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춘추칼럼] 슬픔(哀)이 상처(傷)로 남지 않기를

박재희 석천학당 원장 2022. 11. 4. 07:00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애상(哀傷)
박재희 석천학당 원장

하늘은 인간에게 일곱 가지 다양한 감정을 주었다. 기쁨, 분노, 슬픔, 공포, 사랑, 증오, 욕망이다. 이런 인간이 겪어야 하는 다양한 감정을 '희노애구애오욕(喜怒哀懼愛惡欲)', 칠정(七情)이라고 한다. 칠정은 인간의 네 가지 본성 사단(四端)과 함께 인간의 마음을 구성하는 기본 골격이다. 문제는 일곱 가지 감정들은 하루에도 몇 번씩 인간의 마음을 교대로 흔들어댄다는 것이다. 어느 순간 기쁨에 들떠 춤추며 놀다가도 화내며 슬픔에 젖어 비탄에 젖기도 한다. 공포와 두려움에 떨다가도 사랑과 연민에 어느덧 언제 공포가 있었냐는 듯 잊어버리기도 한다. 인간은 왜 이렇게 다양한 감정의 기복으로 일상을 맞이해야 하는가? 이런 감정에서 벗어나 평정심을 유지하며 평온한 삶을 살 수는 없는 것일까? 감정의 조절과 평정은 성찰의 중요한 주제이며, 죽을 때까지 나의 인생 전반에 걸쳐 던져야 하는 질문이다.

<중용>에서 감정의 조절을 '중화(中和)'라고 한다. 중화는 인간의 감정을 부정하는 것이 아니라 조절하는 것이다. 인간의 감정이 극단적으로 표출되면 삶의 중심축이 무너질 수 있기에 넘치거나 모자라지 않고, 치우치거나 기울어지지 않는 감정의 조절을 통해 인간의 생명력을 더욱 높여야 한다는 것이다. 분노를 참으면 속으로 병이 들고, 분노가 지나치면 화로 번진다. 기쁨을 억누르면 답답해지고, 기쁨이 넘치면 음란함이 된다. 공포는 인간을 두려움에 떨게 하지만, 조절만 잘하면 긴장감으로 인간의 잠자고 있는 세포에 불을 켜게 한다. 욕망은 인간을 존재하게 하는 힘이 될 수도 있고, 탐욕으로 넘치면 인간의 삶을 파멸로 이끌기도 한다. 인간의 감정은 없애야 할 대상이 아니라 길들여야 할 대상이다. 야생마처럼 뛰어다니는 마음의 감정을 잘 조정하는 것을 '조심(操心)'이라고 한다. 인간의 감정은 마음에서 나오는 것이니 그 마음(心)을 잘 조종(操)할 수만 있으면 더 높은 단계의 삶을 살 수 있다. 마음의 감정을 조절하지 못하고 제멋대로 뛰게 만드는 것을 '방심(放心)'이라고 한다. 마음(心)을 놓쳤다(放)는 뜻이다.

중화(中和)의 중(中)은 중심을 유지한다는 뜻이며, 화(和)는 감정이 적시(適時)에 표출되어 상황에 맞는다는 뜻이다. 슬플 때 울 줄 알고, 기쁠 때 춤출 줄 아는 것이 '중화'다. 중요한 것은 슬픔이 지나쳐서 상처가 되면 안 되고, 기쁨이 지나쳐서 음란함으로 변하면 안 되는 것이다. 덕수궁 중화전(中和殿)은 한 나라의 통치자가 감정을 조절해야 한다는 당위성을 갖고 지어진 이름이다. 지도자가 감정 조절에 실패하면 국가가 혼란에 빠지고, 국민이 도탄에 처한다는 엄중한 경고를 담고 있다.

이태원 참사에 지금 대한민국 국민의 마음이 널뛰고 있다. 슬픔이 넘쳐 분노가 되기도 하고, 분노와 분노가 만나 갈등과 싸움으로 번지고 있다. 해결책은 없고 공방만 있고, 성찰은 없고 떠넘기기만 있다. 슬픔은 없고 상처로 가득하다. 지켜주는 어른은 없었고, 젊은 영혼들은 맥없이 쓰러졌다. 대한민국은 또다시 슬픔의 감정과 마주하고 있다. 많은 젊은 영혼의 꽃들이 채 피우지도 못하고 골목길에서 쓰러져 갔다. 꽃이 지는 것은 환경이 그렇게 만드는 것이다. 당국자가 좀 더 신경 쓰고 살피고 주의했더라면 꽃은 지지 않았을 것이다. 정부는 국민을 보호하고 지켜야 할 의무가 있다, 나라 안이든, 나라 밖이든, 그 어느 곳, 어느 시간에서라도 국민의 안녕과 생존을 위해 모든 수단과 노력을 다해야 한다. 이번 참사에 국민 모두 애도하며 슬퍼하고 있다. 그러나 이 슬픔이 상처로 남지 않아야 한다. 이런 일이 또 반복된다면 슬픔은 상처가 될 것이다. 아무도 책임지지 않고 오로지 희생 당사자에게 책임을 묻는다면 이 역시 상처로 남을 것이다. 슬픔이 상처로 남아서는 안 된다(哀而不傷). 슬픔을 통해 정화되어 더 높은 수준으로 넘어가는 계기가 되어야 한다. 그래야 비로소 그들의 희생이 의미를 지닐 것이다.

Copyright © 대전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