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대광명병원 이리리 교수, 대한핵의학회 '최우수논문상' 수상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중앙대학교광명병원(병원장 이철희) 핵의학과 이리리 교수가 지난 5일 킨텍스에서 개최된 제12회 대한핵의학회에서 최우수논문상을 수상했다.
이리리 교수는 '다계통위축증 임상양상에 따른 도파민수용체 PET 소견'을 주제로 한 논문을 통해 이번 수상의 영광을 차지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리리 교수는 '다계통위축증 임상양상에 따른 도파민수용체 PET 소견'을 주제로 한 논문을 통해 이번 수상의 영광을 차지했다.
다계통위축증(Multiple system atrophy, MSA)은 원인이 불명확한 산발적 신경계 퇴행성질환이다. 다계통위축증의 진단은 임상적 병력과 신경학적 검진을 바탕으로 이루어지지만, 정확한 진단이 쉽지 않으며, 치료 역시 어려워 환자들이 겪는 고통이 크다.
이리리 교수는 뇌 도파민수용체(DAT) 양전자 단층영상(FP-CIT PET)을 시행한 다계통위축증 환자 65명의 도파민수용체 감소 패턴을 비지도 기계학습인 주성분분석법(PCA)으로 분석했고, 그 결과 도파민수용체의 결합은 다계통위축증의 임상적 특징을 반영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다계통위축증의 근본적인 병태생리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는 바이오마커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이리리 교수는 "핵의학 영상은 타겟팅(targeting)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매우 예민하며 이미지 자체에 질병의 예후가 내포되어 있다"며 "머신러닝은 이러한 핵의학 영상의 장점을 더 부각시켜 질병을 병태생리학적으로 더 잘 이해할 수 있게 해주며 정량화 가능한 이미징 바이오마커 개발에 이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또한 "이번 연구 역시 핵의학 영상을 통해 다계통위축증을 치료하기 위한 실마리를 찾았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리리 교수는 중앙대광명병원 핵의학과 진료과장으로 재직중이며, 2019년에는 대한핵의학학회 후지필름 학술상을 수상하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장종호 기자 bellho@sportschosun.com
Copyright © 스포츠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