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cept the cold reality and tighten your belt (KOR)

2022. 11. 7. 09:1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렸다.

연준이 이렇게 큰 폭으로 4차례 연속 금리를 올린 건 처음이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최근 15년간 최고 수준인 3.75∼4.00%로 올랐다.

당장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최대 1%포인트까지 벌어졌으니 외자유출 가능성과 외환시장 불안에 대비해 금리를 올리는 건 불가피하다.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Unlike past financial crisis, policy collaboration among governments and central banks around the world cannot be expected. Economic participants must brace up for a lengthy painful ride.

The U.S. fed funds rate has reached 15-year highs of 3.75 percent to 4 percent after the Federal Reserve last week delivered the fourth straight hike in an unprecedented yet widely anticipated move.

U.S. inflation has been flying despite the steepest tightening campaign since the 1980s. The inflation rate jumped 8.2 percent on year in September, largely from supply disruptions from the protracted Russia-Ukraine war rather than from strong demand. Even counting out volatile energy and food prices, consumer prices soared 6.6 percent, the steepest in 40 years.

Fed Chair Jerome Powell said it was “very premature to be thinking about pausing” rate increases as he feared “if we don’t get inflation under control [...] we’re in a situation where inflation is now entrenched, and the unemployment costs, in particular, will be much higher potentially.” Although the U.S. central bank could begin slowing down the pace, Powell stressed that when the moderation will take place is less important than how high the bank will ultimately raise the interest rate to tame inflation.

The extended tightening in the U.S. makes the Bank of Korea agonize over its rates hikes on Nov. 24. It would have to raise the Korean base rate to prevent the flight of foreign capital and instability in the foreign exchange market, as the gap with the U.S. target range has widened to 1 percentage point. The question would be how high it can afford to push up the rate. Korea’s inflation gained 5.7 percent from a year ago in October due to a spike in public utility charges. The headline inflation is expected to run above annual gain of 5 percent until March next year. Given the inflation chart and gap with U.S. rates, the Korean rate would have to rise further.

But the economic slowdown could worsen. The industrial data in September showed triple contractions in output, consumption and capital investment.

The rapid increases in the U.S. rate have only fueled strength in the dollar value against currencies of other countries. The U.S. is not minding woes of other countries due to the super-strong dollar. Since the Fed simply has liability only toward American people, it will pursue its rate policy entirely based on national interests.

Unlike past financial crisis, policy collaboration among governments and central banks around the world cannot be expected. Economic participants must brace up for a lengthy painful ride.

고금리 장기화 우려, 경제도 안전 챙기자

미, 금리 인상속도는 줄이되 더 높이 오래 갈 듯한국은 경기 침체에 흥국생명발 외화채 파동까지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예상대로 기준금리를 0.75%포인트 올렸다. 연준이 이렇게 큰 폭으로 4차례 연속 금리를 올린 건 처음이다. 이에 따라 미국 기준금리는 최근 15년간 최고 수준인 3.75∼4.00%로 올랐다.

연준이 빠르게 금리를 올려왔지만 물가는 여전히 고공행진이다. 수요가 많아서 물가가 오르는 게 아니라 우크라이나 전쟁 등 공급충격에 따른 고물가 영향이 큰 탓이다. 지난달 발표된 9월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8.2% 올랐다. 특히 변동성이 큰 에너지·식품을 빼도 40년 만의 최대폭인 6.6% 올랐다. 인플레이션이 이미 경제 안에 똬리를 틀고 내재화한 것이다.

제롬 파월 연준의장은 속도조절 가능성을 얘기하면서도 최종금리 수준은 예상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못 박았다. 그는 “인상속도를 조절하는 것보다 금리가 얼마나 높이 오르고, 얼마나 오래 유지되는지가 중요하다”고 말했다. 금리 인상폭은 줄겠지만 결과적으로 더 높이, 더 오래 금리가 올라간다는 의미다. 통화긴축 흐름이 중단되는 ‘피벗’ 가능성에 기대를 걸었던 시장에 ‘김칫국 마시지 말라’는 매파적 메시지를 던진 셈이다. 미국증시가 큰 폭으로 떨어진 이유다.

이달 24일 기준금리를 결정해야 하는 한국은행 고민이 깊어졌다. 당장 미국과의 금리 격차가 최대 1%포인트까지 벌어졌으니 외자유출 가능성과 외환시장 불안에 대비해 금리를 올리는 건 불가피하다. 얼마나 올리느냐의 문제만 남았다. 10월 소비자물가는 공공요금이 많이 오르며 1년 전보다 5.7% 올랐다. 내년 1분기까지 5%대 물가가 이어질 것으로 한은이 전망하는 만큼 물가와 내외금리 차만 보면 금리를 큰 폭으로 올려야 한다. 하지만 실물 경제침체가 본격화한다. 9월 산업활동에서 생산과 소비, 설비투자 모두 감소하는 트리플 감소를 기록했다. 레고랜드 사태로 얼어붙은 채권시장엔 악재가 추가됐다. 흥국생명이 외화표시 채권을 조기 상환하지 않으면서 국내 기업의 외자조달 분위기가 나빠졌다.

미국의 급격한 금리인상은 글로벌 강달러를 불렀고 세계 각국은 자국 통화가치 하락으로 몸살을 앓는다. 미국은 세계 최강의 기축통화국이라는 위상과 책임에도 강달러로 인한 다른 나라의 고통까지 세심하게 고려하지 않는다. 연준이 미 의회와 국민에게만 설명 책임이 있으니 자국우선의 통화정책이라는 ‘마이웨이’만을 고수하는 것이다.

금융위기 때와 같은 국가간 정책공조는 쉽지 않다. 금리인상과 고금리 추세가 한동안 계속될 것이라는 냉엄한 현실을 인정하고 경제주체 모두 안전벨트를 단단히 매야 한다. 이태원 참사를 계기로 안전관리의 중요성이 다시 부각됐다. 지금은 경제 역시 안전을 우선적으로 챙겨야 하는 위태로운 시기다.

Copyright © 코리아중앙데일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