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 던지고 손 붙이고…환경단체 시위에 머리 싸매는 미술관들

윤종석 2022. 11. 8. 16:27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최근 유명 미술관에서 환경운동가들이 잇따라 명화에 음식물을 투척하는 등의 시위를 벌이자 전시업계가 방지 대책에 고심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주요 미술관과 박물관들은 최근 환경운동가들이 전시 중인 미술 작품에 케이크나 으깬 감자 등 음식물을 던지는 등의 시위를 벌이자 입장객의 소지품 검색을 강화하거나 유리판 등 보호재를 덧대는 등의 보안 강화에 나서고 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보안업체 컨설팅·검색 강화·보호재 추가 등 부심

(서울=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최근 유명 미술관에서 환경운동가들이 잇따라 명화에 음식물을 투척하는 등의 시위를 벌이자 전시업계가 방지 대책에 고심하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최근 주요 미술관과 박물관들은 최근 환경운동가들이 전시 중인 미술 작품에 케이크나 으깬 감자 등 음식물을 던지는 등의 시위를 벌이자 입장객의 소지품 검색을 강화하거나 유리판 등 보호재를 덧대는 등의 보안 강화에 나서고 있다.

앞서 5월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 있던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명화 '모나리자'가 케이크에 맞았고, 지난달 영국 런던 내셔널갤러리에 있는 빈센트 반 고흐의 명화 '해바라기'는 토마토수프 세례를 당했다.

토마토스프를 뒤집어쓴 '해바라기'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지난달 말 네덜란드 헤이그에 있는 마우리츠하위스 미술관에선 기후활동가가 '진주 귀걸이를 한 소녀'에 자신들의 머리와 손을 풀로 붙였다.

이런 기습 시위는 '저스트 스톱 오일'(Just Stop Oil) 등 환경단체들이 기후위기 등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을 촉구한다는 이유로 벌이고 있다.

다행히 이들 작품은 유리판이 덧대져 있어 실질적인 피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하지만 이런 시위가 앞으로도 유행처럼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는 점에서 미술관과 박물관들은 걱정이 크다.

미술관 중에는 주로 스포츠 이벤트나 공항 등의 보안을 점검하는 전문 보안업체의 컨설팅을 받는 곳도 많아졌다고 WSJ은 전했다.

미국의 보안 컨설팅 회사 '카멜론 어소시에이트'의 에머츠 브랜드스는 최근 박물관 등이 보안 상담 사례가 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전직 이스라엘 군인 출신이다.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많은 입장객에 섞여 있는 시위자가 행동에 들어가기 전에 가려내 저지하는 것이라고 브랜드스는 강조했다.

이 회사는 최근 10여 개의 박물관, 미술관에 가상의 시위대 역할을 맡은 '레드팀'을 보내서 보안 상태를 점검했다고 한다.

브랜드스는 미술관에 입장할 때는 혼자였는데 어느새 일행과 만나고, 손가락질 등으로 서로 '신호'를 주고받는 사람들은 요주의 대상이라고 설명했다.

그림 감상은 뒷전인 채 CCTV 위치를 확인하려고 두리번거린다거나, 그림을 정해진 동선대로 보지 않고 특정 명화에 바로 직진하는 관람객도 주의해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하지만 지난 2년 이상 코로나19로 인한 관람객 급감으로 재정적인 타격을 받은 미술관과 박물관들은 보안 컨설팅을 받거나 그림 보호 장치를 설치하거나 금속탐지기 등 검색 장비를 갖추는 것이 여간 부담스럽지 않을 수 없다.

최근 음식물 테러를 당한 '진주귀걸이를 한 소녀'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금지]

영국의 보안 컨설팅회사인 '트라이던트 매너'의 앤디 데이비스는 소규모 미술관에선 보안이 허술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하고, "업계 사람들은 그저 자신들에겐 그런 일이 일어나지 않으리라 생각하길 원하는 것 같다"고 전했다.

일각에선 아예 실내 가방 소지를 금지하는 '제로 백'(Zero bag) 정책을 도입하기도 하지만 이마저도 쉽지 않다. 그동안 미술관 등은 관람객들이 음식을 가져오는 것을 막지 않았고, 가져온 음식으로 가볍게 끼니를 때우는 관람객도 적지 않았다.

명화에 유리를 덧대는 것이 완벽하게 그림을 보호하는 수단이 될 수도 없다. 유리 때문에 온도와 습도 조절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그림이 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미국 필라델피아의 미술품 전문가인 스티븐 에리소티는 "명화가 펠트 천 등으로 덮인 목재 프레임 등에 있는 경우 유리를 덧대면 그림 상태가 나빠질 수 있다"고 말했다.

banana@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