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에 그물 못 버린다…‘전자식 꼬리표’ 붙여 위치파악

이정호 기자 2022. 11. 10. 11:3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바다 위에 떠 있는 전자 부이(빨간색 원). 광주과학기술원(GIST) 연구진은 10일 어민과 육상통합 관제센터 등에서 그물 등 어구의 위치정보를 실시간으로 알 수 있게 하는 기술을 실증할 것이라고 밝혔다. GIST 제공
광주과학기술원(GIST) 연구진이 개발한 ‘어구 자동식별 모니터링 시스템’을 활용해 어선에 설치된 관제 장치로 위치 정보 등을 확인하고 있는 모습. G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고기잡이에 쓰이는 그물을 비롯한 각종 어구에 전자식 꼬리표를 붙여 위치와 소유자 등을 원격에서 상시로 확인할 수 있는 기술을 고안해 실증시험에 나선다. 이는 선박 안전운항과 생태계 보호에 기여할 것으로 연구진은 기대했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정보통신융합연구센터 소속 연구진은 SK텔레콤과 전남 신안군 등 지방자치단체와 협력해 내년 3월부터 7개월간 한국 서남부 연안 조업구역에서 ‘어구 자동식별 모니터링 시스템’ 실용화를 위한 해양 실증시험을 실시한다고 10일 밝혔다.

어구 자동식별 모니터링 시스템은 해상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바탕으로 어구마다 위치정보를 송신하는 ‘전자 부이’를 붙이는 것이 핵심이다.

부이는 수면에 띄우는 표식인데, 여기에 전자식 꼬리표를 부착하는 것이다. 전자 부이는 위치와 함께 어구의 소유자와 종류 등에 대한 정보도 담고 있다. 전자 부이 속 어구에 관한 정보를 무선통신을 통해 주변 어민과 관리선, 육상통합 관제센터가 실시간 확인하는 게 가능하다.

이렇게 되면 선박들은 어구가 잠긴 바다를 피해 다닐 수 있어 안전한 운항에 도움이 된다. 버려진 그물이 예기치 못하게 스크루에 휘말리는 일 등을 방지할 수 있어서다. 물 속에 방치된 그물이 있는 줄 모르고 또 다른 그물을 던져 그물끼리 뒤엉키는 일도 피할 수 있다.

특히 해양 생태계를 보호하는 일이 가능하다. 폐그물은 바다 생물에게는 일종의 덫처럼 위험하다. 폐그물에 걸린 바다 생물이 발버둥을 치다 치명적인 부상을 입거나 죽는 일이 많다.

연구진에 따르면 현재 한국 연근해에서 사용되는 연간 어구 수량은 13만1000t으로 추정되는데, 이는 적정 사용량보다 2.5배 많은 수치다. 이 가운데 4만4000t은 바다에 버려진다.

연구진은 “현재는 천이나 플라스틱 널빤지 등에 어구가 누구 것인지를 쓰는 ‘어구 실명제’를 실시하고 있다”며 “이렇게 적은 정보는 쉽게 지워지는 데다 사람이 가까이 다가가 육안으로 직접 확인해야만 하는 어려움이 있다”고 설명했다. 무선통신을 이용한 새 모니터링 기술을 쓰면 이런 문제가 해소돼 그물 등 어구를 해양에 방치하는 일 자체가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연구를 주도한 최영윤 GIST 교수는 “어구 자동식별 모니터링 시스템은 육상에서 어선과 어구를 관리할 수 있게 해 준다”며 “어구 실명제의 실효성을 높이고 유실 어구 감소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이정호 기자 run@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