 선호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농지를 공급할 수 있도록 농업스타트업단지, 선임대-후매도 등 제도도 신규 도입한다. 유휴농지 매입 후 생산 기반을 정비해 임대형 스마트팜, 청년보금자리주택 사업과 연계한 농업스타트업단지를 조성한다. 단지 내 스마트팜 시설을 지어 최장 30년간 임대해주고, 청년농이 원하는 스마트팜 시설을 설치하도록 장기임대 등도 지원한다. 또 청년농 대상 융자 조건을 개선해 과감한 펀딩을 제공한다. 후계농자금, 청년스마트팜 종합자금 등 주요 융자자금의 상환 기간을 15년에서 25년으로 확대하고, 금리 인하와 한도 상향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스마트팜은 비닐하우스·유리온실·축사 등에 사물인터넷(IoT), 빅데이터·인공지능(AI), 로봇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접목해 작물과 가축의 생육환경을 원격·자동으로 적정하게 관리할 수 있는 농장을 말한다.
정부는 청년농 육성, 스마트팜 기자재 연구·실증 기능을 집약해 농업인·기업·연구기관 간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는 거점인 스마트팜 혁신밸리를 조성하고 있다.
농식품부는 기술·경영 고도화를 통한 전문농업인으로의 성장을 뒷받침할 계획도 공개했다. 정부는 농업계 학교 창업률 제고, 예비농업인 실습 교육 강화 등 맞춤형 교육을 강화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농업계 창업 특화 교육인 '영농창업특성화대학(현재 5개교)' 규모를 확대하고, 농업계 학교 간 창업 연계 교육도 강화한다. 농촌을 청년이 살고 싶은 매력적인 공간으로 조성하기 위한 지원책도 마련됐다. '청년농촌보금자리' 조성 규모를 내년 9개소까지 확대하고, 농촌 공동아이돌봄센터 등 국공립 돌봄 시설을 지속적으로 확충할 예정이다.
[박동환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 국책硏 KDI마저 … 내년 경제성장률 1%대로 낮췄다 - 매일경제
- 대장동 일당, 호반건설서 4억 받은 정황 나왔다 - 매일경제
- “보험금 받아 빚 갚으려고”…친모 약 먹여 살해한 30대女 - 매일경제
- 편의점 급습한 직박구리...라면먹던 학생들 대피 소동 - 매일경제
- 김희재 군복무 중 특혜논란...소속사 “군악대와 협의된 사안”(종합)
- 2살 데뷔 ‘日 동요천재’ 노노카, 기네스북 올랐다 - 매일경제
- '49대50' 양보할 수 없는 1석 … 美상원 승리 조지아에 달렸다 - 매일경제
- 낙타 대신 트럭 행렬…허허벌판 사우디 사막에 무슨일이 [르포] - 매일경제
- 레드벨벳 예리, 과감한 파격 노출 ‘매끈 등라인’ [똑똑SNS] - MK스포츠
- ‘SBS 최연소 아나운서’ 김수민, 엄마 된다…임신 발표(전문) - MK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