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녀가 이태원 참사 물어보면 사실 그대로 말해주세요”
조유라 기자 2022. 11. 10. 03:03
죽음에 대해 이해시키기 힘들면, ‘여행 떠났다’라고 설명하면 좋아
묻지 않는 부분은 말할 필요 없어
배변 못하거나 악몽을 꾸는 등 일상생활 힘들면 트라우마 증상
지속적-장기적으로 관찰해야
묻지 않는 부분은 말할 필요 없어
배변 못하거나 악몽을 꾸는 등 일상생활 힘들면 트라우마 증상
지속적-장기적으로 관찰해야
“아이가 학원 가는 길에 조기(弔旗)가 게양된 걸 보고 이유가 뭐냐고 물어보는데, 어떻게 말해줘야 좋을까요?”
경기 고양시에서 7세 딸을 키우는 김모 씨(37)는 얼마 전 아이가 지난달 29일 서울 용산구에서 발생한 ‘이태원 핼러윈 참사’ 관련 질문을 해 당황했다. 김 씨는 “어디까지 설명을 해줘야 할지 몰라서 난감했다”고 전했다.
김 씨처럼 유치원에 재학 중이거나 초등 저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아이에게 이태원 참사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고심하게 된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김은지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아동청소년위원장, 임명호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교수, 정운선 경북대 소아청소년정신의학과 교수 등 심리 및 트라우마 전문가 4명의 도움을 받아 아이에게 이태원 참사를 설명하는 방법과 트라우마 증상이 나타날 때 대처법 등을 정리해 봤다.
○ 비판적 감정 싣지 말고 있는 그대로 말해 주세요
자녀가 이태원 참사에 대해 물어본다면 있는 그대로 얘기하는 게 좋다. 비판적인 감정을 실어서 얘기하거나 비난하는 것은 안 된다. 김 위원장은 “‘어른들이 핼러윈데이라는 축제를 즐기려고 이태원에 모였는데, 너무 많은 사람이 있어서 넘어지기도 해서 뜻하지 않게 큰 참사가 났어. 그래서 사람들이 하늘나라로 갔어. 이런 얘기를 들으니까 마음이 아프고 무섭지. 엄마도 그래’라는 식으로 얘기를 해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나아가 이태원 참사가 슬픈 일이지만 어른들이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구체적인 대책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해 주는 게 좋다.
아이에게 죽음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고민하는 학부모가 많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억지로 죽음에 대해 이해시키려 하거나 직접적으로 설명해 주는 것은 좋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임 교수는 “‘이별했다, 여행을 떠났다’는 식으로 설명해 주는 게 좋다”고 말했다. 곽 교수는 “‘사람은 죽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더 열심히 살아야 한다’는 식으로 죽음을 설명하면 아이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며 “아이가 물어보지 않는 부분까지 설명할 필요는 없다”고 조언했다.
