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포 성미산에 무슨 일이… 사람에게 산은 어디까지 양보해야 할까요?

윤지로 2022. 11. 5. 11:42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푸르른 녹음의 시간을 지나 울긋불긋 물든 나뭇잎이 바람에 파르르 떨며 깊어가는 가을을 알리는 3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성산동에 자리한 작은 산 성산(성미산)이 갑자기 소란스러워졌다.

마포구는 성산 삼단공원 자리에 복합커뮤니티센터를 짓고 산 아래쪽에 있는 체육관부터 삼단공원까지 지그재그로 데크를 놓는 무장애숲길사업을 추진 중이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푸르른 녹음의 시간을 지나 울긋불긋 물든 나뭇잎이 바람에 파르르 떨며 깊어가는 가을을 알리는 3일 오후. 서울 마포구 성산동에 자리한 작은 산 성산(성미산)이 갑자기 소란스러워졌다.

‘지금 그대로의 성미산 지켜주세요’, ‘성미산의 목소리를 들어라!!’, ‘선소통 후진행’

유모차를 밀고 나온 젊은 엄마부터 백발이 성성한 노인까지 폐종이상자로 만든 팻말을 들고 성미산 입구 앞 삼단공원으로 모여들었다.  

잠시 뒤 어린 아이들까지 ‘성미산은 사람들 것이 아니라 동물들 것이예요’, ‘우리가 놀고 동물들도 놀고 행복하게 살 권리가 있습니다’ 등등 손수 적은 구호를 외치며 공원으로 들어왔다.   

무엇이 주민들을 화나게 했을까.

“이게 험준한 산도 아니고 그냥 동네 조그마한 마을 뒷산이잖아요. 멀쩡한 데다 (나무 베고) 데크 깔 돈이 있으면 더 좋은데 쓰는 게 낫죠.”

성산은 해발 66m의 야트막한 산이다. 성산동에 사는 70대 주민 A(가명)씨는 굳이 이런 곳까지 시설물 공사를 해야 하는지 모르겠다며 머리를 저었다. 유모차를 밀고 온 B씨는 “흙을 밟고 울퉁불퉁한 길을 걸으며 산을 느끼는 게 중요한 것 같다”며 “정말 보행약자를 고려한 정책이라면 차라리 울룩불룩한 보도나 인도 없는 골목길부터 신경썼으면 좋겠다”고 했다.

마포구는 성산 삼단공원 자리에 복합커뮤니티센터를 짓고 산 아래쪽에 있는 체육관부터 삼단공원까지 지그재그로 데크를 놓는 무장애숲길사업을 추진 중이다. 지난 2월1일 착공했지만 주민 반대로 십 여일 만에 공사가 중단됐다. 구청 관계자는 “주민분들이 산을 훼손한다고 우려하는 데 이건 오해”라며 “여기 있는 커다란 아카시아 나무(아까시나무)는 이미 죽은데다 천근성이어서 넘어지기 쉽다. 주민 안전을 위해 이런 나무는 베고, 불필요한 샛길은 나무를 심어 막겠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데크는 휠체어 탄 장애인 등 보행약자를 위한 무장애길 개념”이라고 강조했다. 

아까시나무는 한 때 일제의 잔재로 여겨져 미움을 샀지만 탄소 흡수능력이 뛰어나고 꿀벌에게 꿀을 주는 밀원수여서 재평가받는 나무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지난해 아까시나무를 기후변화 대응 수종으로 집중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사진 오른편 체육관(빨간 원)부터 산 위쪽으로 지그재그로 데크가 놓일 예정이다. 
성미산은 10만㎡밖에 안 되는 작은 산이지만 곳곳을 ‘주민 편의’를 위해 내줘야 했다. 2014년 봄 성미산 체육관이 산자락에 문을 열었고 군데군데 운동기구가, 구석구석 보행로가 생겼다. 지난해 3월에도 굴착기가 나무를 벤 자리에 운동기구와 화장실, 2m 폭의 데크 계단이 놓였다.    
2010년(위)과 2020년 서울 마포구 성산(성미산)의 위성사진. 카카오맵
산이 필요한 건 사람만이 아니다. 천연기념물인 새매와 큰소쩍새, 솔부엉이를 포함해 박새, 쇠딱따구리, 홍여새, 멧새 등 다양한 새들의 보금자리다.

주민들은 의견수렴을 제대로 거치지 않고 구청이 막무가내로 밀어붙인다고 비판하고, 구청은 주민설명회도 하고 조례를 만들어 민·관·전문가가 참여하는 상생위원회의 법적 근거까지 마련했다고 반박한다. 주민들은 누구든 참여할 수 있는 열려 있는 소통을, 구청은 일정한 형식을 갖춘 자리를 원하는 탓이다. 상생위는 구청 관계자 2명, 조경·산림분야 전문가 5명, 새마을지도자협의회장, 통장협의회장 등 이해관계인 6명 그리고 지역주민대표 1명 등 총 14명으로 구성돼 있다.

‘소통’에 관한 문제제기가 계속되자 이날 현장을 찾은 박강수 구청장은 조만간 구청 회의실에서 주민과 대화하는 자리를 마련하기로 했다. 

도시형 마을공동체로 유명한 이 지역 성미산마을의 주민 김수련씨는 “이미 많은 개발로 몸살을 앓는 생태숲에서 등산로 정비를 이유로 수많은 나무를 벌목하게 되면 성미산은 여느 근린공원과 다를 바 없는 인간 편의 위주의 공원이 될 것”이라며 “마을숲을 지키고 싶은 주민과 진정한 소통이 이뤄지길 바란다”고 전했다. 

윤지로 기자 kornyap@segye.com

Copyright © 세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