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이태원 참사 그리고 대한민국

2022. 11. 9. 18:4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박준규 한반도청년미래포럼 대표·안민정책포럼 청년회원

청년들이 젊음을 즐기기 위해 모인 축제에서 156명이 사망하는 대참사가 발생했다. 수많은 부모님들은 자녀들을 잃고 피눈물을 흘리고 있다. 나라 전체가 패닉 상태다. 그리고 원인 규명과 책임자를 찾으며 서로가 울부짖고 있다. 안전 불감증은 대한민국의 늘 사회 키워드로 존재해왔다. 우리 사회가 안전 불감증에 빠져있다는 것을 우리는 늘 알고 있었다. 안전 불감증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했을 때마다 반성은 있었지만 사고는 지속되었다.

우리는 일상생활 속에서, 사회 속에서 생활하다 보면 많은 위험을 감지한다. 교통, 산업시설, 생활시설 등 우리 육체가 생활하는 반경 속에서 안전사고에 대한 위험들은 늘 존재한다. 음주운전, 신호위반, 과속, 스토킹, 데이트 폭력, 묻지마 폭행, 살인, 폭우로 인한 침수 그리고 익사, 화재, 과적, 얼마 전 발생했던 SPC 공장 사고와 같은 산업재해까지, 우리 주위엔 늘 위험이 도사리고 있다.

그리고 우리는 공통적으로 매 순간 생각한다. "우리는 왜 늘 소 잃고 외양간을 고칠까?" "우리나라는 왜 꼭 누군가가 변을 당하거나 죽어 나가야 법을 고치고 조치가 이루어질까?" 너무도 참혹하고 비통한 일이다. 그리고 유족들과 떠난 이들을 더욱 비참하게 만드는 일들이 매번 반복된다.

전 세계에서 애도의 메시지를 전해왔다. 하지만 늘 그랬듯이 국내의 분위기는 예상 그대로였다. 정치권은 책임자들을 색출하는 심판자인 것처럼 상대 당과 정부를 저격하는 글을 소셜미디어에 올리며 분노를 표출했다. 시간이 지나면서 사망자에 대한 애도는 정치공세로 변질되어 가고 있다. 더불어민주당은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책임론 등 압박 공세를 이어가고 있다.

자식을 먼저 떠나보내는 부모의 고통은 자신이 맞이하는 죽음보다 더 고통스럽다는 말이 있다. 하지만 국민을 대표하고 국민의 안전을 위해 함께 협력해 나가야 하는 정치권은 상처 위에 소금을 뿌리듯, 상대 당과 정부에게 과도한 책임을 묻고 있다. 국민들은 절망했다. 이에 댓글 논쟁이 그 어느 때처럼 일어나고 있다. 나라는 결국 또 청년들의 죽음 앞에 철저하게 분열됐다.

그렇게 원인 파악이 이루어지고 누군가가 책임을 져야 한다며 언성을 높이는 모습을 우리는 또 보게 되었다. 그리고 앞으로도 그 모습은 계속될 것이다. 그리고 또 지나갈 것이다. 정쟁 속에서 사고의 원인과 재발 방지를 위한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대책이 마련되고 유지되고 있는지조차 국민들은 알지 못한 채 또 삶을 살아갈 것이다.

이제 기필코 이 악순환을 멈추어야 한다. 막연하게 나에게는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을 것이라며 방관해선 안 된다. 사고를 당해 우리 곁을 떠난 우리의 이웃들은 그 누구도 자신이 사고를 당할 것을 알지 못했다. 우리는 이 점을 잊어서는 안 된다.

개개인의 안전의식이 공동체의 안전의식이 되며, 그 안전의식이 사고를 예방하고 우리 모두의 목숨을 살릴 수 있다. 우리 주변에 잠들어 있는 활화산과 같은 위험들을 모두가 함께 찾아야 한다. 해결의 여부와 무관하게 모든 것들을 되짚어 보자. 출퇴근길 고속도로를 달리는 광역버스 입구 계단까지 꽉 차 있는 승객들, 온 힘을 다해 밀고 들어가 올라타는 전철, 틈이 벌어져 있는 난방 가스 배출구, 전동 킥보드, 수많은 산업시설의 기계들, 이 모든 것들이 자칫하면 단번에 우리 모두의 생명을 송두리째 앗아갈 수 있는 위험들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는 투표해야 한다. 국민의 안전을 지키고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자세를 갖춘 믿음직한 정당에 표를 줘야 한다. 거기서 그쳐서는 안 된다. 정부가 국민들을 어떻게 보호하고 어떻게 사고를 예방해 나가는지 우리 모두 감시자의 위치가 되어야 한다. 본질을 뒤로 한 채 권력과 정쟁에 묻혀 상처에 소금을 뿌리는 행위를 일삼는 정치몰이배들을 똑똑히 기억했다가 이 다음 선거에서 퇴출시켜야 한다.

우리는 공동체 사회에서 살아간다. 정부 인사들 그리고 나 자신까지 모두가 똑같은 인간이라는 것을 잊어서는 안 된다. 인간은 불완전하다. 하지만 머리를 맞대고 서로가 서로를 지킬 수 있도록 협력한다면 많은 것들이 달라질 수 있다. 우리는 다음 세대에 안전한 사회를 물려주기 위해 이 악순환을 기필코 끊어야만 한다. 국민 모두가 그 과정에 동참해 주기를 간곡히 요청하는 바이다.

Copyright © 디지털타임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