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생확대경]애도기간인가 계엄령인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강요한 게 아니에요. 취소 공연 대부분 자발적 선택으로 압니다."
정부의 국가애도기간(10월 31일~11월 5일) 선포 후 문화행사 줄취소에 따른 문화계 피해 우려를 전하자,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에게 돌아온 답이다.
문체부 주최 행사만 중단했을 뿐 일반 공연들의 취소를 강제하지 않았다는 얘기다.
"후원 행사는 축하공연 자제 수준으로 권고했는데, 지자체 등에서 일부 강요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정부의 국가애도기간(10월 31일~11월 5일) 선포 후 문화행사 줄취소에 따른 문화계 피해 우려를 전하자, 문화체육관광부 관계자에게 돌아온 답이다. 문체부 주최 행사만 중단했을 뿐 일반 공연들의 취소를 강제하지 않았다는 얘기다. 그러면서 이 관계자는 한마디 덧붙였다. “후원 행사는 축하공연 자제 수준으로 권고했는데, 지자체 등에서 일부 강요가 있었는지는 모르겠습니다.”
이태원 참사로 온 나라가 거대한 장례식장이 된 지난주. 전국의 별다방(?) 매장에서 흘러나오던 음악은 사라졌고, 웬만한 공연 행사는 중단됐다.
1년 동안 준비해 온 ‘제9회 이데일리 문화대상’도 상당 부분 축소된 채로 치러졌다. 행사 취소를 고민하지 않았을 리 없다. 하지만 공연계 우수 작품을 시상하고 대한민국 문화예술인을 격려하는 자리인 만큼 취소할 수 없는 터였다.
현장 실무진은 애를 먹었다. 개최 유무를 묻는 빗발치는 문의에 안내문자를 또다시 보내야 했다. 프로그램은 전면 수정했고, 영상과 멘트도 바꿨다. 당일 행사장에서는 스태프와 참석자 전원에게 검은색 추모 리본도 나눠줬다. 행사 기사 쓰는 일도 조심스러웠다.
문화예술계는 늘 ‘첫 멈춤’의 대상이었다. 세월호, 코로나19 등 참사와 재난이 닥칠 때마다 생업을 중단하는 아픔을 겪어야 했다. 이태원 참사 이후에도 공공(公共)이 주관하는 행사에서는 ‘통보’ 받다시피 예정 일정을 취소해야 했다.
중소기획사의 경우 공연 취소 시 생기는 손실로 심한 타격을 입는다. 공연장 대관비, 출연료 등을 오롯이 감당해야 한다. 예술노동자들은 받은 출연료를 토해내야 한다. 정부는 “강요하지 않았다”고 말하지만 정작 현장에서는 후원이 끊길까 전전긍긍이다.
지난 3일 예술의전당에서 열린 빈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의 내한공연에서는 연주회 시작 직전, 다니엘 프로샤워 제1바이올린 수석이 무대 앞으로 나와 마이크를 잡았다. “이태원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해 ‘G선상의 아리아’를 먼저 연주하겠습니다. 박수는 치지 말아 주세요.” 관객은 저절로 눈을 감고 손을 모았다.
2014년 세월호 참사 뒤 타인의 고통에 먼저 귀 기울이고 다양한 방식으로 애도한 곳이 문화계였다. 출판계는 참사를 기록했고, 공연을 통해 누구를 향한 애도이고, 무엇을 기억해야 하는지 질문했다. 각자 자리에서 각자의 방식으로 희생자를 기리며 위로했다. 그러므로 ‘틀린’ 애도라는 것은 없다. 애도의 시작과 끝도 정할 수 있는 게 아니다. 우리는 여전히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고, 누군가는 아직도 노란 리본을 달고있다. 국가애도기간이 끝났다고 해서 애도가 멈출 리도 없다.
공연이나 창작활동은 ‘노는 것’, ‘애도하지 않는 것’이 아니다. 직업이자 생계 수단이다. “슬픔 앞에서 예술은 그때마다 멈춰야 할까.” “국가기관이 보기에는 예술이 유흥, 여흥의 동의어인가.” 예술노동자들의 질문에 문체부는 답해야 한다.
‘이데일리 문화대상’에서 대상을 받은 와이즈발레단의 김길용 단장의 수상 소감은 가슴을 후빈다. “지난 3년간 무대에서 간절히 춤출 수 있는 기회는 사라졌고, 많은 예술가가 무대를 떠났습니다. 그럼에도 무대는 이 모든 힘든 상황을 위로하는 치료자의 역할을 해줬죠. 시대의 아픔을 어루만지고 치유하는 것이 예술임을 다시 한번 느낍니다. 오늘 이 상은 힘든 시간을 이기고 견뎌낸 모든 예술가와 함께하겠습니다.”
김미경 (midory@edaily.co.kr)
Copyright © 이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성폭력 아닌 뇌물이 된 성관계…막장 검사 '성추문'[그해 오늘]
- 월드컵 의지 밝힌 손흥민 "1% 가능성 있어도 앞만 보고 간다"
- 동물단체 "풍산개 파양 사건"...文 "지금이라도 입양할 수 있다면"
- 심정지로 병원 간 생후 9개월… 경찰 조사받은 엄마, 무슨 일?
- '웃기고 있네' 논란…안철수 "尹이 시킨 일도 아닌데 왜 사과를?"
- 테이 "햄거버집 연매출 10억… 메뉴 개발하다 25kg 쪄"
- 7억대 코카인 밀반입 한국인, 알고보니 경기도 공무원
- 비속어 발언 보도 뒤끝?…대통령실 "MBC, 순방 전용기 탑승 불허"
- 이서진, 자산 600억·가사도우미만 6명?… 진실은
- [단독]이재용 회장 승진 후 첫 출장지는 日…소재·5G 행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