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염에 이름 붙여 사람 목숨을 구하는 도시, 세비야 [별의별 유럽]
스페인 세비야: 폭염 명명(命名) 도시
편집자주
인류와 지구를 위해 새로운 시도를 하는 유럽의 마을과 도시를 탐험하는 기획을 신은별 베를린 특파원이 한 달에 한 편씩 연재합니다.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기 전에는/ 그는 다만/ 하나의 몸짓에 지나지 않았다. // 내가 그의 이름을 불러주었을 때/ 그는 나에게로 와서/ 꽃이 되었다.'
김춘수 시인의 시 '꽃'의 일부다. 이름을 붙였을 때 비로소 꽃이 인식의 대상이 되는 것처럼, 폭염에 이름을 붙여 폭염을 분별하고 연구하기로 한 도시가 있다. 온대 기후권에 속하는 스페인에서도 가장 더운 안달루시아주(州)의 세비야(Sevilla).
세비야가 세계 최초로 이런 시도를 한 이유는 뭘까. 한국일보는 유럽 대륙이 폭염으로 신음한 8월 세비야를 찾아 그 답을 들어봤다.
온도계 38도인데… "안 더운 날"이라는 세비야
지난 8월 16일(현지시간) 일기예보는 "비교적 온화한 날씨"라고 했다. 세비야에 도착한 기차에서 내리자마자 숨이 턱 막혔다. 온도계를 꺼내니 섭씨 38도(오후 4시 30분 기준)였다.
골목 곳곳에 자동 분무기가 설치돼 있었다. 분사되는 물은 그러나 열기를 잡기엔 역부족이었다. 건물과 건물 사이마다 걸려 있는 차양도 뜨거운 햇빛을 막아주지 못했다. 너무 더워 카페로 피신했더니 주인은 말했다. "운이 좋네요. 안 더울 때 잘 왔어요."
이런 풍경은 세비야의 일상이다. 여름에 40도를 넘는 날이 흔하다. 올해는 특히 더웠다. 6월부터 40도를 넘겼고, 7, 8월엔 수시로 45도를 찍었다. 스페인 기상청 에멧(AEMET)은 올해 7월 세비야를 이렇게 표현했다. "31일 중 18일 동안 최고기온이 40도 이상이었다. '역사적 기록'이다."
스페인 정부는 1971년부터 2000년까지의 데이터를 바탕으로 폭염을 이렇게 정의했다. 평년보다 높은 기온이 최소 3일 이상 지속되는 상태. 세비야는 폭염을 자주 겪는다. 올해는 비가 거의 오지 않아 더 힘든 여름이었다.
폭염은 '침묵의 살인자'라고 불린다. 인지하지 못하는 사이에 생명을 앗아간다. 스페인 카를로스 3세 연구소는 올해 7, 8월 폭염으로 인한 스페인 사망자가 3,833명이라고 추산했다. 유럽의 인간 사망 관련 모니터링 기관인 유로모모는 스페인에서 5,829명이 더위로 숨졌다고 잠정 집계했다. 기자가 취재 중일 때도 환경미화원이 길에서 사망했다는 보도가 나왔다.
더위가 익숙해진 세비야는 이름을 짓기로 했다
세비야 시민들은 "더위에 익숙하기 때문에 더위를 견디는 방법도 잘 안다"고 자신했다. 침묵의 살인자를 시민들은 별로 두려워하지 않았다. 거리에서 만난 세비야 시민 20명에게 물었더니 18명이 "폭염이 온다고 특별히 대비하거나 주의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관광객용 마차를 모는 로메르(49)는 "말에겐 물을 더 주지만, 내가 물을 더 마시진 않는다"고 했다. 오후 3시 펄펄 끓는 길에서 물건을 판매 중이던 이사벨(42)은 "특별히 뭘 해야 하죠?"라고 반문했다.
그래서 세비야시는 '특별히 위험한 폭염'엔 '특별 경고'가 필요하다고 봤다. 폭염에 이름 붙이기를 고안한 이유다. 시는 지난해 10월 이런 구상을 공개하며 "앞으로 폭염은 더 심각하게, 자주 나타날 것이다. 폭염에 이름을 부여함으로써 우리는 수천 명을 구할 것이다"라고 확언했다.
프로젝트엔 세비야시와 스페인 기상청, 대학, 연구소뿐 아니라 미국 싱크탱크 대서양위원회 기후복원센터 등 8개 기관이 참여했다. 명명 시스템 설계는 기후복원센터가 맡고, 정보 수집과 운영은 스페인 기관들이 담당했다. 프로젝트는 올해 처음 가동됐다. 이름을 붙인 첫 폭염 경보가 발령된 건 7월 25일이었다. 이름은 조이(Zoe). 이날 온도는 거의 45도였다.
