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은 이제 레드오션’…中 진출 韓 기업 30년만에 ‘최저’

류지영 2022. 11. 3. 16:38
자동요약 기사 제목과 주요 문장을 기반으로 자동요약한 결과입니다.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미중 갈등과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국내 기업들이 중국 진출에 제동이 걸렸다.

올해 중국에 새로 진출하는 한국 기업의 수가 3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3일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중국에 새로 진출한 국내 기업은 34개로, 수교 직전인 지난 1992년 1분기(23개) 이후 가장 적었다.

올해 상반기 기준 중국 신규 진출 국내 기업은 97개에 불과해 연간 기준으로도 200개를 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음성재생 설정
번역beta Translated by kaka i
글자크기 설정 파란원을 좌우로 움직이시면 글자크기가 변경 됩니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2017년 3월 중국 장쑤성 렌윈강에서 한 주민이 문 닫힌 롯데마트를 바라보고 있다. 소방안전조치 개선이 필요해 폐쇄한다는 안내문이 붙어 있다. 한반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뒤 미군에 해당 부지를 제공한 롯데그룹에 대한 중국의 보복으로 해석됐다. 결국 롯데는 중국에서 철수했다. 서울신문 DB

미중 갈등과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국내 기업들이 중국 진출에 제동이 걸렸다. 올해 중국에 새로 진출하는 한국 기업의 수가 30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3일 한국수출입은행에 따르면 올해 2분기 중국에 새로 진출한 국내 기업은 34개로, 수교 직전인 지난 1992년 1분기(23개) 이후 가장 적었다. 지난해 1분기(53개)와 비교해도 절반 가까이 줄었다.

그간 국내 기업들은 앞다퉈 중국에 생산시설을 투자했다. 풍부한 노동력과 천연자원, 저렴한 인건비, 거대한 시장 등 ‘블루오션’(미개척시장)의 매력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한반도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 이후 미중 갈등 고조와 ‘제로 코로나’ 기조 장기화 등으로 중국 내 투자를 부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늘었다. 중국 현지 브랜드들이 약진하면서 더 이상 ‘한국 프리미엄’이 먹히지 않는 ‘레드오션’(포화시장)으로 변했다는 판단이다. 이를 반영하듯 2017년 538개에 달하던 중국 신규 진출 국내 기업 수는 지난해 261개로 크게 줄었다. 올해는 주요 도시 봉쇄까지 겹쳐 중국 내 투자 인식이 더 나빠졌다. 올해 상반기 기준 중국 신규 진출 국내 기업은 97개에 불과해 연간 기준으로도 200개를 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수교 이후 가장 적은 숫자다.

이런 움직임은 다른 나라도 비슷하다. 일본 시장조사업체 데이코쿠 데이터뱅크에 따르면 올해 6월 기준 중국 본토에 진출한 일본 기업은 1만 2706개로 최근 10년 사이 가장 낮았다. 2020년 1만 3646개와 비교하면 1000개 가까운 일본 기업이 중국을 떠났다. 미국 주요 기업들도 ‘탈중국’에 나서는 모양새다. 애플은 올해 초 중국 내 공급망 단절로 큰 피해를 입은 뒤 자사 제품의 약 90%를 생산하는 중국 비중을 줄이고 인도·베트남 생산을 늘리고 있다. 최근 미국 정부가 시행한 중국 내 반도체 장비 수출 규제 여파로 반도체 장비업체인 KLA·램리서치는 중국 최대 메모리반도체 업체 YMTC에 파견한 자사 직원들을 철수시키고 있다. 중국 정부의 고강도 봉쇄 조치가 지속되면서 공급망 불안정을 두려워하는 글로벌 기업들의 ‘탈중국’ 흐름은 당분간 이어질 전망이다.

베이징 류지영 특파원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Copyright © 서울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