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밤 포격 소리에 깜짝 놀라"…접경지 주민 생계도 차질

조재근 기자 2022. 11. 5. 20:51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계속된 북한의 무력 도발에, 북한과 가까운 강원도 접경지 주민들은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이곳 주민들은 그젯(3일)밤 늦게 갑작스러운 포 소리에 깜짝 놀랐습니다.

[서춘자/마을주민 : 쿵쿵 하는 소리, 포 쏘는 소리 같은 것, 불안하더라고. 그래서 혹시나 이쪽으로 뭐가 날아오나 이런 생각도 들고 그랬었지.]

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접경지역 주민은 생계에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앵커>

계속된 북한의 무력 도발에, 북한과 가까운 강원도 접경지 주민들은 불안해하고 있습니다. 일상생활뿐 아니라 생계 유지까지 걱정은 쌓여만 가는데요.

조재근 기자가 강원도 민통선 지역을 다녀왔습니다.

<기자>

강원도 고성군 최북단 마을인 명파리. 이곳 주민들은 그젯(3일)밤 늦게 갑작스러운 포 소리에 깜짝 놀랐습니다.

직선 거리로 불과 30여km 떨어진 북강원도 금강군에서 발사한 북한의 포격 소리가 30분가량 들린 것입니다.

불안감에 집 밖으로 나오기도 했습니다.

[서춘자/마을주민 : 쿵쿵 하는 소리, 포 쏘는 소리 같은 것, 불안하더라고. 그래서 혹시나 이쪽으로 뭐가 날아오나 이런 생각도 들고 그랬었지.]

북한의 잇따른 도발에 접경지역 주민은 생계에 차질을 빚고 있습니다.

관광객이 급감하면서 식당 영업을 중단하는 날도 많아졌습니다.

[이경애/마을 주민 : 계속적으로 이렇게 반복되다 보면 우리 영업하는 사람은 우리뿐 아니라 여기 대진항 윗마을도 마찬가지로 타격은 똑같아요.]

주민의 대다수가 민통선 지역 안에서 농사를 짓고 있기 때문에 출입 통제가 반복되면 농작물 수확 시기를 놓칠 수도 있습니다.

[이종복/마을 이장 : 거의 한 90% 이상이 민통선 안에 농지가 있기 때문에 (출입이 제한되면) 농작물이 상하지 않을까 그런 걱정도 하고, 비 오면 수확기가 늦어져 버리니까.]

울릉도 공습경보 이후 사흘 만에 관광이 재개된 통일전망대. 관광객은 평소의 3분의 2 수준으로 줄었습니다.

눈앞에 펼쳐진 북녘 땅, 북한의 군사적 도발은 여전히 진행형입니다.

[신장철/관광객 : 안타깝죠. 우리가 잘 좀 우리 남북이 좀 잘 돼서 서로 과거같이 서로 왕래가 좀 오고 가고 했으면 좋겠습니다.]

접경지역 주민들은 하루빨리 군사적 긴장 상태가 해소돼 다시 예전처럼 평화로운 분위기 속에서 생업에 종사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허춘)

조재근 기자jkcho@sbs.co.kr

Copyright ©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