만약 자녀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서 이태원 참사 당시 사진이나 영상을 본 것 같다면 혼을 내거나 당황해선 안 된다. 아이의 말을 들어보고 참사에 대해 있는 그대로 설명해 주는 게 중요하다. 정 교수는 “사진이나 영상을 본 뒤 머릿속에 계속 남아서 생각하고 싶지 않은데도 생각이 날 수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되도록 힘들고 괴로운 영상은 보지 않는 게 도움이 된다는 설명을 아이에게 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배변 못 하거나 악몽 꾸면 트라우마 우려
자녀에게 이태원 참사에 대해 설명할 때는 자녀가 그 설명으로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 김 위원장은 “기질에 따라 불안이 높은 아이가 참사 정보에 노출되면 죽음에 대한 공포나 강박, 분리불안 등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임 교수는 “부모 등 어른이 참여한 상태에서 친구들과 의견을 나누는 것도 참사를 설명하는 올바른 방식”이라며 “안전 대책을 세워 보고, 친구들이 참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이야기를 나눠 보면 힘든 감정들도 서로 나눌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태원 참사 이후 트라우마를 겪는 어린이도 있을 수 있다. 만약 자녀가 이태원 참사를 알게 된 뒤 배변을 잘 하지 못하거나, 악몽을 꾸거나, 화장실을 너무 자주 가는 등 일상생활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트라우마 증상일 수 있다. 배나 머리가 아프다고 하거나, 학교에 가기 싫다고 하거나, 항상 짜증과 화가 나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자녀가 트라우마 증상을 보인다면 왜 그런지, 어떤 점 때문에 힘든지 충분히 들어주는 게 좋다. 김 위원장은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이제 겨우 열흘 정도가 지났을 뿐”이라며 “아이가 힘들어하면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원래의 규칙적인 생활로 돌아올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족이 함께 즐거운 활동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정 교수는 “자기 전에 아이와 함께 미지근한 물에 목욕을 한다든지 우유를 마신다든지 불안이나 공포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어른이 계속 옆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안심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만약 일상생활이 지속적으로 어렵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곽 교수는 “아동 트라우마는 지금 당장 안 보여도 나중에 나타날 수 있다”며 “지속적, 장기적으로 관찰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경기 고양시에서 7세 딸을 키우는 김모 씨(37)는 얼마 전 아이가 지난달 29일 서울 용산구에서 발생한 ‘이태원 핼러윈 참사’ 관련 질문을 해 당황했다. 김 씨는 “어디까지 설명을 해줘야 할지 몰라서 난감했다”고 전했다.
김 씨처럼 유치원에 재학 중이거나 초등 저학년 자녀를 둔 학부모들은 아이에게 이태원 참사를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고심하게 된다. 곽금주 서울대 심리학과 교수, 김은지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아동청소년위원장, 임명호 단국대 심리치료학과 교수, 정운선 경북대 소아청소년정신의학과 교수 등 심리 및 트라우마 전문가 4명의 도움을 받아 아이에게 이태원 참사를 설명하는 방법과 트라우마 증상이 나타날 때 대처법 등을 정리해 봤다.
○ 비판적 감정 싣지 말고 있는 그대로 말해 주세요
자녀가 이태원 참사에 대해 물어본다면 있는 그대로 얘기하는 게 좋다. 비판적인 감정을 실어서 얘기하거나 비난하는 것은 안 된다. 김 위원장은 “‘어른들이 핼러윈데이라는 축제를 즐기려고 이태원에 모였는데, 너무 많은 사람이 있어서 넘어지기도 해서 뜻하지 않게 큰 참사가 났어. 그래서 사람들이 하늘나라로 갔어. 이런 얘기를 들으니까 마음이 아프고 무섭지. 엄마도 그래’라는 식으로 얘기를 해 줄 수 있다”고 말했다. 나아가 이태원 참사가 슬픈 일이지만 어른들이 안전한 세상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고, 구체적인 대책이 나오고 있다고 설명해 주는 게 좋다.
아이에게 죽음을 어떻게 설명해야 할지 고민하는 학부모가 많다. 이에 대해 전문가들은 “억지로 죽음에 대해 이해시키려 하거나 직접적으로 설명해 주는 것은 좋지 않다”고 입을 모았다. 임 교수는 “‘이별했다, 여행을 떠났다’는 식으로 설명해 주는 게 좋다”고 말했다. 곽 교수는 “‘사람은 죽을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더 열심히 살아야 한다’는 식으로 죽음을 설명하면 아이는 큰 충격을 받을 수 있다”며 “아이가 물어보지 않는 부분까지 설명할 필요는 없다”고 조언했다.
