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존자들이 한결같이 물었다…“이 나라, 시민을 지킬 수 있을까”[이태원 핼러윈 참사]
지난달 29일 밤 서울 용산구 이태원에서 핼러윈 참사가 발생한 지 열흘이 지났다. 젊은이들의 축제였던 그날, 그곳에서 사상 초유의 압사 사고로 다수의 사상자가 나왔다. 시민들은 여전히 충격과 슬픔에 빠져 있다. 정부는 8일 현재 156명이 사망하고 197명이 부상한 것으로 집계했다. 하지만 이 참사로 고통받는 실질적인 피해자는 훨씬 많다.
술집서 문 열어줘 살고, 길 건너편에 있어 화를 면한 이들
“그 자리에 내가 있었다면…” 죄책감에 ‘생존자’라는 호칭도 “사치”
참사는 왜 또 발생했는가. 2014년 4월16일 세월호 참사로 304명이 사망한 이래 안전과 생명은 한국 사회의 중요한 키워드였다. 가습기살균제 사태, 비정규직 노동자 김용균씨의 죽음 등 여러 참사가 발생할 때마다 정부는 반성했고, 대책을 내놓았다. 그러나 안전보다 효율을 중시하는 정책 기조 아래서 재난안전 체계는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경제 규모 세계 10위의 선진국임을 자랑하는 한국은 이번 참사로 또다시 ‘위험한 곳’임이 확인됐다.
경향신문은 이태원 참사에서 살아남은 ‘생존자’를 만나 참사에 대해 물었다. 이들은 당시 상황을 설명하면서 목이 메었고, 몸을 떨었다. 여전히 잠을 잘 수 없고, 집 밖에 나가기 힘들다고 했다. “지옥이었다” “꿈이었으면 좋겠다”고 했다. 그러면서도 사람들이 참사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며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직접 글을 올리고 언론 인터뷰에 응했다.
참사 후 어떤 사람들은 ‘이태원에 놀러간 게 잘못’이라며 책임을 피해자들에게 돌렸지만, 생존자들은 “누구한테나 벌어질 수 있는 참사였다”고 했다. 이태원은 누군가에게 파티 장소이고, 일터이고, 사는 동네이다. 일상에서 벌어진 일이라는 것이다. 사람들은 재난이 자신과 관련 없다고 생각하지만, 생존자들은 재난은 특별하지 않다고 했다.
책임을 회피하는 정부 태도에 생존자들은 분노했다. 정부 책임의 크기가 얼마만큼인지를 두고는 저마다 생각이 조금씩 달랐다. 그러나 이들이 공통적으로 말하는 것이 있다. 현장에 경찰이 몇 명만 있었어도 이렇게 큰 사고는 나지 않았다는 것. 이런 비극이 다시 발생해서는 안 된다는 것. 피해자들에게 ‘미안하다’고 말하는 것 역시 그 자신도 피해자인 생존자들이다. 이들은 살아남은 자의 죄책감에 시달리고 있다. 참사의 수습까지 스스로 해야 하는 생존자들. 이들은 ‘국가란 무엇이냐’고 묻고 있다.
■ 누구나 피해자가 될 수 있는 참사
6년 전부터 이태원·홍대에서 핼러윈 파티를 즐겨온 A씨(32)는 지난달 29일에도 여느 때와 다름없이 이태원을 찾았다. 삽시간에 인파에 밀리는가 싶더니 어느 순간 발이 땅에 닿지 않았다. 숨을 쉴 수가 없던 와중에 옆 사람으로부터 “벽에 붙어야 살아요”라는 말을 듣고 사고가 난 골목으로 쏠려가기 직전 간신히 철제 난간을 붙잡았다. “살려주세요” “사람 죽는다고요”라는 소리가 들렸다.
참사 후 어떤 사람들은 골목의 술집이 문을 열어주지 않아 피해가 커졌다고 했지만 A씨는 술집 문을 열어줘서 살았다. 술집으로 잠시 대피했다가 공간에 여유가 생긴 뒤 가까스로 빠져나왔다. A씨는 156명이 사망하는 참사가 벌어졌으리라고는 생각하지 못했다. 나중에 사람들이 들것에 실려나오는 모습에 충격을 받아 멍하니 쳐다볼 뿐이었다.
집에 돌아온 뒤 A씨는 계속 이태원이 생각났다. 영상을 되돌려보고 로드뷰로 사고가 난 골목을 찾아봤다. 하루 종일 집에 틀어박혀 뉴스특보를 봤다. 사이렌 소리가 나면 심장이 쿵 내려앉았다. 두통이 계속됐고 속은 울렁거렸다. 불안하고 초조해 식은땀이 나고 잠을 자지 못했다. A씨는 자신에게 ‘생존자’라는 이름을 붙이는 것도 사치라는 느낌이 들었다고 했다.
