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칼럼]지역 방송사업자의 역할 변화 필요성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우리나라의 공간 불균형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살펴보면 극명하다.
면적이 약 8배 차이가 남에도 지역의 경제 수준을 알 수 있는 지역총생산은 수도권이 52.6%, 비수도권이 47.4%를 차지한다.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이 국내 시장에 진입해서 경쟁하고 있어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 방송사업자에 경쟁 압력을 높이고 있다.
예컨대 지역 케이블TV 사업자는 열악한 경영환경에도 지속 가능한 생존을 위해 지역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투자와 혁신의 의지가 높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공간 불균형은 수도권과 비수도권을 살펴보면 극명하다. 면적은 수도권이 11.8%, 비수도권이 88.2%를 차지한다. 면적이 약 8배 차이가 남에도 지역의 경제 수준을 알 수 있는 지역총생산은 수도권이 52.6%, 비수도권이 47.4%를 차지한다. 취업자 수도 수도권이 50.5%, 비수도권이 49.5%로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인구도 마찬가지다. 우리나라의 경제와 인구구조는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 지방 소멸, 농촌 공동화 문제도 심각하다. 17개 이상 지역에서는 신생아가 연간 한 명도 태어나지 않는다고 한다. 이는 지역 문화나 경제구조 다양성이 부족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이는 방송 시장에서도 동일한 문제가 되고 있다.
지방이 소멸하면 결국 지역을 중심으로 하는 케이블TV나 지역 민방사업자는 타격을 받을 수밖에 없다. 이제 변화를 준비할 때다.
지역방송 사업자 정책 환경을 살펴보면 역대 정부의 지역 균형발전 지원 의지에 기초한다. 모든 정부가 지역 경제와 문화를 살려야 한다는 정책을 시행해 왔으나 특별한 성과를 보여 주지 못한 것은 아쉬운 점이다. 유료방송 산업 관련 규제 완화 기조가 있다. 글로벌 미디어 플랫폼 사업자 진출에 맞춰 다소간의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정책 기조가 바뀌고 있다. 미래 혁신 산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 확대 의지도 있다.
사회적 환경을 살펴보면 지역 간 디지털 격차 심화에 대한 우려가 나오고 있다. 누적된 디지털 격차는 국가경쟁력에도 막대한 손실을 미칠 수밖에 없다.
경제 환경에서는 이동통신사를 중심으로 하는 방송·통신시장 구조 변화가 있다. 이에 더해 코로나19 팬데믹 회복과 더불어 미디어 시간을 대체하는 외부 활동 확대는 미디어 이용 수요를 줄이는 위협이 된다. 글로벌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등이 국내 시장에 진입해서 경쟁하고 있어 가뜩이나 어려운 지역 방송사업자에 경쟁 압력을 높이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경제가 회복될 것으로 기대했으나 빅스텝·자이언트스탭으로 대표되는 금리 인상, 소비 심리 감소로 인한 더딘 경기회복과 투자 의지 위축은 많은 우려를 자아낸다.
기술 환경에서는 4차 산업혁명 시대로 가는 중대한 갈림길에서 기술 변화로 지역미디어 패러다임 변화가 가속화하고 있다. 인공지능(AI)과 산업 자동화 기술을 활용한 지역 내 특화 유무선 통신인프라 수요가 점차 증가한다.
정리하면 지역 방송이나 미디어가 지역 산업 발전에 미친 기여도가 다소 부족했고, 미디어 환경도 점차 어려워진다. 이에 대응하기 위한 혁신 전환의 전략이 요구되고 있다. 지역 중심으로 시행되는 다양한 혁신산업에 대한 대응도 필요하다. 이를 위해 부족한 지역 방송·통신 인프라의 고도화가 필요한 상황이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가장 중요한 것은 지역 미디어 산업 발전을 위한 민·관 협력 모델 형성이다. 정부는 우선 지역미디어 인프라 고도화를 위한 지역 중심 정책 지원을 펼쳐야 하고, 지역미디어 이해관계자는 스스로 투자하는 모델 마련이 필요하다.
예컨대 지역 케이블TV 사업자는 열악한 경영환경에도 지속 가능한 생존을 위해 지역미디어 서비스에 대한 투자와 혁신의 의지가 높다. 지역에서 콘텐츠-플랫폼-네트워크 사업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유일한 사업자임에도 지역 민·관 협력사업은 부재한 편이다. 지역사회 경제·문화 활성화를 위한 파트너로서 케이블TV에 적극적인 관심과 투자가 요구된다.
지역 주도 경제 활성화 사업 지원을 위한 지역형 미디어 경제 육성 모델 개발이 최우선시돼야 한다. 지역 맞춤형 및 타 산업과의 연계를 위한 지역경제 미디어 허브라는 관점에서 지역 사업자의 인식 변화와 투자 확대도 요구된다.
김용희 동국대 영상대학원 교수 yhkim81@dgu.ac.kr
Copyright © 전자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포토마스크 없다”…반도체 초비상
- 유영상 SKT 대표 "AI 컴퍼니 진화…2026년 기업가치 40조원 달성"
- LGD, 애플 '아이폰14 프로'에 OLED 공급
- SK케미칼, 친환경 소재에 1조 투자...2030년 매출 2조6000억 목표
- 씨엘, MOD '모블' 앞세워 친환경 모빌리티 기업 도약
- 자율차 시범지구 늘려놓고 신규 예산 '0'
- 尹 지하철·공연장 등 맞춤형 안전관리체계...“신속보고체계 없이 안돼”
- [이태원 참사] 與野, 정부 대응 놓고 행안부·경찰청 질타
- [단독]현대차 수출 효자 '코나'…이달 말 2세대 양산 돌입
- [이스라엘 테크 허브를 가다]현대카드, 이스라엘에 한국 디지털 입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