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연, '비스페놀 F'의 신경독성 규명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제브라피쉬 동물모델과 대사체분석 플랫폼을 통해 플라스틱 첨가제에 의한 신경독성을 규명했다.
8일 한국화학연구원(화학연)에 따르면 배명애·조성희 박사 연구팀은 김기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연구팀과 함께 플라스틱 첨가제 물질인 '비스페놀 A'의 대체제인 '비스페놀 F'의 신경독성을 확인했다.
이에 연구팀은 '비스페놀 F'의 실제 농도(0.001-0.1㎎/L)를 모사해 제브라피쉬 동물모델에 28일 동안 노출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국내 연구진이 제브라피쉬 동물모델과 대사체분석 플랫폼을 통해 플라스틱 첨가제에 의한 신경독성을 규명했다.
8일 한국화학연구원(화학연)에 따르면 배명애·조성희 박사 연구팀은 김기태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 연구팀과 함께 플라스틱 첨가제 물질인 '비스페놀 A'의 대체제인 '비스페놀 F'의 신경독성을 확인했다.
그동안 '비스페놀 A'는 내분비계 교란물질로 알려져 유아용 젖병 등에 사용이 금지됐으며 대체제들이 개발돼 왔지만 아직까지 명확한 규명 사례가 없었다.
이에 연구팀은 '비스페놀 F'의 실제 농도(0.001-0.1㎎/L)를 모사해 제브라피쉬 동물모델에 28일 동안 노출했다. 그 결과, 미량의 '비스페놀 F'가 제브라피쉬의 '혈-뇌 장벽'을 투과해 실제 뇌 조직에 축적되는 것을 확인했다. 또 새로운 환경에 대한 불안 반응이 증가하고, 먹이 탐색을 위한 인지·기억력이 저하됐다고 전했다.
연구팀은 이번 성과를 바탕으로 신경독성 평가를 위한 플랫폼 표준화를 통해 신경계 교란·독성 기전 신속 규명 기술을 더욱 발전시킬 예정이다.
이미혜 화학연 원장은 "이번 결과는 대체 화학물질의 신경계 교란과 독성 기전 규명 연구의 대표적 성공 사례"라며 "향후 후속연구를 통해 대체물질에 의한 신경독성 평가 플랫폼을 조속히 표준화해 기존 위해성이 알려진 화학물질을 대체할 수 있는 대체제 개발을 앞당기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러 파병' 북한군, 첫 교전서 '전멸' 수준…생존자 1명 뿐 - 대전일보
- '바디프로필'→'몸매인증사진'… 우리말로 다듬은 외국용어 28개 - 대전일보
- 대전 유성구 학하 2초·학하중 신설 확정 - 대전일보
- "XX 맛 없음" 예비 경찰들, 학교 조리사에 욕설 남겨 논란 - 대전일보
- 환자는 울상, 병원은 휘청… '악순환' 의정갈등 10개월 - 대전일보
- 배추·무 가격 폭등에… 세종서 김장하면 '45만원' 든다 - 대전일보
- 대전일보 오늘의 운세 양력 10월 31일, 음력 9월 29일 - 대전일보
- 충청권 하계 U대회 이대로 괜찮나… 정부 무관심 속 악재만 - 대전일보
- 박지원, 北김주애 후계자설에 "그렇지 않아…유학 중인 오빠 대신" - 대전일보
- 국방정보본부 "北, 풍계리 핵실험장 내부 준비 끝내" - 대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