“이태원에 가지 말았어야 했다”는 A씨 말에 심리상담사는 이렇게 답했다. “당신이 가지 말았어야 할 곳을 간 게 아니라, 어디를 가더라도 국가가 안전하게 돌아올 수 있게 해주는 게 맞다. 당신이 놀고 사치를 부린 게 아니라 그저 일상을 보내다가 참사가 일어난 것뿐이다.”
어떤 사람들은 이태원에 간 게 잘못이라는 식의 주장을 폈다. 전문가들은 ‘피해자 비난’을 심리적 방어기제의 작동으로 분석한다. ‘핼러윈 파티에 가지 않는 나는 재난을 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는 식이라는 것이다. A씨가 말했다. “동네 슈퍼에 가서 장을 보다가 죽었다고 하면 그 사람한테 슈퍼에 왜 갔느냐고 안 하잖아요. 나는 늘 가던 곳이고 때마다 갔는데 말이죠. 할머니들이 가수 임영웅 콘서트에 간 것과 같은 예인데요. 각자 취미생활이 있잖아요. 이태원에 사는 사람에게는 자기 동네 길이고, 동네 편의점 같은 곳이에요. 사람들이 이상하게 이태원을 인식하고 있는데 일상적인 공간이라는 것을 알아야 해요.”
한 달에 한 번꼴로 이태원을 방문했던 B씨(26)도 참사 당일 이태원에 있었다. 평소보다 사람이 많다고 느꼈지만 큰 사고가 날 것이라고는 상상하지 못했다. 핼러윈 축제를 맞아 분장을 하고 사진을 찍으며 돌아다녔는데, 나중에 피해자들이 압사 사고 후 심폐소생술(CPR)을 받는 모습을 보게 됐다. B씨는 “오후 10시쯤 지인을 만나기 위해 (사고 난 골목) 건너편 교차로에 있었다. 만약 지인을 만나는 위치가 바뀌었더라면 저도 그 자리에 있지 않았을까 싶다”고 했다. 그는 “몇 시간 전에 나와 사진을 찍고 웃으면서 이야기했던 사람들이 한순간에 죽었을 수 있다고 생각하니까 마음이 우울하고 계속 생각이 난다”며 “이번 참사는 누구한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었다”고 했다.
“경찰 한두 명이라도 배치했다면 사고 났을까” 아쉬움
핼러윈 말고도 축제 많은데 “피해자 탓은 너무 잔인해”
■ 예방 못한 정부, 사후도 책임 회피
C씨(20)는 참사 당일 한 술집에서 안전 경호 업무를 하던 중이었다. 그는 참사 후 인스타그램에 올린 글에서 “죄송하다”는 말을 거듭 썼다. 한 명이라도 더 살리려고 CPR을 했지만 살리지 못한 죄책감이 든다고 했다. “한 여성분이 제 옷깃과 팔을 잡아당기면서 ‘제발 살려달라, 제발 도와달라’고 했을 때 제가 ‘꼭 살릴 테니까 진정하고 계시라’고 말을 했어요. 그런데 그분이 돌아가셨을 수도 있다고 생각하니 죄책감이 너무 큰 거예요.” 그는 혹시 유가족과 마주칠까 두려워 분향소로 가는 발걸음도 쉽게 떨어지지 않았다고 했다.
생존자들은 참사 당일 이태원 거리에서 인파를 관리하는 경찰이나 구청 공무원을 보지 못했다고 했다. 핼러윈 축제가 주최가 없어 정부 책임이 없다거나, 경찰을 더 배치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었다는 정부 반응에 C씨는 화가 났다고 했다. “핼러윈 하면 이태원이잖아요. 사람들이 그렇게 알고 있기 때문에 작년에도 핼러윈 때 사람이 많이 모였는데, 올해도 모이겠다는 생각을 안 할 수가 없어요. 저 같은 시민도 생각을 하는데 나라에서 못할 리가 없잖아요. 그런데 아무도 배치를 안 했다니 황당했어요. 안전사고를 예방하지 않은 거잖아요.”