이름 붙이는 원리는 태풍과 비슷하다. 미리 '조이', '야고', '세니아', '쉔세슬라오', '베가' 등의 순으로 정해두고 위험한 폭염이 올 때마다 이름을 붙여 경고를 발령한다. 다행히 올해는 '조이'만 사용하고 끝났다. 호세 마리아 마틴 올라라 세비야대 물리학 교수와 기후복원센터의 캐시 바우만 맥레오드·커트 식만 이사, 세비야시 관계자와의 인터뷰를 통해 명명 시스템의 작동 원리를 자세히 들어봤다.
Q. '세계 최초'라는 타이틀은 '쉽지 않은 길'이라는 뜻이기도 합니다. 왜 세비야는 이런 도전을 시작했나요?
맥레오드=세비야는 유럽에서 가장 더운 도시입니다. 내륙이라 더 덥죠. 주민 건강에 날씨가 미치는 영향이 그만큼 큽니다. 관광 도시이기 때문에 관광객들이 갑작스럽게 맞닥뜨릴 폭염도 고려해야 하고요. 더위를 막을 수 없다면 안전을 지킬 솔루션이 필요했어요. 가장 직관적인 방법이 폭염에 이름을 붙이는 것이었죠.
Q. 태풍에 이름을 붙이는 것과 비교해서 설명한다면요?
올라라=미리 이름을 정해둔다, 그리고 폭염이 온다는 걸 미리 알려준다는 것을 제외하면 태풍보다 훨씬 까다로운 절차를 거쳐야 하죠. 태풍은 '태풍의 눈'이 있어요. 눈에 보이니까 경로∙강도 예측이 비교적 쉽고, 오래전 예측이 가능하죠. 폭염은 안 보여요. 오래전 예측하는 게 어렵거니와, 고려할 요인도 너무 많아요. 현재로서는 3~5일 후 정도만 예측이 가능합니다. 너무 미리 경보를 내리면 정확도가 현저히 떨어지니까 의미가 없고, 그렇다고 너무 뒤늦게 내려서도 안 되죠.
Q. 폭염에 이름을 붙일 때 어떤 정보를 고려하나요?
올라라=온도, 습도, 지속 기간, 태양의 높이 등 다양한 기후 정보를 살핍니다. 그리고 과거 정보와 비교해서 당시 주민 건강 정보를 대입해 위험 정도를 판별합니다. 위험도는 3단계로 나눠요. '아주 높은 위험'을 뜻하는 3단계에 해당하는 폭염이 올 것 같으면 이름을 붙여 경고를 내보냅니다. 이때 전 세계적 기후 흐름도 같이 살펴야 하므로 사실 쉽지 않은 과정이에요.
Q. 폭염 경보 시스템이 있잖아요. 작동 방식이 어떻게 다른 거죠?
맥레오드=기성 시스템은 '기후 정보'만 담고 있어요. 예를 들면 "내일은 45도로 예상됩니다"에서 끝나죠. 새 시스템은 기후∙건강 정보를 '함께' 전달해요. 예를 들면 "내일은 45도로 예상됩니다. 과거 기록을 보니 사망 위험이 높은 날이네요" 같은 식이죠. 건강 정보를 담고 있다는 건 아주 중요한 차이에요. 사람들이 '뭘 해야 하는지'를 같이 말해줄 수 있기 때문이죠. "노인, 임산부 등은 반드시 실내에 머물러 주세요"라고 추가 경고를 띄우는 게 가능한 겁니다.
올라라='폭염'이라는 단어는 매우 주관적으로 사용됩니다. '덥다' 또는 '아주 덥다'와 같은 방식으로요. 애매한 표현을 사용하면, 이게 얼마나 위험한지 와 닿지 않아요. 보다 분명하고 구체적으로 폭염을 전달할 필요가 있어요. 이름을 붙인다는 건, 이를테면 '얼굴'을 붙여 폭염의 실체를 드러내는 것이죠.
세비야시는 조이가 발령됐을 때 주민센터를 폭염대피소로 사용했다. 주민센터 관계자는 "폭염 취약층인 노인∙아이∙환자∙노숙인 등을 머물도록 했다"고 말했다. "갈증이 느껴질 때까지 기다렸다 물을 마시면 늦으니 미리 마시라", "설탕∙카페인∙알코올은 탈수를 유발하니 자제하라" 등 구체적 지침도 냈다.
