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침체기 장기화 속 내 집 마련 전략은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대전은 물론 전국적으로 부동산 침체 장기화 전망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향후 시장에 대한 진단과 전망이 어느 때보다 궁금한 시점이다.
특히 무주택 서민들의 내집 마련 시기는 언제쯤 올 것인지, 집값 하락이 언제까지 진행될지 등 부동산시장에 대한 관심은 활황기 때 못지 않게 높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文·尹 정부 부동산 정책 총평 및 향후 대책 방안 제안 등
대전은 물론 전국적으로 부동산 침체 장기화 전망이 잇따르고 있는 가운데 향후 시장에 대한 진단과 전망이 어느 때보다 궁금한 시점이다. 특히 무주택 서민들의 내집 마련 시기는 언제쯤 올 것인지, 집값 하락이 언제까지 진행될지 등 부동산시장에 대한 관심은 활황기 때 못지 않게 높다.
요즘 가장 '핫'한 부동산 분야 권위자인 한문도 연세대 정경대학원 금융부동산학과 교수로부터 대전지역 시장은 물론 전체적인 부동산 시장에 대한 견해를 들어봤다.
수 년 전부터 '부동산 버블'의 위험성을 경고해 온 한문도 교수는 본보와의 인터뷰에서 우선 "금리가 안정되고 약 1년 후 시장 상황을 주목해야 할 것"이라고 운을 뗐다.
그는 "집값 하락세는 최소 3년에서 최대 7년까지 이어질 것이며, 미국 금리 인상 등 외부 변수에 따라 집값은 최대 50%까지 하락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 교수는 최근 몇 년 동안 정부의 전세대출 완화, 임대 사업 제도 시행, 코로나 및 저금리 유동성 증가 등으로 집값 폭등이 심화됐지만 올해 들어 집값이 폭락하기 시작했다고 진단했다.
그는 "매물이 늘고, 금리가 올라가면 수요자 입장에서 섣불리 부동산을 매입하는 데 부담이 클 것"이라며 "자산 여력이 있어도, 보수적으로 대처하라고 조언해줄 것 같다. 또 HUG가 지난해 10월 역전세 대출 TF팀을 구성하고, 은행에서도 역전세를 대비하는 등 10년 전보다는 리스크가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라고 했다.
한 교수는 부동산 침체가 장기화될 경우 무주택자들이 집을 살 구체적인 시기와 관련해 "미국 물가와 금리 인상이 안정된 후에야 가능할 것"이라며 "금리 인상이 멈추고 약 6개월에서 1년 후 시장 상황과 주택 가격 조정 1-2년 후 시장 상황을 주목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거래량이 증가하고 전세가격이 상승해 매매가와 전세가 차이가 축소되는 그 시점이 집을 살 적기"라고 강조했다.
한 교수는 특히 전세 제도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했다. 그는 "전세는 사라지는 것이 서민에게 궁극적으로는 도움이 된다"고 했다. 전세와 전세자금대출이 갭투자(전세를 끼고 집을 구매하는 행위)를 가능케 해 '집값 거품'을 만든다는 것이다. 그러면서 현재 잇따르고 있는 '역전세', '깡통전세'에 대해 "이제 시작이며, 앞으로 더 심각해 질 가능성이 높다"고 우려했다. 다만, 10-20년 내 전세가 바로 사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한 교수는 지난 정부와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대한 견해도 피력했다.
그는 "문재인 정부는 임대사업자 제도 확대 등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 외부 전문가의 자문을 통한 정보수집과 검증이 부족했다고 본다"며 "여기에 2020년 코로나 위기로 저금리 유동성을 막는데 어려움이 많았다"고 말했다.
윤 정부의 향후 5년간 270만호 공급 등 부동산 정책에 대해서는 "인위적으로 공급 속도를 지연시키지 않고, 신속한 공급을 진행한다면 주택 가격 안정과 국가 경제에 긍정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진단했다.
또 현 정부의 민간기업 활성화를 통한 주택공급확대 계획에 대해서는 "국민을 위한 부동산 정책에 기반돼야 하지만, 정작 민간기업 특혜사업이 될 가능성이 짙어 보인다"며 "자칫 건설사와 투자자를 위한 정책으로 변질될 우려가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 교수는 "현재 부동상 상황에서는 시장편향적으로 정책을 구상해서는 안된다"며 "자연적인 부동산 가격 조정을 인위적으로 막을 경우 자칫 빚으로 쌓아 올린 부동산 버블이 향후 더 큰 위기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한 교수는 끝으로 "정부는 국민주거안정이라는 국가 본연의 업무에 정진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러 파병' 북한군, 첫 교전서 '전멸' 수준…생존자 1명 뿐 - 대전일보
- '바디프로필'→'몸매인증사진'… 우리말로 다듬은 외국용어 28개 - 대전일보
- 대전 유성구 학하 2초·학하중 신설 확정 - 대전일보
- "XX 맛 없음" 예비 경찰들, 학교 조리사에 욕설 남겨 논란 - 대전일보
- 환자는 울상, 병원은 휘청… '악순환' 의정갈등 10개월 - 대전일보
- 배추·무 가격 폭등에… 세종서 김장하면 '45만원' 든다 - 대전일보
- 대전일보 오늘의 운세 양력 10월 31일, 음력 9월 29일 - 대전일보
- 충청권 하계 U대회 이대로 괜찮나… 정부 무관심 속 악재만 - 대전일보
- 박지원, 北김주애 후계자설에 "그렇지 않아…유학 중인 오빠 대신" - 대전일보
- 국방정보본부 "北, 풍계리 핵실험장 내부 준비 끝내"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