경찰은 참사 현장에서 사람들을 밀었다는 의혹을 받은 ‘토끼 머리띠’ 남성을 조사한 뒤 무혐의 처분했고, 아보카도 오일을 뿌려 사람들을 미끄러지게 했다는 의혹을 받은 ‘각시탈’ 남성들은 수사 중이다. 골목에서 1시간10분 넘게 깔려 있다가 구조된 D씨(23)는 고의로 민 사람들이 있다면 잡혔으면 한다고 말했다. D씨는 “저희는 비명을 지르며 ‘뒤로’라고 외쳤지만 ‘밀어’라고 하는 것을 들었다”며 “사람들이 자기 갈 길만 가려 하고 그 사이에 낀 사람들은 이동할 수가 없었다. 조금씩만 양보했으면 됐을 텐데…”라고 했다. 그러면서도 D씨는 “꼭 여의도 (불꽃)축제만 100만명이 오는 게 아니라 이태원에도 그 많은 사람들이 있었는데, 골목에 경찰이 한두 명이라도 배치됐다면 이런 일이 있었을까 싶다”며 “이런 일이 반복돼서는 안 된다”고 했다. 그는 “꿈이라고 생각하고 싶고, 꿈이 깼으면 좋겠다”고 했다.
생존자 E씨(32)는 참사 이후 정부 대응이 면피를 위해 책임자를 찾는 ‘폭탄 돌리기’ 같다고 했다. “안전대책이 제대로 돼 있었다면 부상은 몰라도 사망까지 있었을까 싶어요. 사실 (정부가) 사과를 못해도 돼요. 재난을 인정하고 다시는 일어나지 않게 하기 위해 어떻게 할 것인지를 구체적으로 논의하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거든요. 그런데 참사라는 단어를 쓰면 안 되고 사고라고 해야 된다는 식으로 정부가 책임을 면하는 데만 집중하고 진짜 중요한 게 무엇인지를 모르는 것 같아요. 지금 아무리 국화를 바치더라도 핼러윈 행사는 또다시 할 텐데 그때도 주최가 없었다고 이야기하면서 누가 죽든, 사고가 나든 ‘우리가 왜 책임져야 되느냐’고 할까요? 다시는 이런 참사가 발생하면 안 된다고 생각하지만, (정부의 태도를 보면) 또 발생할 거라고 생각하게 해요. ‘이것 또한 지나가리라’ 식의 생각이 대부분일 것 같은데요.”
세월호 이후 변했다 생각했는데 “정부가 사과 안 하는 것은 같아”
예방·구조·죄책감·수습까지 떠안은 생존자들 ‘국가란 무엇인가요’
■ 국가는 시민을 지킬 수 있을까
F씨(32)는 참사가 발생한 골목 근처에 회사 사무실이 있어 참사 당일 행사 비품을 옮기던 중이었다. 매일 지나다니던 그 길에서 F씨는 1시간10분가량을 깔려 있다가 구조됐다. 반려동물과 부모님을 떠올리며 ‘죽을 수 없다, 살아나갈 수 있다’는 생각으로 버텼다는 F씨는 나중에 SNS에서 자신이 찍힌 영상을 보고 공포감이 더욱 커졌다. 인파에 깔려 있을 때는 몰랐던 주변이 그제서야 보였다. 호흡곤란으로 의식을 잃은 사람들이 영상에 담겨 있었다. 그는 영상을 찾아다니며 삭제해달라는 댓글을 달기 시작했다. “모자이크 처리가 돼도 제 영상들이 떠돌아 다니고, 사건 관련 내용들이 계속 올라오니 보다가 견디지를 못하겠더라고요. 답답하고 이렇게 있으면 안 될 것 같고, 뭐라도 하자는 마음으로 지워달라고 요청했어요. 국가에서나 시민들 의식으로라도 다 같이 협동해 더 이상 영상이 보이지 않게 해야 한다고 생각해요.”
트라우마로 잠을 제대로 잘 수 없던 F씨는 다산콜센터에 전화했는데, 사망자·실종자·부상자·목격자·유가족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답변을 들었다. 큰 부상을 입은 건 아니라 ‘참사 현장에 있던 피해자’라고 설명했더니 콜센터에선 그런 사례가 매뉴얼에 정확히 기재돼 있지 않다고 했다. 트라우마센터 연락처를 안내받은 F씨는 스스로 병원에 다니며 트라우마를 치유해야 했다. 이태원이 일터인 F씨에게 참사는 그야말로 일상이다. F씨가 말했다. “저는 그 길을 다시 지나가야 한단 말이에요. 옆길로 갈 수는 있겠지만 평생 그럴 수는 없으니까요. 핼러윈이 아니었더라도, 다른 곳이었더라도 일어날 수 있는 사고였다고 생각해요. 어느 콘서트, 행사장, 대규모 집회에서도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사고요. 놀러갈 수 있죠. 코로나 이후 첫 핼러윈이고, 주최는 없지만 ‘핼러윈은 파티하는 날’이라는 게 다 정해져 있잖아요. 크리스마스에 압사 사고가 (눈 때문에) 미끄러우니까 더 쉽게 나지 않을까요? 그때 가서도 ‘왜 크리스마스에 밖에 나가서 사고를 당했느냐’ 이런 소리 할까요?”
