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매립지 사용종료에 지자체들 소각로로 '각자도생'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비한 대체매립지 확보가 늦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자체들이 생활폐기물 자체 소화를 위해 소각시설 확충 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인천 서구에 위치한 수도권매립지에 매립된 폐기물은 약 1억4443만t으로, 인천시는 3-1매립장 사용 전제조건이 대체매립지 확보였던 만큼 대체매립지 확보 지연과 상관없이 예정대로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종료할 것으로 알려졌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기사내용 요약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 대비해 지자체마다 소각시설 확충 활발
생활쓰레기 하루 발생량 감당 가능한 수준까지 소각용량 확보
[남양주=뉴시스]이호진 기자 = 2025년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에 대비한 대체매립지 확보가 늦어지고 있는 가운데 지자체들이 생활폐기물 자체 소화를 위해 소각시설 확충 쪽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7일 해당 지자체 등에 따르면 인천시는 2018년 9월부터 사용하고 있는 수도권매립지 3-1매립장이 포화 상태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2025년 8월에 맞춰 수도권매립지 사용 종료를 선언할 예정이다.
인천 서구에 위치한 수도권매립지에 매립된 폐기물은 약 1억4443만t으로, 인천시는 3-1매립장 사용 전제조건이 대체매립지 확보였던 만큼 대체매립지 확보 지연과 상관없이 예정대로 수도권매립지 사용을 종료할 것으로 알려졌다.
쓰레기 매립장이 워낙 님비시설인 탓에 당장 대체매립지 확보가 어렵고, 갈등 당사자인 인천시와 서울시, 경기도의 협의마저 지지부진하자 각 기초지자체들은 일찌감치 자체적인 대안을 마련해 추진 중이다.
먼저 3기 왕숙신도시가 건설되면 인구 100만을 눈앞에 두게 되는 남양주시는 2026년까지 이패적환장 일대 부지에 하루 250t의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는 소각로를 갖춘 자원순환종합단지를 건설할 예정이다.
현재 남양주시의 하루 생활폐기물 발생량은 350t 내외로, 자원순환종합단지가 건설되면 현장에서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을 선별하고 나머지 소각 가능 폐기물은 그대로 소각 처리하게 된다.
남양주시의 경우 협약에 따라 구리시의 자원회수시설에서도 일부 폐기물을 소각 처리할 수 있고, 별내클린센터에서도 하루 52t의 쓰레기를 소각할 수 있어 향후 자원순환종합단지만 정상 가동되면 생활폐기물 처리에는 큰 부담이 없을 전망이다.
구리시는 자원회수시설(구리타워) 내 소각로를 증설하고 음식물쓰레기 처리시설을 설치하는 내용의 에코커뮤니티 민간투자사업을 지난해 본격화했으나, 민선 8기 들어 과다한 음식물 처리시설 비용부담 등을 감안해 노후화로 처리용량이 줄어든 소각로를 대수선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구리시의 하루 생활쓰레기 발생량 90t 중 소각처리되는 쓰레기는 약 70t 정도여서, 현재 200t에서 120t까지 처리용량이 줄어든 자원회수시설 소각로만 수선하면 생활쓰레기 처리에는 문제가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하남시는 지난해 갑작스런 생활쓰레기 배출 증가로 할당된 수도권매립지 반입량을 수차례 초과하는 등 쓰레기 처리에 어려움을 겪은 만큼 쓰레기 문제가 심각한 곳이다.
민간위탁처리를 최소화하고 공공시설 위주로 쓰레기를 처리하려다 발생한 일인데 다행히 올해는 민간 처리물량을 늘려 지난해와 같은 사태는 발생하지 않고 있다.
현재 하남시의 하루 생활쓰레기 발생량은 약 100t으로, 이 중 30% 정도가 하루 48t의 생활쓰레기를 소각할 수 있는 자체 소각로(하남유니온타워)로 보내져 소각된다.
재활용을 제외한 나머지 폐기물는 수도권 매립지나 사용 협약을 맺은 이천 광역소각장으로 보내진다.
하남시는 현재 추진되고 있는 이천 광역소각장 증설사업에 참여해 할당된 소각 용량을 늘리고, 향후 광주(경기) 광역소각장 건설 사업에도 참여해 약 140t의 추가 소각 용량을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자체 소각시설이 없이 매립장만 운영 중인 가평군도 하루 70t을 소각할 수 있는 생활폐기물 소각장 건설을 2027년 준공을 목표로 추진 중이어서 사업이 완료되면 생활폐기물 자체 처리가 가능해진다.
하남시 관계자는 “예정대로 사업이 진행될 경우 3기 신도시 조성에 따른 유입인구도 감당할 수 있을 정도로 충분한 소각용량을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며 “수도권매립지 사용종료 시기와 광역소각장 조성 사이 공백기는 민간업체 위탁처리를 활용하면 큰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asake@newsis.com
Copyright © 뉴시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여, 윤 대통령-명태균 녹취에 "당선인 신분, 선거법 문제 없어"
- 명태균, 민주 녹취 공개에 "증거 다 불 질러버릴 것"
- '40인분 노쇼 논란' 정선군청 "위탁사 실수로 누락…피해업주와 합의"
- '소녀상 입맞춤' 美 유튜버, 편의점 업무방해 혐의로 출국정지(종합)
- 골목길 여성 뒤쫓아간 男…시민이 구했다 "초등생 딸 생각나"(영상)
- 검찰, '김정숙 여사 한글 재킷' 확보…동일성 여부 확인 방침
- "지나가려면 통행료 내" 빨간끈으로 길 막은 中여성, 결국
- 7세 남아 실종…경찰 300명 투입에도 행방 묘연
- 공군 대령이 부하 여군 '강간미수'…공군 "2차 가해 조사해 처벌"(종합)
- 성범죄 변호사 "최민환 녹취록 충격적…유흥에 굉장히 익숙해보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