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홍수 겪은 파키스탄, COP27서 선진국에 '피해보상 요구' 선봉

최재서 2022. 11. 6. 21:3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올여름 대홍수로 큰 피해를 겪은 파키스탄이 6일(현지시간)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27)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보상을 요구하는 데 앞장선다.

5일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파키스탄은 COP27에서 100여 개 개발도상국을 대표해 선진국에 '손실과 피해'(loss and damage)에 대한 보상을 촉구할 예정이다.

그런데도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파키스탄을 비롯한 남아시아 국가에 돌아가고 있다고 WP는 지적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손실과 피해' 기금 조성 촉구 예정…"선진국 사이 변화 흐름도"
파키스탄 대홍수 [A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연합뉴스) 최재서 기자 = 올여름 대홍수로 큰 피해를 겪은 파키스탄이 6일(현지시간)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회의(COP27)에서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 보상을 요구하는 데 앞장선다.

5일 워싱턴포스트(WP) 등에 따르면 파키스탄은 COP27에서 100여 개 개발도상국을 대표해 선진국에 '손실과 피해'(loss and damage)에 대한 보상을 촉구할 예정이다.

유엔 기후변화협약(UNFCCC) 용어인 '손실과 피해'는 인간 활동으로 촉발된 지구 온난화로 인한 해수면 상승과 극단 기상 등 기후변화 악영향을 말한다. COP27에서 사상 최초로 정식 의제에 포함돼 논의될 예정이다.

개도국들은 그간 지속해서 기후 재난으로 피해를 본 국가들이 즉각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손실과 피해' 기금을 조성해야 한다고 주장해왔다.

무니르 아크람 주유엔 파키스탄 대사는 "지난 150년 간 산업화가 이뤄진 선진국들의 정책 영향으로 고통받아온 개도국 입장에서 이는 '기후 정의'의 문제"라며 "그러나 선진국들은 자신들의 정책이 이를 야기했다는 점을 받아들이거나 인정하기 꺼리고 있다"고 비판했다.

글로벌탄소프로젝트(GCP)에 따르면 전 세계 온실가스 배출량의 4분의 1가량을 미국이 차지한 반면 파키스탄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전체의 0.4%에 불과하다.

그런데도 기후변화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파키스탄을 비롯한 남아시아 국가에 돌아가고 있다고 WP는 지적했다.

파키스탄은 지난 6월 중순 시작된 몬순 우기 동안 예년보다 훨씬 강한 폭우로 국토의 3분의 1가량이 물에 잠기고 약 1천720명이 숨지는 등 큰 피해를 봤다.

다국적 기후 연구단체인 WWA에 따르면 파키스탄의 올해 폭우는 산업화 이전보다 50∼75% 심해진 수준으로 기후변화의 영향이 컸던 것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이에 대한 국제적 지원은 부족한 형국이다. 국제구호개발기구 옥스팜(Oxfam)은 지난 20년 동안 기상이변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한 인도적 원조 규모는 8배가량 증가했으나 실제 지원 규모는 이에 미치지 못했다고 밝혔다.

선진국들은 개도국 온실가스 감축과 기후변화 대응에 2020년까지 매년 1천억 달러(약 141조1천억 원)를 지원하겠고 약속했으나 지키지 못했다.

다만 최근 심각한 기상이변이 잦아지며 선진국들 사이에서도 변화의 기류가 포착되고 있다.

아크람 대사는 올여름 대홍수가 전형적인 기후 재난의 하나로 평가된 이후 "국제사회의 분위기에 변화의 흐름이 감지되고 있다"고 말했다.

일례로 지난 9월 덴마크는 유엔 총회 부대행사에 참석해 기후변화로 손실을 겪는 개도국에 1천300만 달러(약 183억 원) 이상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도 지난 3일 "더는 미룰 시간이 없다"며 선진국들이 더 적극적으로 자금 지원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다.

존 케리 미국 기후특사도 필요한 곳이 자금을 지원받는 시스템에 대해서는 "전적으로 찬성한다"고 밝혀 일각에서는 이를 손실과 피해 기금의 '변곡점'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acui721@yna.co.kr

▶제보는 카톡 okjebo

Copyright © 연합뉴스. 무단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