A씨는 대학교 3학년 때 세월호 참사가 있었다. 당시에는 먼발치에서 추모하는 입장이었지만, 이제는 피해 당사자로 참사를 체감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 사회는 무엇이 바뀌었을까. 앞으로 또 무엇이 바뀔까. 잊을 만하면 계속되는 참사에 국가가 안전을 책임져줄 것이라는 믿음이 생존자와 시민들에겐 별로 없었다. “(참사를) 직접 경험하고 보니까 세월호 참사 때 피해자와 유족들은 정말 힘들었겠다 싶어요. 그때는 지금보다 사회가 덜 성숙했고, 무자비한 공격도 많았잖아요. 심리지원센터도 그때 이후로 생긴 게 아닌가 싶어요. 그때도 (정부는) 사과를 안 했던 것 같은데 사과 안 하는 것은 여전하구나, 사회가 많이 변한 것 같으면서도 안 변했다는 생각이 들어요.”(A씨)
생존자 G씨(27)도 “핼러윈 말고 대학교 축제나 벚꽃축제, 불꽃축제 등 행사가 많지 않으냐. 참사가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런 축제를 가는 게 아닌데 (피해자 탓은) 너무 잔인한 것 같다”고 했다. 앞으로 국가는 과연 시민을 안전하게 지킬 것이라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G씨가 덧붙였다. “처음엔 누구의 책임도 아니라고 생각했어요. 그냥 사고였다고 생각했는데, 나중에 보니까 이미 신고가 수차례 됐었더라고요. 처음에 조치를 취했더라면 피해자가 이렇게 나오지는 않았을 것 같아요. ‘소 잃고 외양간 고치기’처럼 큰 사고가 났고 누구나 느끼는 바가 있었을 테니 당분간은 어떤 행사를 하든 통제가 이뤄지겠죠. 그런데 또 이런 사고는 날 수 있고 그때도 국가는 자기 책임이 아니라고 피할 확률이 높다고 생각해요. 안전을 보장받기보다는요.”
지난 3일 이태원에서 만난 한 상인(74)은 이렇게 말했다. “사람들이 이태원에 와서 새로운 문화를 접하고, 즐기고, 재미있게 맛난 것 먹는 게 뭐가 나빠요? ‘이태원 가니까 재밌더라’ 하는 게 뭐가 나빠요? 더 안전하게 놀 수 있도록 정부가 무한 책임을 져야죠. 우리가 살아야 할 땅에서 이런 것(안전)을 해달라고 세금 내는 것 아닌가요? 우리를 지켜달라고, 그게 정부의 역할이잖아요. 우리는 못할지라도 정부 차원에서는 예상하고 대비를 해야죠.” 추모를 하러 나온 한 시민(60)은 울먹이며 말했다. “세상에 이럴 순 없어요. 법에 나와 있잖아요. 국가가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라고. 세월호 이후로 이런 일은 끝난 줄 알았는데 어떡하나요.”
이혜리·김송이·전지현·김나연 기자 lhr@kyunghyang.com
Copyright © 경향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태원 핼러윈 참사] 시민이 꼽은 최우선 과제는 “진상조사·처벌”
- [이태원 핼러윈 참사] 시민 절반 이상이 답했다…“이 참사, 이상민 장관 물러나야”
- 공군 대령, ‘딸뻘’ 소위 강간미수···“유혹당했다” 2차 가해
- 윤 대통령 공천 개입 의혹, 처벌 가능한가?
- [스경X이슈] ‘흑백요리사’ 출연진, 연이은 사생활 폭로…빚투→여성편력까지
- 윤 “김영선 해줘라”…다른 통화선 명태균 “지 마누라가 ‘오빠, 대통령 자격 있어?’ 그러는
- [단독]“가장 경쟁력 있었다”는 김영선···공관위 관계자 “이런 사람들 의원 되나 생각”
- [단독] ‘응급실 뺑뺑이’ 당한 유족, 정부엔 ‘전화 뺑뺑이’ 당했다
- 윤 대통령 “김영선이 좀 해줘라 그랬다” 공천개입 정황 육성…노무현 땐 탄핵소추
- [단독] 윤 대통령 “공관위서 들고 와” 멘트에 윤상현 “나는 들고 간 적 없다” 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