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모시기는 옛말, 짤릴까 걱정”…판교에 무슨 일이

김대기, 고민서, 황순민 2022. 11. 8. 21:09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인건비 허리띠 졸라맨 IT업계
뭉칫돈 몰렸던 스타트업들
투자금 70% 확 줄자 구조조정
IT인력 쏟아져 갈 곳 막막
인건비 허리띠 졸라맨 IT업계
뭉칫돈 몰렸던 스타트업들
투자금 70% 확 줄자 구조조정
IT인력 쏟아져 갈 곳 막막
사진은 기사와 직접 관련 없음

“작년만해도 개발자는 부르는 게 몸값이라는 말이 있었다. 지금은 연봉 높여 옮기는 것은 언감생심이고 다니는 회사 자리나 잘 지키면 본전이라는 분위기다.” (국내 IT대기업 재직자)

국내 정보기술(IT) 업계 구직 시장에 한파가 몰아치고 있다. 불과 1년전만 하더라도 대규모 채용 경쟁을 벌였던 IT기업·스타트업들이 절대적 고정비용인 인건비 관리에 돌입하면서 나타난 변화다.

작년만 해도 뭉칫돈이 몰렸던 국내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올해 초부터 급격히 줄어들면서 IT인력을 블랙홀처럼 빨아들였던 스타트업들은 고강도 구조조정 위기에 처했다.

8일 매일경제와 스타트업 데이터 전문회사인 더브이씨가 함께 국내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상황을 조사한 결과, 지난달 성사된 국내 스타트업 투자 총액은 525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4월(1조 4639억원) 대비 투자 금액은 반년 만에 3분의 1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특히 투자가 최고조에 달했던 지난해 7월(3조 853억원)과 비교해보면 순수 투자액이 2조 5600억원이 줄었다.

이같은 투자 감소는 스타트업발 정리해고로 이어질 조짐이다. 실제로 이용자 수를 확보하고는 있지만 적자를 내고 있는 국내 플랫폼 스타트업들의 대규모 구조조정을 동시다발적으로 진행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국내 한 헤드헌팅사 관계자는 “코로나 초기에 네카오에서 스타트업 이직이 정말 많았는데, 지금은 완전히 반대로 스타트업에서 인력을 대규모로 내보내고 있고, 이를 받아줄 회사가 없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국내 1빅테크 플랫폼 기업들도 구조조정에 내몰리고 있다.

인건비 부담 등 비용이 늘어나면서 전체적인 수익성에 ‘빨간불’이 들어왔기 때문이다. 네이버의 3분기 영업이익은 1년 전(3498억원)보다 5.6% 줄어든 3302억원을 기록했다. 3분기 인건비는 4335억원으로 17.8% 증가했다. 카카오의 경우 올 3분기 영업이익이 1503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6% 감소했다. 특히 3분기 영업비용은 1조7084억원으로 1년 전보다 8.6% 증가했는데, 마케팅비 절감(24.4% 감소)에도 인건비가 3072억원에서 4333억원으로 41%나 늘어났다.

상황이 이렇자 빅테크 기업들조차도 인력 거품을 빼는 분위기다.

네이버의 경우 개발자의 경우 퇴사자를 비롯한 자연 감소분을 보강하는 차원에서만 인력을 충원하고, 그 대상도 프로젝트에 바로 투입할 수 있는 5년 차 안팎의 ‘허리급’ 인력 채용에 집중한다는 방침을 세워놓은 것으로 전해졌다. 카카오도 비대해진 비주력 계열사를 큰 폭으로 줄이는 조직 정비를 계획하고 있다.

지난해만 하더라도 국내 빅테크 기업들은 인원을 보충하면서도 연봉 수준을 끌어올렸다. 네이버 평균 임금은 2020년 1억247만원에서 지난해 1억2915만원으로, 카카오는 같은 기간 1억800만원에서 1억7200만원으로 올랐다.

게임업계에서도 ‘대규모 채용’ ‘인센티브’와 같은 문구들이 사라진지 오래다. 블록체인, 메타버스, 대체불가토큰(NFT) 사업의 경우 실제 수익모델(BM)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는데다 시장 거품까지 빠지면서 효율적인 인사관리를 요구하는 대내외 목소리가 높아지는 상황이다.

이같은 네카오와 게임사들의 기조 변화는 IT업계 전체 생태계에도 상당한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내 굴지 IT기업에서 블록체인업계로 2년 전 이직한 30대 후반 A씨 “올 들어 코인업계 불황으로 회사 사정이 예전만큼 좋지 않은듯해 여러 번 이직을 시도했지만, 연봉 협상 등 근로조건이 맞지 않아 번번히 무산됐다”고 토로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