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튬이차전지 저장용량↑…실리콘 음극재 상용화 청신호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국내 연구진이 기존 리튬이차전지 흑연 음극재보다 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춘 실리콘을 음극재로 사용할 수 있는 새 방법론을 제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 연구팀이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나노스케일 분해능으로 전극 내 전자 전도 채널을 왜곡 신호 없이 정량적으로 추출하는 방법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국내 연구진이 기존 리튬이차전지 흑연 음극재보다 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춘 실리콘을 음극재로 사용할 수 있는 새 방법론을 제시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홍승범 교수 연구팀이 LG에너지솔루션과 함께 나노스케일 분해능으로 전극 내 전자 전도 채널을 왜곡 신호 없이 정량적으로 추출하는 방법론을 개발했다고 8일 밝혔다. 연구팀은 전극 소재와 같이 표면 거칠기가 큰 시료에서 전도성 원자간력현미경 운용 시 발생하는 왜곡 정보인 용량성 전류의 원인을 규명하고, 피어슨 상관 분석 방법을 기반으로 해당 왜곡 정보를 제거했다. 이 방법론을 실리콘/흑연 기반 복합 음극에 적용해 도전재 성분에 따른 전자 전도 채널 영상화를 실시했으며, 이를 통해 단일벽 탄소나노튜브(이하 SWNCT)가 적용된 전극의 전기적, 전기화학적 우수성을 입증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실리콘 기반 전극과 같이 활물질의 부피 변화가 큰 시스템에서는 기존의 점형 도전재 대비 선형의 구조적 장점을 갖고 있는 SWCNT가 안정적인 전자 전도 채널을 확보하는 데 유리함을 보였다. 또한 SWCNT가 포함된 복합 전극의 경우, 130 사이클 이후에도 활물질의 분쇄가 보다 억제됐음을 보여주며, 전자 전도 채널의 불균일성이 활물질의 구조적 안정성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가설을 들어 설명했다.
홍승범 교수는 “왜곡 신호의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제거하는 연구는 영상화 분야에서 매우 중요하다”며 “이번에 개발한 방법론이 전극 내 전자 전도 채널을 강화하는데 적용돼, 실리콘 기반 복합 음극의 고도화를 앞당기는 데 도움이 되면 좋겠다”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학술지 ‘에이씨에스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앤드 인터페이시스(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에 게재됐다.
nbgkoo@heraldcorp.com
Copyright © 헤럴드경제.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신생아 배 속에서 태아 8명 발견...'기생 태아' 충격
- [영상]쇼트트랙 박지원, 中선수 추월하며 '검지 흔들'
- 최성국, 24살 연하 연인과 결혼식 사진 공개…가수 임창정 축가
- “중국에 ‘몰빵’하더니 결국…” 새 아이폰 날벼락
- 조국 “목에 칼을 찬 채로 캄캄한 터널 묵묵히 걷겠다”
- 박진영 “아버지 치매 말기, 내 얼굴도 못 알아봐서 괴롭다”
- “킥보드 안 타고 걸으면 3천원 준다!” 짠테크 새 용돈벌이 뭐길래?
- [리얼푸드] 티비보며 밥먹지 말아야 하는 이유
- “외국인 모델인 줄 알았는데, 이럴 수가” 패션잡지 꿰찬 ‘그녀들’
- [영상] 기적의 아기…출생 직후 ‘몸무게 2배’ 종양 제거 수술 성공 [나우,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