"죽는 사람 숫자만 세고 말 건가?" 세비야의 '질문'
파일럿으로 도입된 프로젝트는 지난달 1일 일단 종료됐다. 프로젝트 성과 측정 결과는 내년 중순쯤 나온다. 식만 이사는 "경보가 제때 발령됐는지와 같은 시스템 정확도, 폭염 이름을 인지한 주민군과 그렇지 않은 주민군의 행동 차이, 폭염 관련 사망∙질병 발생률의 변화 등을 종합적으로 살피고 있다"고 했다. 그는 "몇 차례 더 실행한 뒤 결과물이 쌓이면 지속 여부를 결정한다"고 했다.
기후복원센터는 미국 로스앤젤레스, 그리스 아테네 등 더운 도시에서 시범 시행해 볼 방침이다. 맥레오드 이사는 "틀만 갖춰지면 지역별 특성에 맞게 적용하는 건 어렵지 않다"고 말했다.
아직은 갈 길이 멀다. 노력 대비 효과가 떨어진다는 지적이 있다. "괜히 이름을 붙여 사람들을 혼란스럽게 만든다"는 의견도 있다. 유엔 산하 세계기상기구(WMO)도 공개적으로 반대했다. "세비야 주민 훌리야(53)는 "폭염이 심할 땐 이름을 붙이고, 안 그럴 땐 이름을 안 붙인다면, 이름이 없는 날엔 '안전한 날'이라고 착각할 수 있지 않나"라고 했다.
"그럼에도 필요하다"는 게 폭염 명명 시스템을 만든 팀의 주장이다. 다른 의도가 아닌, '생명 보호'가 궁극적 목적이라서다. 특히 폭염 취약 계층을 위험에서 구할 정책을 적시에 펼 수 있다. 맥레오드 이사는 "폭염으로 쓰러진 사람들은 다들 '제가 쓰러질 줄은 몰랐어요', '어느 순간 갑자기 쓰러졌어요'라고 말한다"며 "위험에 빠지는 사람이 많다는 걸 알면서도 손 놓고 있는 것보단, 작은 가능성이 있는 일이라도 시도해보는 게 무조건 낫다"고 말했다. 이들은 이 프로젝트를 '기상예보'가 아닌 '복지정책'으로 여겼다.
세비야와 비하면 한국의 여름은 비교적 온화하다. 그럼에도 한국이 고려해봄직하다는 게 프로젝트를 이끄는 이들의 말이다.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폭염이 심해질 것이기 때문이다. WMO는 지난달 28일 "유럽과 북아프리카 등 많은 지역이 10월 하순이라는 점을 믿기 어려울 정도로 이례적인 더위를 경험하고 있다"고 했다. 스페인 일부 지역은 10월 말에도 30도를 기록했다. 지난해 이탈리아 시칠리아의 시라쿠사 인근 지역은 유럽의 최고기온인 48.8도에 달했다.
올라라 교수는 "기후위기는 늘 우리 예상 밖에 있다"고 경고했다. 꼭 폭염이 아니더라도, 기후와 건강 정보를 보다 유기적으로 결합해 국민 안전을 '적극적으로' 지킬 방법을 찾는 건 정부의 필수 과제라는 게 이들의 메시지다. WMO는 지난해 기후이상의 직접 영향권에 있던 유럽 인구가 51만 명이고, 경제적 피해가 500억 달러(약 71조500억 원)에 달한다고 2일 밝혔다. 폭염에 이름을 붙이는 건, 우리 목숨을 위한 노력이라는 얘기다.
세비야 신은별 특파원 ebshin@hankookilbo.com
Copyright © 한국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봉화 매몰 광부들, 221시간 만에 기적의 생환
- 소방청, 이태원 참사 발생 뒤 경찰에 15차례 지원 요청
- 아이돌 출신 20대 남성, 마약 투약 혐의로 자택서 체포
- 김새론 측 "생활고로 카페 아르바이트, 현재 그만둔 상황"
- 윤 대통령 “대통령으로서 비통하고 죄송” 첫 공개 사과
- 유튜버 '천공스승', 이태원 참사에 "엄청난 기회" 막말
- "쌍둥이 엄마 이영애입니다" '딸 운구비 막막' 아버지에 편지
- '尹 지키려 경찰 700명' 남영희가 공유한 영상은 바이든 차
- 도 넘은 SPC, 근로감독관 가방 뒤져 계획서 촬영 후 공유
- 시민이 조화 기부... 정부 지원 없는 이태원역 추모공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