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강변도 1년 새 7억 '뚝'…서울 아파트값 '역대급' 하락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금리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에 부동산 시장 거래절벽도 심화하고 있다.
그나마 거래가 체결된 아파트도 수억원 단위 하락을 피하지 못했다.
1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11월 첫 주(7일) 전국 아파트 가격은 0.39% 내리며 하락 폭이 커졌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주택가격 추가 하락 우려와 기준금리 인상 전망에 따라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거래급감 상황이 심화해 집값 하락 폭이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서울 전주 대비 0.38% 하락
24주 연속 하락…'역대 최대'
금리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에 부동산 시장 거래절벽도 심화하고 있다. 그나마 거래가 체결된 아파트도 수억원 단위 하락을 피하지 못했다. 서울 아파트값이 24주 연속 하락했고, 하락폭은 역대 최대폭이었다.
10일 한국부동산원이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11월 첫 주(7일) 전국 아파트 가격은 0.39% 내리며 하락 폭이 커졌다. 서울은 0.38% 하락하며 전주 대비 0.04%포인트 더 내렸다. 24주 연속 하락이자 통계 작성한 2012년 5월 이래 최대 낙폭이다. 강북 지역은 0.4% 떨어졌고 강남 지역도 0.37% 주저앉았다.
자치구별로는 강북 지역에서 도봉구가 창‧방학동 대단지 위주로 0.56% 내렸고 노원구는 상계‧중계동 대단지 위주로, 강북구는 미아‧수유동 구축 위주로 각각 0.55%, 0.48% 떨어졌다. 강남 지역에서는 송파구가 가락‧잠실‧문정동 위주로 0.58% 하락했고 강동구는 고덕‧암사동 대단지 위주로, 관악구는 봉천‧신림동 주요 단지 위주로 각각 0.47%, 0.40% 낮아졌다.
거래도 말라붙었다.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15곳에서 조사 기간 중개거래가 전무했다. 그나마도 도시형생활주택 등 투자 목적의 초소형 주택 거래를 제외하면 실질적으로 거래가 이뤄진 곳은 강남구, 강서구, 송파구 세 곳에서 이뤄진 5건에 그쳤다.
그나마 체결된 거래도 모두 하락 거래였다. 시장에서 선호도가 높은 한강 변 아파트도 하락을 피하진 못했다. 송파구 신천동 '파크리오' 전용 84㎡는 이달 1일 17억7000만원(29층)에 매매됐다. 이곳은 한강 변 초고층 아파트로 인기가 높아 지난해 거래가격이 25억2000만원을 기록한 바 있다. 하지만 1년여 만에 7억5000만원 하락하면서 3년 전인 2019년 말과 비슷한 가격이 됐다.
강서구 염창동 '염창동아1차' 전용 84㎡도 지난 2일 9억5000만원(7층)에 팔리면서 10억원 아래로 내려왔다. 북쪽으로 한강 조망이 가능한 단지이지만, 지난해 최고가에 비해 2억원 하락했다. 지역 부동산 업계에서는 저렴하게라도 팔린 것이 다행이라는 평가마저 나온다. 한 중개업소 관계자는 "올해 이 단지에서 성사된 거래가 한 손에 꼽는다"며 "그나마도 해당 면적은 1년여 만에 처음으로 거래된 것"이라고 말했다.
같은 기간 인천 집값은 연수구(-0.77%)와 동구(-0.74%), 서구(-0.73%) 등에서 신규 입주 물량 영향과 대단지 위주 하락에 0.6% 내렸다. 경기도는 성남 수정(-0.84%)‧중원구(-0.82%), 동두천시(-0.82%) 등이 입주 물량 여파에 하락하면서 0.49% 떨어졌다.
전국 아파트 전세 가격도 0.43% 낮아지며 전주 0.37% 하락 대비 낙폭이 커졌다. 서울은 0.48% 하락했는데, 송파구가 가락‧장지‧잠실동 위주로 0.71% 떨어졌고 강북구(-0.68%), 은평구(-0.62%) 등이 뒤를 이었다. 인천과 경기는 각각 0.62%, 0.61% 떨어졌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주택가격 추가 하락 우려와 기준금리 인상 전망에 따라 매수 관망세가 지속되고 있다"며 "거래급감 상황이 심화해 집값 하락 폭이 확대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세 시장에 대해서도 "전세 대출이자 부담에 임차인들의 월세 계약 이동이 지속되고 매매 물건의 전세 전환으로 매물 적체가 심화했다"고 진단했다.
오세성 한경닷컴 기자 sesung@hankyung.com
▶ 해외투자 '한경 글로벌마켓'과 함께하세요
▶ 한국경제신문과 WSJ, 모바일한경으로 보세요
Copyright © 한국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코로나 와중에도 4조 넘게 벌었다…'치킨게임' 압승한 회사 [김익환의 컴퍼니워치]
- '매년 1경원 쓸 판'…저출산보다 훨씬 무서운 고령화 [정영효의 인사이드 재팬]
- "죽에 비빔밥까지"…코로나 거치며 월매출 1000만원 뛴 곳
- 14만원짜리 햄버거?…고든 램지 "내 전략 한국서 통했다" [한경제의 신선한 경제]
- "트럼프, 부인에게도 소리 질렀다"…예상밖 결과에 격노
- [종합] 이서진, 자산 600억 루머 해명 "집 몰락해 없어, 눈빛 더럽다고 맞았는데" ('유퀴즈')
- [종합] 정주리, '한강뷰 아파트' 때문에 빚 "은행 대출 이자가..." 절규
- 英 찰스 3세 국왕에 날아든 계란 '아찔'…테러 범인은 누구
- [종합] '햄버거 먹고 25kg 찐' 테이 "가게 연 매출 10억↑, 프랜차이즈로 확장" ('라스')
- 이상순, 제주 카페 논란에 "이효리와 무관…온전히 제 카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