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 절반 이상이 답했다…“이 참사, 이상민 장관 물러나야”[이태원 핼러윈 참사]

김한솔 기자 2022. 11. 8. 21:07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이태원 참사 시민 인식조사
문재원 기자 mjw@kyunghyang.com
67%가 “책임 주체는 정부”
3명 중 1명이 대통령실 꼽아
경찰청·행안부·용산구청 순

이태원 참사의 책임을 지고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사퇴해야 한다는 의견이 57%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시민 10명 중 7명이 참사의 책임이 대통령실과 행정안전부, 경찰청 등 정부에 있고, 그중 대통령실 책임이 가장 크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경향신문이 ‘공공의창’과 공동으로 여론조사전문기관 휴먼앤데이터에 의뢰해 지난 4~7일 전국 18세 이상 성인 1023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이태원 참사 관련 시민 인식조사 결과다. 이번 조사에서 ‘이태원 참사를 책임져야 할 주체를 누구라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67.7%가 정부의 책임이라고 답변했다.

특히 33.3%가 ‘국정을 총괄하는 대통령실’을 꼽아 이번 참사와 관련해 대통령실이 포괄적인 책임을 져야 한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24.7%는 경찰청과 행정안전부, 9.7%는 용산구청에 책임이 있다고 답했다. 다만, 28.4%는 ‘시민들의 질서의식 부재’가 문제였다고 응답했다. 이은영 휴먼앤데이터 소장은 “ ‘질서의식 부재’를 꼽는 답변이 예상보다 높게 나왔는데, 대통령 지지율과 유사한 수준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이번 참사에 ‘정부 책임이 어느 정도 되느냐’는 질문에 68.7%가 ‘정부 책임이 매우 있거나(48.5%) 어느 정도 있다(20.2%)’고 답했다. 정부 책임이 ‘전혀 없다’는 답은 7.5%, ‘어느 정도 없다’는 답은 21%에 불과했다.

‘이번 사안에 대해 책임을 지고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사퇴하는 것에 어떤 입장인가’에 절반 이상(56.8%)이 ‘사퇴에 공감한다’고 답했다. ‘사퇴에 공감하지 않는다’는 32.5%, ‘잘 모르겠다’는 10.7%였다. 이 장관은 참사 발생 직후 “우려할 만큼 많은 인파가 몰리지 않았다. 경찰을 배치해 해결될 문제가 아니었다”고 발언해 재난·안전관리 책임 주무장관으로서 부적절한 발언이라는 비판을 받은 바 있다.

‘사회적 참사’에 57%가 공감
참사 반복 “안전 경시 때문”
“정부 무책임”도 37%가 응답

응답자 중 57.8%는 이번 재난이 국가적 지원을 해야 하는 사회적 참사라는 의견에 대해 ‘공감하는 편’이라고 답했다. ‘공감하지 않는 편’이라는 답은 28.7%, ‘잘 모르겠다’는 13.5%였다. 이태원 참사 후 정부는 분향소와 공식 문서 등에서 ‘참사’ 대신 ‘사고’, ‘피해자·희생자’ 대신 ‘사망자’라는 용어를 사용해 ‘책임을 회피하려 한다’는 비판을 받았다.

왜 이런 참사가 반복적으로 발생할까. 2014년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한국 사회에서는 많은 이들이 예상치 못한 곳에서 죽음을 맞았다. 응답자들은 대형 참사가 반복되는 원인으로 ‘안전을 경시하는 사회 분위기’(39.4%)와 ‘정부의 무책임’(37.5%)을 꼽았다. 이어 ‘안전인력 부족(9.8%)’ ‘책임자 처벌 미흡(9.7%)’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세월호 이후 사회 ‘안전’엔
69%가 “그때보다 더 나빠져”

69.1%의 응답자들은 세월호 참사 이후에도 사회적으로 안전에 대한 법·제도 정비나 투자 등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았거나 오히려 더 나빠졌다고 느끼고 있었다. ‘안전에 관한 법·제도 정비와 안전에 대한 사회적 투자에 대해 어떻게 보느냐’는 물음에 45.1%는 ‘그때와 비슷하다’, 24%는 ‘그때보다 나빠졌다’고 답했다. 상황이 ‘나아졌다’는 답은 20.7%에 그쳤다.

응답자들은 이태원 참사에 대해 언론의 사실확인 노력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응답자 41.9%가 언론의 ‘사실관계 확인 부족’, 20%는 ‘선정적인 현장 보도’가 문제라고 봤다. 언론사 간 ‘경쟁적 속보(10.1%)’나 ‘무리한 유족 취재(5.8%)’가 잘못됐다는 의견도 있었다. ‘특별한 문제가 없었거나(9.5%) 잘 모르겠다(12.7%)’는 의견은 22.2%였다.

이번 설문조사는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한 ARS 여론조사로 진행했으며 응답률은 1.6%,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오차범위 ±3.1%포인트다. 표본 추출은 RDD 무작위 추출 방식이며 통계보정은 2022년 10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 기준 성·연령·지역별 가중치 적용 방식으로 이뤄졌다.

공공의창은 2016년 출범한 비영리 공공조사 네트워크다. 리얼미터, 리서치뷰, 우리리서치, 리서치DNA, 조원씨앤아이, 코리아스픽스, 티브릿지, 한국사회여론연구소, 휴먼앤데이터, 피플네트웍스리서치, 서던포스트, 메타리서치, 소상공인연구소, DPI, 지방자치데이터연구소 등 여론조사·데이터분석·숙의토론 관련 회사가 회원으로 있다. 정부나 기업 의뢰를 받지 않고 비용은 회원사가 분담하는 방식으로 자체 조달한다.

김한솔 기자 hansol@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