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30 세대] 이란은 과연 사우디아라비아를 공격할까/임명묵 작가

2022. 11. 8. 05:03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 1일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에서 이란이 사우디아라비아를 공격할 계획이 있다는 첩보를 전하자 세계가 술렁였다.

이란이 격화되는 시위를 억누르기 위해 사우디와의 갈등을 이용할 것이라는 추론이었다.

첫째, 이란 정권이 시위로 큰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하더라도 사우디에 공격을 개시하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다.

그러니 섣부른 공격은 사우디와 미국을 오히려 결속시키는 자승자박이 됐을 것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임명묵 작가

지난 1일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에서 이란이 사우디아라비아를 공격할 계획이 있다는 첩보를 전하자 세계가 술렁였다. 이란이 격화되는 시위를 억누르기 위해 사우디와의 갈등을 이용할 것이라는 추론이었다. 이 소식은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초래된 불안정이 더 악화될 거라는 징조였으므로 사람들을 긴장으로 몰아넣었다. 하지만 바로 다음날 이란 외무부 대변인이 그런 공격 계획이 전혀 없다고 해명해 ‘일단은’ 해프닝으로 끝났다.

사실 첩보 자체가 갑작스럽다는 분석을 찾기는 어렵지 않다. 첫째, 이란 정권이 시위로 큰 도전에 직면하고 있다 하더라도 사우디에 공격을 개시하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다. 일단 군과 혁명수비대가 미동도 보이지 않는 상황에서 이란 정부가 시위에 존재론적 위협을 느낄 것이라고 보기도 어렵다. 게다가 시위는 제재로 계속되는 경제난과 신정 체제의 보수적 문화 통제를 문제 삼고 있기에, 외적과의 대치를 통한 결속의 외침으로 해소할 수 있는 것도 아니다. 오히려 정권이 현재 당면한 문제를 악화시켜 위기를 더 키우기나 할 수 있다.

둘째 이유는 이란과 사우디를 둘러싼 중동 지역 정세가 최근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급변했다는 데 있다. 이란과 사우디는 본래 종파 갈등, 왕정 대 신정이라는 체제 갈등으로 중동에서 일종의 냉전을 벌이는 앙숙이었다. 이는 이란이 핵협상을 통해 서방에 다가가려는 노력이 좌절되고 트럼프 행정부가 핵심 파트너로 사우디와 협력하며 더 격화되는 모양새였다.

그런데 우크라이나 전쟁으로 사우디의 태도가 바뀌었다. 바이든 행정부는 언론인 카슈끄지 살해 문제로 무함마드 빈 살만 왕세자를 압박했고, 이는 미국과 사우디 관계를 순식간에 냉각시켰다. 그런 와중에 서방의 대러시아 경제 제재가 촉발시킨 에너지 공급 위기는 사우디의 몸값을 엄청나게 올려놓았다. 사우디는 물가를 잡기 위해 자신들과 협력해야만 하는 미국이 왜 갑자기 인권 문제로 트집을 잡는지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며 반격했다. 사우디는 OPEC의 감산 결정을 주도했고 남아공을 통해 브릭스 가입 희망 의사를 흘렸다.

물론 사우디가 반미 진영으로 급선회했다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사우디가 미국의 충실한 파트너 지위에 만족하지 않는다는 것도 분명해졌다. 두 국가의 관계 악화는 이란 입장에서는 호재일 수밖에 없다. 그러니 섣부른 공격은 사우디와 미국을 오히려 결속시키는 자승자박이 됐을 것이다.

러시아의 침공은 느슨해 있던 서구에 경각심을 일깨웠다. 하지만 중동에서는 전통적 세력 구도가 요동치면서 새로운 불안정이 나타나고 있다. 터키, UAE, 이집트도 술렁이고 있다. 이 지역의 급변이 에너지 지정학과 세계 질서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지켜볼 필요가 있다.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