만약 자녀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등에서 이태원 참사 당시 사진이나 영상을 본 것 같다면 혼을 내거나 당황해선 안 된다. 아이의 말을 들어보고 참사에 대해 있는 그대로 설명해 주는 게 중요하다. 정 교수는 “사진이나 영상을 본 뒤 머릿속에 계속 남아서 생각하고 싶지 않은데도 생각이 날 수 있다”며 “그렇기 때문에 되도록 힘들고 괴로운 영상은 보지 않는 게 도움이 된다는 설명을 아이에게 해 줄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배변 못 하거나 악몽 꾸면 트라우마 우려
자녀에게 이태원 참사에 대해 설명할 때는 자녀가 그 설명으로 어떤 영향을 받고 있는지 면밀히 살펴봐야 한다. 김 위원장은 “기질에 따라 불안이 높은 아이가 참사 정보에 노출되면 죽음에 대한 공포나 강박, 분리불안 등이 생길 수 있다”고 지적했다. 임 교수는 “부모 등 어른이 참여한 상태에서 친구들과 의견을 나누는 것도 참사를 설명하는 올바른 방식”이라며 “안전 대책을 세워 보고, 친구들이 참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는지 이야기를 나눠 보면 힘든 감정들도 서로 나눌 수 있다”고 조언했다.
이태원 참사 이후 트라우마를 겪는 어린이도 있을 수 있다. 만약 자녀가 이태원 참사를 알게 된 뒤 배변을 잘 하지 못하거나, 악몽을 꾸거나, 화장실을 너무 자주 가는 등 일상생활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면 트라우마 증상일 수 있다. 배나 머리가 아프다고 하거나, 학교에 가기 싫다고 하거나, 항상 짜증과 화가 나 있는 것처럼 보일 수도 있다.
자녀가 트라우마 증상을 보인다면 왜 그런지, 어떤 점 때문에 힘든지 충분히 들어주는 게 좋다. 김 위원장은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이제 겨우 열흘 정도가 지났을 뿐”이라며 “아이가 힘들어하면 이야기를 잘 들어주고 원래의 규칙적인 생활로 돌아올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가족이 함께 즐거운 활동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정 교수는 “자기 전에 아이와 함께 미지근한 물에 목욕을 한다든지 우유를 마신다든지 불안이나 공포에서 빠져나올 수 있도록 어른이 계속 옆에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안심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만약 일상생활이 지속적으로 어렵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한다. 곽 교수는 “아동 트라우마는 지금 당장 안 보여도 나중에 나타날 수 있다”며 “지속적, 장기적으로 관찰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초등생 자녀가 ‘이태원 핼러윈 참사’ 물어본다면… |
○ 비판적인 감정을 싣거나 비난하지 말고 있는 그대로 얘기해 주세요 ○ 억지로 죽음을 설명하기보다 ‘이별했다’ ‘여행을 떠났다’ 라고 설명해 주세요 ○ 힘들고 괴로운 사진이나 영상은 보지 않는 게 좋다고 말해 주세요 ○ 배변을 잘 하지 못하거나 악몽을 꾸면 트라우마 증상일 수 있어요 ○ 트라우마 증상이 나타난다면 규칙적으로 생활하고, 가족이 함께 있는 게 좋아요 |
조유라 기자 jyr0101@donga.com
소설희 인턴기자 이화여대 국어국문학과 졸업
Copyright © 동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동아일보에서 직접 확인하세요. 해당 언론사로 이동합니다.
- 기업들 “단기자금이라도…” CP금리 13년만에 최고치
- [김순덕 칼럼]윤석열 정부 2기, ‘이상민 경질’로 시작하라
- [단독]“정진상, 수익 저수지에 뒀다 이재명 선거때 쓰자 해”
- 경제심판론에 하원 열세 美민주, ‘反트럼프’ 결집에 상원 선전
- 中문제 초강경 美공화… 바이든에 강력 수출규제 압박 가능성
- 대통령실 “MBC 기자들 亞순방 전용기 탑승 불허”
- 尹, 친윤에 전화해 당지도부 대처 불만 토로… ‘김은혜 국감장 퇴장’ 상황서 소극 대응 지적
- 檢, ‘대북송금’ 의혹 아태협 회장 서울서 체포
- “용산署 ‘안전 보고서’ 삭제, 서울청 정보부장 지시”
- 美 Z세대, 하원 첫 입성… 1호 레즈비언 주지사도 탄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