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sing the liquidity squeeze (KOR)

2022. 11. 9. 11:1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제2금융권과 기업의 돈줄이 마르는 '돈맥경화'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레고랜드 사태에 이어 흥국생명과 DB생명 등 보험사들이 신종 자본증권의 조기상환 일정을 미루겠다고 밝히면서 채권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특히 흥국생명의 신종 자본증권은 외화표시채여서 비슷한 한국물 가격을 떨어뜨리는 등 대외신인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5년 9월 조기상환 만기인 동양생명 신종 자본증권 가격은 지난달 말 83.4달러에서 지난 4일 52.4달러로 떨어졌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If the market hit a bottleneck, traffic control is necessary.

The liquidity squeeze in the second-tier financial sector and companies is deepening. The debt market has turned icy after insurers Heungkuk Life Insurance and DB Life Insurance posted that they won’t be exercising the right to redeem perpetual bonds ahead of maturity. In the bond market, companies routinely exercised their right to pay off the debts earlier than maturation to help reduce their interests burden later. The liquidity squeeze was originally triggered by the scare from a default declaration on debt by a public developer of a local government behind the Legoland Korea project.

The secondary financial sector is turning panicky as securities companies turn fearful of losing big money they invested in project financing during the real estate development boom period. After the Legoland Korea debacle, insurers are grappling with capital thinning from people cashing out amid economic downturn, and credit card issuers and capital companies are struggling to raise immediate cash due to tepid demand for their short-term papers.

Heungkuk Life Insurance issued $500 million 30-year bonds with the option of repaying five years after the offering. Long-dated or perpetual bonds are usually redeemed in five years. Investors buy the bonds with expectations of redeeming their funds five year later. But the life insurance company could not repay the bonds after five years this time.

As Heungkuk Life bonds were sold in dollars overseas, the forfeiture in early repayment can negatively affect credibility of Korean papers. The value of the bonds issued by Tongyang Life Insurance, which have the option for repayment on September 2025, also fell to $52.4 last Friday from $83.4 late October. The price fall of Korean bonds would mean that much of a spike in borrowing rates for new Korea offerings.

Democratic Party head Lee Jae-myung raised the Heungkuk Life case to call for preemptive actions, since as much as 35 trillion won worth global bonds of Korean issuers are due next year. He criticized the government for being out of sync with liquidity increase when the Bank of Korea has been raising rates to tame inflation.

But the greater danger is the waning confidence in Korean issuers. Much of the anxiety could be eased through clear explanation. Seoul Dunchon L&H redevelopment cooperative last month succeeded in refinancing its maturing debt of 700 billion won. If the market hit a bottleneck, traffic control is necessary.

Fortunately, the government and Heungkuk Life have found a way to ease the anxiety over credibility in a head-on-head meeting. Heungkuk agreed to repaying the debt on Wednesday, as scheduled, mostly with its money while commercial banks and other insurance companies agreed to buy repurchase agreements (RP)-based bonds issued by Heungkuk. But financial authorities must strive to prevent such a liquidity squeeze in advance.

‘돈맥경화’는 신뢰의 위기, 확산 차단해야

증권·보험·카드·캐피탈 2금융권 자금 비상사안별 대응 중요...흥국생명 해법 찾아야

제2금융권과 기업의 돈줄이 마르는 ‘돈맥경화’ 현상이 이어지고 있다. 레고랜드 사태에 이어 흥국생명과 DB생명 등 보험사들이 신종 자본증권의 조기상환 일정을 미루겠다고 밝히면서 채권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부동산 호황기에 부동산 파이낸싱(PF) 시장에 많이 투자한 증권사, 저축성 상품이 빠져나가면서 자본 확충에 여념이 없는 보험사, 수신 기능이 없어 채권으로 자금을 조달해야 하는 카드사와 캐피털사 등 주로 제2금융권에서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5년 전에 5억 달러 규모로 발행한 흥국생명 증권의 만기는 30년이지만 5년이 지나면 돈을 일찍 갚을 권리(콜옵션)를 흥국생명이 갖고 있다. 대부분 5년 뒤에 옵션을 행사해 왔기에 시장에서는 사실상 만기 5년짜리 채권으로 여겼는데 투자자들의 기대에 부응하지 못하면서 사달이 난 것이다. 신종 자본증권을 조기상환하지 않은 건 2009년 우리은행의 후순위채 이후 13년 만이다. 신종 자본증권은 영구채(永久債)로 분류돼 회계상 자본으로 인정받는다. 보험사들은 자기자본비율(BIS)을 높이기 위해 발행을 늘려 왔다.

특히 흥국생명의 신종 자본증권은 외화표시채여서 비슷한 한국물 가격을 떨어뜨리는 등 대외신인도에도 나쁜 영향을 미치고 있다. 2025년 9월 조기상환 만기인 동양생명 신종 자본증권 가격은 지난달 말 83.4달러에서 지난 4일 52.4달러로 떨어졌다. 해외 시장에서 한국물 수요가 줄면 국내 기업이 해외에서 달러를 빌리기 위해 더 높은 금리를 제시할 수밖에 없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그제 SNS에 ‘살얼음판 같은 자금시장 경색, 땜질 처방으론 안 됩니다’라는 글을 올려 흥국생명 사태를 언급했다. 그는 “당장 내년에 만기가 돌아오는 외화채권 규모가 35조원에 달한다”며 선제적인 대응을 주문했다. 한은은 물가를 잡겠다고 금리를 올리는데 정부는 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하는 일관성 없는 정책은 단기 대책이라고 비판했다.

총론으론 맞는 말 같지만 각론에서 현실감이 떨어진다. 지금은 거래 상대방을 믿지 못해 거래를 못 하는 신뢰의 위기다. 당국이 사안별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적극적으로 나서면 풀릴 수 있는 문제가 꽤 있다. 지난달 7000억원 차환에 성공한 서울 둔촌주공 재건축조합이 대표적이다. 시장 기능이 작동하지 않아 막힌 곳은 하나하나 뚫어줘야 한다. 이런 것까지 땜질처방이라고 비판해선 안 된다.

지금 ‘제2의 레고랜드’ 소리를 듣는 흥국생명 사태도 정부와 발행사인 흥국생명이 마지막까지 해결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외화표시채인데도 해외보다 국내 시장에 더 크게 악영향을 미치는 분위기다. 흥국생명이 콜옵션을 행사할 수 있는 9일까지 아직 시간은 있다. 금융당국과 외환당국이 이번에 제대로 대책을 강구해 보기를 기대한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