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최초 한·중·일 장기기증 심포지엄
전체 맥락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문 보기를 권장합니다.
부산에서 한국·중국·일본 장기기증 심포지엄이 열린다.
사단법인 한국장기기증협회는 3일 "한국·중국·일본 사이 효율적인 장기기증 협력체계 구축을 모색하기 위해 9일 오후 2시 부산시청 국제회의장에서 '한·중·일 아시아 장기기증 국제심포지엄'을 연다"고 밝혔다.
이 글자크기로 변경됩니다.
(예시) 가장 빠른 뉴스가 있고 다양한 정보, 쌍방향 소통이 숨쉬는 다음뉴스를 만나보세요. 다음뉴스는 국내외 주요이슈와 실시간 속보, 문화생활 및 다양한 분야의 뉴스를 입체적으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부산에서 한국·중국·일본 장기기증 심포지엄이 열린다.
사단법인 한국장기기증협회는 3일 “한국·중국·일본 사이 효율적인 장기기증 협력체계 구축을 모색하기 위해 9일 오후 2시 부산시청 국제회의장에서 ‘한·중·일 아시아 장기기증 국제심포지엄’을 연다”고 밝혔다.
기조연설은 부산 최초 뇌사 장기 기증자 수술을 집도한 윤진한 전 동아대병원장이 한다. 김순은 한국장기기증학회장(전 서울대 행정대학원 교수)이 진행하고, 강치영 한국장기기증협회장이 주제발표를 한다. 강 회장은 이날 한국·중국·일본 국민 1560명이 응답한 ‘아시아에 장기기증과 이식을 위한 연합조직 필요성’ 등을 묻는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이어 타카시 켄모치 일본 후지타 의대 교수, 루린 마 중국 베이징대 부속 3병원 비뇨기센터장, 권헌영 동아대 의대 교수가 토론한다.
이날 토론회가 끝나면 저녁 6시부터 부산진구 서면 롯데호텔에서 부산권 뇌사 장기 기증자 유족과 살아있을 때 생면부지 타인에게 간 절반과 신장을 각각 기증한 시민을 위로하는 시간을 갖는다. 또 평소 장기기증운동 캠페인을 벌이고 사후 장기기증 의사를 밝힌 중·고등학생과 대학생을 시상한다.
미국은 50개 주에서 장기이식 시스템을 감시하는 장기공유연합네트워크(UNOS)를 통해 1968년 첫번째 장기이식을 시행한 뒤 100만건의 장기이식을 지난 9월 돌파했다. 유럽은 1967년 독일·네덜란드·벨기에 등 8개 국가가 유럽장기이식연합을 만들어 심장·간·신장 등 사망한 기증자 장기를 국가별로 할당하고 있다. 한국은 2000년 2월 장기 등 이식에 관한 법률이 시행된 뒤부터 지난해까지 7만5851건의 장기이식 수술이 이뤄졌다.
강치영 회장은 “한국·중국·일본은 지리적으로 이웃한 나라지만 장기기증 협력은 되지 않고 있다. 한국·중국·일본이 장기기증 협력체계를 만들어 더 많은 사람을 살렸으면 한다는 취지에서 아시아 최초 한국·중국·일본 장기기증 심포지엄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김광수 기자 kskim@hani.co.kr
Copyright © 한겨레신문사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 [단독] 참사 그날, 119 신고 뒤 병원 이송까지 평균 2시간30분
- [단독] 112 책임자, 근무지 이탈…참사 1시간 24분 만에 복귀
- 공습경보날, 상추 뜯은 울릉경찰서장…1시간 조기퇴근
- 한미 연합공중훈련 연장하기로…북 미사일 강대강 대응
- BTS RM, “나의 아이돌” 퍼렐 윌리엄스와 나눈 이야기는…
- ‘두리랜드’ 임채무 “아이들 웃음이 좋은데 어쩌겠어요”
- 정부 “정확히 몰라”…경찰 늑장보고 질문에 부실답변 반복
- 천공 “아이들 희생 보람되게…” 이태원 참사에 망발
- 용산구, 애도한다며 애꿎은 ‘돌봄수업’ 중단…학부모 황당
- 오늘 낮부터 기온 뚝…내일 아침엔 남부 지방에도 얼음 언다