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인천남동 등 15곳, 저탄소 산업단지로 '환골탈태'

송광섭 2022. 11. 3. 19:21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산업부 산업단지 종합대책
디지털화·정주여건 개선해
청년 몰리는 일터로 탈바꿈

석유화학·철강 업체들이 밀집해 있는 여수 산업단지는 업종 특성상 탄소 배출이 많은 대표적 산단이다. 화석연료 사용 비중이 전체의 68%에 달할 정도다.

이런 여수 산단이 앞으로는 '저탄소 산단'으로 탈바꿈한다.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고 발전 연료를 액화천연가스(LNG), 바이오매스 등으로 바꿔 탄소 배출량을 2030년까지 10% 이상 감축하기로 한 것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3일 열린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에서 이러한 내용을 담은 '산단 혁신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이번 대책은 △저탄소화 △디지털화 △정주 여건 △안전 강화 △관리제도 등 산단과 관련된 5대 분야에서 총 83개 정책과제로 구성돼 있다.

산단은 지난 60년간 산업화와 한국 경제 성장을 이끌어온 주역으로 꼽힌다. 지난해 말 기준 전국 1257개 산단에 11만3091개 기업이 입주해 있다. 연간 생산액은 1104조원, 수출액은 4024억달러에 달한다. 이는 각각 전체 중 63%, 66%를 차지하는 규모다. 고용도 227만명으로 전체의 47%를 책임진다.

하지만 최근 산단은 산업시설, 기반시설, 근로 인력의 '삼로(三老)' 현상 등으로 생산과 고용 성장세가 둔화되고 있다. 산단 생산의 연평균 증가율은 2002~2006년에는 12.4%였지만 2017~2021년에는 2.3%로 크게 줄었다. 같은 기간 고용 연평균 증가율도 5.6%에서 1.0%로 뚝 떨어졌다.

장영진 산업부 제1차관은 "산단 대책은 곧 한국 제조업 전체의 성장 전략이고, 지방시대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 전략"이라며 "산단 본연의 집적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도록 산단과 입주 기업이 스스로 변화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겠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우선 산단의 저탄소화를 추진할 방침이다. 이에 산단을 특성별로 △화석연료형(여수·울산미포·포항 등) △전력중심형(인천 남동·광주·당진 석문 등) △혼합형(구미·반월·논산 등) 등 3개 분야로 나누고 2025년까지 여수·인천 남동·구미를 분야별 대표 모델 산단으로 지정하기로 했다. 이를 포함해 총 15개 산단을 상대로 2027년까지 '친환경 탄소 저감 산단' 구축 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그 일환으로 탄소 배출 감축과 관련된 관계 부처 사업도 협업 사업으로 지정할 예정이다. 관계 부처 사업으로는 환경부의 '스마트 생태공장 구축사업', 산업부의 '클린팩토리 구축사업', 중소벤처기업부의 '스마트공장 사업' 등이 있다. 이와 함께 지방자치단체의 탄소중립 사업과 친환경 탄소 저감 산단 대상 지원사업도 연계하기로 했다. 예컨대 여수 산단의 경우 지자체의 해상풍력단지 조성 사업을 연계해 탄소중립 사업을 추진하는 방식이다.

산단의 디지털화에도 주력한다. 산단 입주 기업 중 94%가 50인 미만 중소기업으로, 이를 고려해 입주 기업의 디지털화에 대한 인식을 높이는 일부터 주력할 방침이다. 입주 기업의 디지털화 준비 수준을 진단하는 '산단 대진단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산단·기업별 맞춤형 디지털화를 지원하기로 했다. 디지털 인프라스트럭처도 확충한다.

정주·근로 여건도 크게 개선한다. 무엇보다 청년들이 일하고 싶어 하는 산단을 만들기 위해 저렴한 창업 공간을 제공하고 제조기업 매칭을 지원할 예정이다. 청년 일·경험 프로그램 제공과 특화교육 실시 등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를 만들고 브랜드 산단 조성 및 미래형 융·복합 공간 확대 등도 추진하기로 했다.

[송광섭 기자]

Copyright © 매일경제 &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