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1시간 만에 구조된 광부, 박정하씨… “이태원 유가족, 힘내시라”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지난달 26일 경북 봉화 광산 사고로 지하 갱도에 고립됐다 221시간만에 구조된 박정하씨(62)는 5일 아들 근형씨를 통해 '이태원 참사' 소식을 접한 뒤 "무슨 말을 건네야 할지 모르겠다. (유가족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박씨를 포함한 두 광부는 지난달 26일 발생한 경북 봉화군 아연 채굴 광산 매립 사고로 지하 190m 수직갱도에서 만 9일하고도 5시간 만에 고립됐다가 기적처럼 구조됐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사고 발생 10일째 안전모 전등 꺼지자 “포기하자”고 말해
소방당국 “신고 늦은 감 있지만 늑장신고 입증하기 쉽지 않아”
“시추 작업에 사용된 도면은 사실상 일제 시대에 만들어진 것”
지난달 26일 경북 봉화 광산 사고로 지하 갱도에 고립됐다 221시간만에 구조된 박정하씨(62)는 5일 아들 근형씨를 통해 ‘이태원 참사’ 소식을 접한 뒤 “무슨 말을 건네야 할지 모르겠다. (유가족께) 위로의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근형씨는 이날 “아버지께 ‘이태원에서 참사로 150명 넘게 사망했다’고 알려드리자 아버지께서 ‘무슨 소리냐. (유가족이) 정말 힘드시겠다. 부디 힘을 내셨으면 좋겠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근형씨는 박씨의 건강 상태를 묻는 질문에 “건강 상태는 지금 의사선생님께서도 말씀하신것처럼 12일 동안 못 드신 분 치고는 굉장히 좋은 상황”이라며 “커피믹스를 드신 것이 상당히 도움이 되셨다고 말씀하셨다”고 전했다.
박씨는 함께 작업했던 노동자 5명이 생존했다는 소식에 크게 기뻐했다고 한다. 사고가 난 지난달 26일 이 광산에서 작업하던 노동자는 4일 밤 구조된 2명을 포함해 모두 7명이었다. 지하 30m 지점에서 일하던 노동자 2명은 사고 당시 전기가 차단되자 이날 오후 스스로 광산을 탈출했다. 지하 90m 지점에 있던 노동자 3명은 펄에 휩쓸려 내려가 50m 아래에 있는 공간에서 업체 측이 구조했다.
근형씨는 “아버지가 화약 20여개를 발파해 탈출을 시도하기도 했다”면서 “자신들이 있다는 신호를 보내기 위해 발파한 것이라고 설명했다”고 전했다.
이어 “아버지가 동료와 함께 탈출구를 찾다가 공간이 넓은 지점에서 수작업으로 막혀있는 곳을 괭이로 파기도 했다”며 “괭이로 판 곳 안쪽을 들여다봤는데 추가 붕괴가 있는 것을 확인하고 구조를 기다렸다”고 말했다.
구조 직전의 상황에 대한 언급도 있었다. 근형씨는 “아버지가 10일째 됐을 무렵 (안전모 배터리가 닳아) 라이트가 꺼지면서 절망감을 느꼈다고 말씀하셨다”며 “그 당시 아버지가 동료 분에게 ‘힘들 것 같다. 포기해야 할 것 같다’는 말씀을 하셨다”고 전했다.
희망을 버리려는 순간 박씨는 “형님”이라고 부르는 소리를 들었다고 했다. 무너진 갱도 사이로 그를 구조하기 위해 나타난 동료가 보였고 박씨는 이들을 안고 한동안 눈물을 흘렸다고 했다.
박씨는 서면 인터뷰에서 일부 언론이 문제삼는 구조 지연 등에 대해선 “광산 매몰 이후 상황을 알지 못해 드릴 말씀이 없다”고 했고 업체 측 보상과 관련해선 “몸을 회복하는대로 업체 측과 논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박씨를 포함한 두 광부는 지난달 26일 발생한 경북 봉화군 아연 채굴 광산 매립 사고로 지하 190m 수직갱도에서 만 9일하고도 5시간 만에 고립됐다가 기적처럼 구조됐다.
한편 소방당국 관계자는 이날 ‘늑장 신고’ 의혹과 관련 “7명 중 2명은 자력으로 탈출했고 3명을 자체 작업으로 구조한 뒤 이번에 구조된 2명에 대한 구조를 시도하다 갱도가 막힌 걸 알고 119에 신고한 것”이라며 “사고 시점을 보면 신고가 늦은 감이 없진 않지만 늑장 신고에 대한 입증은 쉽지 않은 일”이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업체는 ‘늑장 신고’ 에 대해 책임을 지겠다는 입장을 경찰과 소방당국에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추 작업에 20년 전 도면이 활용됐다는 의혹에 대해 이 관계자는 광산업의 구조적인 문제를 지목했다. 그는 “사실상 도면은 일제강점기 당시 만들어진 것이고 이후 추가된 갱도를 보완 후 2003년 쯤 관계당국에 등록한 도면”이라며 “원도면 자체가 지금의 기술로 측량해 그린 도면이 아니어서 우리가 쓰는 네비게이션 처럼 업데이트를 할 수 없는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런 문제가 있기때문에 업계에선 광산에서 특정지점의 정확한 위치를 천공하는 건 ‘소 뒷발치다 쥐 잡는 것’이나 마찬가지로 본다”고 덧붙였다.
안동 김상현 기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